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 문방순 사는 게 견디어 내는 것이 아니었으면 좋겠습니다 사랑하는 게 집착이 아니었으면 좋겠습니다 용서하는 건 참는 것이 아니라 잊어버리는 것이라고 말해주면 좋겠습니다 삶은 어는 먼 창조의 손끝 생명으로 시작되는 기적이라고 말해주면 좋겠습니다 당신은 나에게 소중한 사람이라 말해주면 참 좋겠습니다 정말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시인] 문방순 겅기 화성시 거주 대한문학세계 시부문 등단 (사)창작문학예술인협의회 회원 저서: 시집 <나에게 쓰는 편지> [詩 감상] 박영애 시인 정말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우리의 삶이 견디는 고통이 아닌, 고달픈 지루함이 아닌, 행복하고 즐길 수 있는 삶이길 바랍니다. 우리의 사랑이 아픔과 집착이 아닌 평안과 기쁨이었으면 참 좋겠습니다. 그래서 서로에게 힘이 되고 행복의 에너지가 되는 삶이길 소망합니다. 많은 비가 내려 수해(水害) 입은 사람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오늘이길 간절히 기원합니다. 정말 그랬으면 참 좋겠습니다. [낭송가] 박영애 충북 보은군 거주 대한문학세계 시 부문 등단 (사)창작문학예술인협의회 부이사장 대한문인협회 정회원 (현) 시인, 시낭송가, MC (현) 대한창작문예대학 시창작과
길 / 문방순 산다는 건 통증을 견디는 일이다 어제와 똑같은 오늘을 산다는 것 앞서 살아간 이들의 발자국 따라 정해놓은 수순처럼 그들을 닮아가는 건조하게 파삭거리는 시간들이 아프다 삶이란 게 먹고사는 그저 아주 소소한 일일진대 거부할 수도 없는 생의 언저리에서 안개처럼 모호하게 남겨지는 내 흐린 발자국들도 아프다 그 많은 길들의 범람 속에서도 새로운 길 한번 열어보지 못하고 맹목적인 답습의 행렬 속에서 문득 뒤돌아 멈춰선 이 자리 수없이 명멸하며 상실되는 길들의 살비듬 눈시울 타고 넘는 이른 아침의 이슬처럼 하나둘 사라지는 그 길들은 이제 어디서 또 다른 어떤 길들과 내통하고 있을까 [시인] 문방순 경기 화성시 거주 대한문학세계 시부문 등단 (사)창작문학예술인협의회 회원 대한문인협회 정회원(경기지회) [詩 감상] 박영애 시인 우리에겐 수많은 길이 있다. 어떤 길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인생이 달라지고 삶이 변화될 것이다. 계묘년이 시작된 지금 같은 날의 반복일 수 있지만, 또 다른 마음가짐으로 시작한다면 가는 길이 또 새롭게 다가올 것이다. 그리고 앞서간 사람들의 발자취도 한 번 돌아보고 지난 나의 삶도 돌아보면서 부정적인 것은 버리고 더 긍정적인 길을 선택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