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카드 · 제2금융

저축은행 여신 잔액 90조원 돌파...지난 달보다 2조1천133억원 늘어

 

(조세금융신문=최주현 기자) 국내 저축은행이 빌려준 돈(여신) 잔액이 9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국내 저축은행의 여신 잔액은 90조2천482억원으로 6월 말보다 2조1천133억원 늘었다.

저축은행 여신 잔액은 올해 2월에 80조5천412억원을 기록한 데 이어 5개월 만에 90조원을 다시 넘어섰다.

70조원을 넘어선 작년 7월 이후 80조원을 돌파하기까지 7개월이 걸린 것과 비교하면 증가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서민금융을 취급하는 저축은행,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신협) 4개 부문의 7월 말 기준 여신 잔액은 총 667조4천954억원에 달했다.

작년 말 기준 잔액인 608조5천456억원과 비교해 9.7%가 뛰었다.

코로나19 여파로 생활자금과 투자자금 수요가 늘어나면서 작년부터 올해 제2금융권에서 여신 증가세가 눈에 띄게 나타났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최근 제2금융권에서 가계대출 증가세를 조절하라는 금융당국 당부가 여러 차례 공공연하게 있어온 만큼 연말까지 이렇게 가파른 증가세가 이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서민금융 부문에 맡긴 돈(수신)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7월 말 기준 저축은행,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신협 수신 잔액은 총 811조3천344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6.2% 늘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