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인 : 윤계향 씨 ▲ 별세 : 2025년 6월 25일 오후 10시23분 ▲ 빈소 : 원주시 효담삼산병원장례식장 201호실 ▲ 발인 : 2025년 6월 27일 오전 10시30분 ▲ 전화 : 033-733-4444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일시 : 2025년 6월 26일 ◇ 3급 및 4급 인사 ▲ 우정사업조달센터장 최종묵 ▲ 제주지방우정청장 이상수 ▲ 우정사업본부 경영기획실 재정기획담당관 정필승 ▲ 우정사업본부 경영기획실 기반시설기획담당관 임성민 ▲ 우정사업본부 예금사업단 예금증권운용과장 이기섭 ▲ 우정인재개발원 교육기획과장 최두용 ▲ 우정정보관리원 정보기반과장 곽춘근 ▲ 우정정보관리원 우편정보과장 김미영 ▲ 우정정보관리원 예금정보과장 이석재 ▲ 우정정보관리원 차세대금융정보과장 김기영 ▲ 서울지방우정청 금융사업국장 홍정란 ▲ 서울지방우정청 사업지원국장 김정희 ▲ 서울지방우정청 서울광진우체국장 서정건 ▲ 서울지방우정청 서울관악우체국장 정문효 ▲ 서울지방우정청 서울은평우체국장 김수희 ▲ 서울지방우정청 서울성북우체국장 권미경 ▲ 서울지방우정청 서울강동우체국장 신용영 ▲ 서울지방우정청 서울동작우체국장 변남숙 ▲ 서울지방우정청 서울도봉우체국장 고경술 ▲ 경인지방우정청 금융사업국장 김선강 ▲ 경인지방우정청 사업지원국장 최명선 ▲ 경인지방우정청 남인천우체국장 이옥수 ▲ 경인지방우정청 동수원우체국장 최승영 ▲ 경인지방우정청 서수원우체국장 김성택 ▲ 경인지방우정청 성남우체국장 이민석 ▲ 경인지방우정청 성남분
◇일시 : 2025년 6월 26일 ◇ 과장급 전보 ▲ 전력시장과장 김양지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세금융신문=나단(Nathan) 작가) 子夏爲莒父宰, 問政. 子曰; “無欲速, 無見小利. 欲速則不達. 見小利則大事不成.” 자하위거보재, 문정. 자왈; “무욕속, 무견소리. 욕속즉부달. 견소리즉대사불성.” 자하가 거보의 읍제가 되어 정사에 대해서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성급하게 하고자 하지 말고, 조그만 이익을 보려 하지 말아야 한다. 성급하게 하고자 하면 달성하지 못하고, 작은 이익을 보려 하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 _자로子路 13.17 공자의 제자 자하는 시와 예에 능했지만, 지나치게 신중하고 겸손해서 공자가 이를 지적했습니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는 고사성어는 자신감 넘치는 자장과 겸손한 자하 때문에 생겼습니다. 즉, 공자의 제자 자공이 자장과 자하 중에 누가 더 낫냐는 질문을 하자, “자장은 너무 지나치고, 자하는 모자르다”라고 하면서 오히려 지나침은 모자름에 미치지 못한다고 했습니다. 이는 다소 부족한 자하가 자장보다 낫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그러한 자하가 막상 거보라는 고을의 읍제(오늘날의 군수나 시장)가 되자 공자는 걱정이 되었는지 다음과 같은 조언을 했습니다. 일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두르지 말고, 조그마한 이익을 탐하지 말라는
◇일시 : 2025년 6월 25일 <iM금융지주> ◇ 부점장급 이동 ▲ 준법지원부 부장 안상덕 ◇ 1급 승격 ▲ 전략기획부(iM캐피탈 파견) 부장대우 김상헌 ▲ 리스크관리부 부장 백상헌 ▲ 전략기획부(iM라이프 파견) 부장대우 이승우 ◇ 3급 승격 ▲ 준법지원부 프로페셔널매니저 신원채 <iM뱅크> ◇ 부점장급 이동 ▲ 경산공단영업부 부장 김인수 ▲ 사상공단영업부 부장 김창수 ▲ 여신정책부 부장 박수창 ▲ 글로벌사업부 조사역(부장대우) 신일규 ▲ 대덕지점 지점장 유창화 ▲ 북성로지점 지점장 이선희 ▲ 수도권2본부 금융지점장 이재복 ▲ 수도권1본부 금융지점장 이희태 ▲ 팔달영업부 부장 장승목 ◇ 신규임용 부점장 ▲ 결제사업부 부장 김성곤 ▲ 수도권1본부 금융지점장 이태용 ◇ 1급 승격 ▲ 본점영업부 부장 강태일 ▲ 글로벌사업부 부장 문희웅 ▲ 반월공단영업부 부장 박진호 ▲ 삼덕영업부 부장 이원호 ▲ 경산영업부 부장 조경현 ▲ 성남영업부 부장 차찬호 ◇ 2급 승격 ▲ 학정로지점 지점장 권인택 ▲ 혁신금융컨설팅센터 센터장 김성곤 ▲ 대전금융센터 센터장 김준석 ▲ 여신심사2부 부장겸 여신심사1부 수석심사역 김태완 ▲ 구미영업부 부장 박철우 ▲ 강
▲ 고인 : 김창석 씨 ▲ 별세 : 2025년 6월 25일 오전 7시 ▲ 빈소 :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신세계장례식장 VIP실 ▲ 발인 : 2025년 6월 27일 오전 8시 ▲ 전화 : 055-715-5444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일시 : 2025년 6월 25일 ◇ 부대표 승진 ▲ 김동훈 ▲ 김학주 ▲ 박철성 ▲ 원정준 ▲ 이동근 ▲ 전용기 ▲ 정윤호 ◇ 전무 승진 ▲ 김세호 ▲ 김익찬 ▲ 김종석 ▲ 김진현 ▲ 김현일 ▲ 김형천 ▲ 도정욱 ▲ 박원일 ▲ 백승욱 ▲ 서유진 ▲ 서윤석 ▲ 서정혁 ▲ 설인수 ▲ 송형우 ▲ 이근우 ▲ 이주영 ▲ 이채능 ▲ 장지훈 ▲ 전현호 ▲ 차정환 ▲ 천재준 ▲ 홍민성 ▲ 황구철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인 : 강명자님 ▲ 별세 : 2025년 06월 25일 ▲ 빈소 :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 17호실 ▲ 발인 : 2025년 06월 27일 오전 8시30분 ▲ 전화 : 02-3410-3151, 010-6593-7278, 010-6277-60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일시 : 2025년 6월 25일 ◇ 보건의료정책연구실 의료인력 수급추계센터장 ▲ 신정우 연구위원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세금융신문=구기동 신구대 교수) 동아시아의 지배적인 집단은 몽골계(선비, 오환, 거란과 몽골), 퉁구스계(숙신, 읍루, 말갈, 여진), 그리고 예맥계 등이 서로 경쟁하거나 공존하면서 국가와 문화를 형성하여 왔다. 우리 민족의 근간이 되는 예맥족(濊貊族)은 길림성과 요녕성 일대의 예족와 맥족으로 구분되는 서로 다른 민족이지만 고대 문헌에 함께 병기되어 있다. 고대의 고조선과 부여‧고구려‧옥저‧동예, 백제를 예맥족으로 간주한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은 예맥족이 세운 국가이다. 백제 지역은 청동기시대에 예맥족이 이동하여 토착 세력인 고아시아족과 혼합된 민족 구성을 가지고 있다. 기원전 4~5세기에 요동-평양-황해 동부-경기 파주, 강화-부여(송국리)를 거쳐서 남쪽으로 내려가거나 대전-전주-장수-승주-여천(적량동)으로 이동했다. 그리고, 일부는 쓰시마와 북규슈에 정착하여 야요이문화를 남겼다. 예맥인이 이동했던 경로는 청동기시대부터 철기시대까지 이뤄진 무문토기의 발견 지역과 일치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형성된 민족간 융합과 문화의 통합이 백제의 토대가 되었다. 예맥족과 고조선 맥(貊)은 천산산맥 동부에 형성된 여러 종족이나 국가의 역사 공동체로서 북쪽의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