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세무 · 회계

"자영업 29개 업종서 매출액 19.4조 감소…식당만 5.7조↓"

추경호 의원실, 작년 부가세 자료분석…"간이사업자 17개 업종서 1.3조↓"

 

(조세금융신문=박청하 기자)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자영업자 총 52개 업종 가운데 55.8%인 29개 업종에서 매출액이 전년 대비 총 19조4천137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실이 국세청에서 받은 2019∼2020년 개인 일반사업자 업종별 부가가치세 매출 신고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9개 업종 중 음식점업의 감소액이 5조7천323억원으로 가장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도매 및 상품중개업이 -4조3천905억원, 자동차 관련 소매업이 -2조7천41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오락·문화·운동 관련 산업 및 수리업(-9천346억원), 가죽·가방 및 신발류 제조업(-5천931억원), 숙박업(-3천431억원), 여행알선업(-1천359억원) 등도 매출이 부진했다.

반면 소매업과 부동산업은 전년 대비 매출액이 각각 4조1천276억원, 1조5천686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돼 코로나19로 인한 업종별 양극화가 뚜렷하게 드러난 것으로 분석됐다.

자영업자 수 변화를 살펴보면 기타 서비스업에서 1년 전 대비 1천61명이 줄어 가장 많이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가죽, 가방 및 신발류 제조업(-353명), 여행알선업(-202명), 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21명) 등에서도 자영업자 수가 줄었다.

간이사업자의 경우 17개 업종에서 매출액이 감소, 1년 전보다 총 1조3천387억원 줄어들었다. 운송업이 -5천175억원으로 감소폭이 가장 컸고, 음식점업(-4천291억원), 오락·문화·운동관련 산업 및 수리업(-2천347억원), 기타 서비스업(-564억원) 순으로 줄었다.

반면 부동산업(4천273억원), 소매업(3천388억원), IT 관련 및 연구개발업(37억원)은 매출액이 전년보다  늘었다. 간이사업자 수는 부동산업에서 -1만27명으로 가장 많이 줄었고, 음식점업(-5천713명), 운송업(-3천153명), 음식료품 및 담배제조업(-251명) 순으로 줄었다.

추경호 의원은 "영세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심각한 만큼 정부와 여야 모두 국가의 방역 조치로 인해 피해를 입은 영세 자영업자들을 위한 손실보상법 통과 등 관련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