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2·4 공급대책 직후 아파트 매매·전셋값 상승폭 둔화

전국 아파트값 0.28%→0.27%…서울 0.10%→0.09%
서울 전셋값 3주 연속 오름폭 감소…입주물량 증가 등 영향

 

 

정부의 2·4 주택 공급대책 발표 직후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셋값 오름폭이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옛 한국감정원)은 2월 둘째 주(8일 기준)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0.27% 올라 지난주(0.28%)보다 상승 폭을 줄였다고 10일 밝혔다.

 

전국 아파트값은 새해 들어 1월 3∼4주 상승률이 모두 0.29%를 기록하며 부동산원이 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그러다가 이달 들어 1주 0.28%, 2주 0.27%로 2주 연속 오름폭이 줄었다.

 

서울은 지난주 0.10%에서 이번 주 0.09%로 상승 폭이 줄었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은 2·4 공급대책 영향으로 시장 안정에 대한 기대감이 있는 가운데 중저가 아파트의 매수세가 꾸준했으나 상승 폭이 높던 일부 지역이 관망세를 보이며 집값 상승 폭이 축소됐다"고 말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해 6·17대책과 7·10대책 발표 이후 8∼11월 주간 상승률이 0.01∼0.03% 수준으로 안정된 모습을 보이다가 12월부터 거의 매주 오름폭을 키웠다.

 

올해에도 1월 4주 동안 0.06%→0.07%→0.09%→0.09%로 오름폭을 키웠고 지난주 0.10%까지 상승률이 높아졌으나 2·4 공급대책 등의 영향으로 이번 주 오름폭은 줄었다.

 

서울에서는 송파구가 0.14% 올라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송파구는 잠실·신천동 위주로 집값이 올랐으나 대책 발표 이후 매수세가 감소하면서 상승 폭도 축소됐다고 부동산원은 전했다.

 

송파구와 함께 강남구(0.12%), 서초구(0.11%) 등 이른바 강남 3구가 서울의 가격 상승을 이끌었고, 마포구(0.11%), 도봉구(0.11%), 노원구(0.10%) 등의 상승률도 높았다.

 

수도권 전체로는 3주 연속 0.33%의 높은 상승률을 이어갔다. 이는 부동산원 통계 작성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

 

경기도는 지난주 0.47%에서 이번 주 0.46%로 상승 폭이 줄었으나 인천은 0.31%에서 0.37%로 오름폭이 커졌다.

 

경기에서는 안산 상록구(1.12%)와 단원구(0.72%)가 GTX-C노선 교통 호재 등으로 크게 올랐고, 의왕시(1.07%), 양주시(0.98%), 의정부시(0.77%), 동두천시(0.67%), 하남시(0.47%)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인천은 연수구(0.71%)가 송도신도시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연수·동춘동 구축 단지 위주로 올랐다.

 

지방은 0.24%에서 0.22%로 오름폭이 둔화했다.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0.31%→0.29%)와 경기도를 제외한 8개 도(0.18%→0.17%) 지역도 오름폭을 줄였다.

 

대구가 0.40% 올라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부산(0.33%→0.31%)과 울산(0.24%→0.20%), 세종(0.18%→0.17%), 광주(0.09%→0.07%) 등은 상승 폭이 줄었고, 대전(0.40%→0.41%)은 상승 폭을 키웠다.

 

이번 주 전국의 전셋값은 0.22% 올라 지난주(0.24%)와 비교해 상승 폭을 줄였다.

 

인천은 지난주 0.22%에서 이번 주 0.26%로 상승 폭을 키웠으나 서울(0.11%→0.10%)과 경기(0.29%→0.27%)가 각각 오름폭을 줄이면서 수도권 전체로는 0.23%에서 0.22%로 상승률이 소폭 낮아졌다.

 

서울은 성북구(0.16%)가 가장 많이 오른 가운데 송파·관악·은평구(0.14%), 성동·강북·노원구(0.12%) 등의 전셋값이 강세를 이어갔다.

 

경기에서는 남양주시(0.69%)와 의정부시(0.69%) 등의 상승률이 높은 가운데 하남시(-0.14%)는 위례·강일지구 입주 물량 영향 등으로 전세 매물이 누적되며 82주 만에 하락으로 전환했다.

 

지방 역시 0.25%에서 0.21%로 상승 폭이 둔화했다.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에서는 세종(0.89%→0.79%), 대전(0.43%→0.34%), 대구(0.35%→0.28%), 부산(0.25%→0.22%), 광주(0.09%→0.07%) 등이 모두 지난주 대비 상승 폭을 줄였고, 울산(0.38%→0.39%)이 유일하게 상승 폭을 소폭 키웠다.

 

부동산원은 "청약 및 공급대책 대기수요와 정비사업 이주 등으로 상승세가 지속됐으나 전셋값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수도권 입주 물량 증가, 갱신청구권 사용에 따른 이주수요 안정 등 영향으로 서울은 고가 단지 위주로 매물이 누적되면서 전셋값 상승 폭이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