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PCB 제조업체인 현우산업[092300]은 25일 오전 9시 25분 현재 전날보다 9.32% 오른 30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77.0%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현우산업의 2023년 매출액은 2373억으로 전년대비 13.1%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139억으로 전년대비 67.0%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8%, 상위 19%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현우산업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현우산업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1억원으로 2022년 16억원보다 5억원(31.2%)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6.9%를 기록했다. 현우산업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6억원, 16억원, 21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표]현우산업 법인세 납부 추이
제약, 바이오 기업인 동구바이오제약[006620]은 25일 오전 9시 25분 현재 전날보다 7.41% 오른 536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35.4%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동구바이오제약의 2023년 매출액은 2157억으로 전년대비 10.6%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146억으로 전년대비 -14.2%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2%, 상위 50%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10.6%(207억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동구바이오제약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동구바이오제약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9억원으로 2022년 13억원보다 16억원(123.1%)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9.7%를 기록했다. 동구바이오제약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전기차용 2차전지 부품 제조 업체인 삼기이브이[419050]는 25일 오전 9시 16분 현재 전날보다 5.2% 오른 1719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2.7%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삼기이브이는 2023년 매출액 942억원과 영업이익 2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2.0%, 영업이익은 -75.0%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 하위 1%에 해당된다. [그래프]삼기이브이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삼기이브이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4억원으로 2022년 20억원보다 -6억원(-30.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4.1%를 기록했다. 삼기이브이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3억원, 20억원, 14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삼기이브이 법인세 납부 추이
자동차용 브레이크 마찰재 전문기업인 상신브레이크[041650]는 25일 오전 9시 15분 현재 전날보다 4.38% 오른 309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43.6%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상신브레이크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7.7% 늘어난 5755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95.6% 늘어난 275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15%, 상위 15%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상신브레이크 연간 실적 추이 상신브레이크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6억원으로 2022년 60억원보다 -24억원(-40.0%)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0.2%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2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상신브레이크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36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상신브레이크
자동차용 내외장 플라스틱 부품 전문업체인 에코플라스틱[038110]은 25일 오전 9시 9분 현재 전날보다 8.97% 오른 279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11.8%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에코플라스틱의 2023년 매출액은 2조 1606억으로 전년대비 18.6%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724억으로 전년대비 88.0%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2%, 상위 15%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에코플라스틱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에코플라스틱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40억원으로 2022년 96억원보다 44억원(45.8%)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4.4%를 기록했다. 에코플라스틱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63억원, 96억원, 140억원으로 매
자동차용 시트류 부품 제조업체인 현대공업[170030]은 25일 오전 9시 8분 현재 전날보다 27.53% 오른 76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12.9%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현대공업의 2023년 매출액은 3075억으로 전년대비 10.4%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154억으로 전년대비 2.3%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2%, 상위 40%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현대공업 연간 실적 추이 현대공업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5억원으로 2022년 42억원보다 -7억원(-16.7%)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1.1%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2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현대공업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43억원, 42억원, 35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현대공업 법인세 납부 추이
자동차 차체 용접라인설비 제조 전문업체인 우신시스템[017370]은 25일 오전 9시 8분 현재 전날보다 8.33% 오른 6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우신시스템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우신시스템의 2023년 매출액은 2422억으로 전년대비 -4.8%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124억으로 전년대비 55.7%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37%, 상위 25%에 해당된다. [그래프]우신시스템 연간 실적 추이 우신시스템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5억원으로 2022년 29억원보다 6억원(20.7%)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2.1%를 기록했다. 우신시스템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억원, 29억원, 35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우신시스템 법인세 납부 추이
브레이크 패드의 제조 및 판매업체인 KB오토시스[024120]는 25일 오전 9시 7분 현재 전날보다 6.05% 오른 333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84.2%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KB오토시스는 2023년 매출액 2037억원과 영업이익 4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4.4%, 영업이익은 65.6%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6%, 상위 19%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14.4%(256억 9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KB오토시스 연간 실적 추이 KB오토시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억원으로 2022년 14억원보다 -13억원(-92.9%)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8.3%를 기록했다. KB오토시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억원으로 감소했다. [표]KB오토시스 법인세 납부 추이
1,000여 종의 자동차부품 생산업체인 구영테크[053270]는 25일 오전 9시 6분 현재 전날보다 7.42% 오른 239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구영테크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구영테크는 2023년 매출액 3574억원과 영업이익 29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30.4%, 영업이익은 276.0%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14%, 상위 4%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구영테크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구영테크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6억원으로 2022년 17억원보다 29억원(170.6%)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9.8%를 기록했다. 구영테크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6억원, 17억원, 46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자동차의 차체용 부품 생산업체인 아진산업[013310]은 25일 오전 9시 3분 현재 전날보다 8.26% 오른 301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아진산업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아진산업의 2023년 매출액은 7643억으로 전년대비 27.9%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838억으로 전년대비 76.4%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15%, 상위 17%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아진산업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아진산업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32억원으로 2022년 38억원보다 94억원(247.4%)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0.6%를 기록했다. 아진산업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30억원, 38억원, 132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아진산업 법인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