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맑음동두천 25.8℃
기상청 제공

EV트렌드코리아 2025, EV 어워즈 통해 올해의 전기차 등 시상

코엑스·한국배터리산업협회·한국자동차환경협회 공동 주관 및 환경부 주최
올해의 전기차 및 충전사에 ‘기아 EV4’ 및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 워터’ 각각 선정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환경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한국자동차환경협회·코엑스가 공동주관한 국내 대표 전기차 전시회 ‘EV트렌드코리아 2025’가 지난 3일 공식 개막식을 진행했다.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의 개회사로 시작한 개막식에는 주관사인 박태성 한국배터리산업협회 부회장, 조상현 코엑스 사장, 정종선 한국자동차환경협회 회장, 신승규 현대자동차그룹 전무, 김성두 모던텍 대표이사, 오영식 이브이시스 대표이사, 글렌 슈미트 BMW그룹 지속가능성 본부 부사장 등 자동차·EV 업계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어 지난 4일 ‘EV트렌드코리아 2025’는 ‘EV 어워즈 2025’와 ‘K-EV100(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우수기업’ 시상식을 열고 전기차 산업 성과를 조명하고 미래 발전을 위한 비전도 제시했다.

 

환경부 장관상인 대한민국 올해의 전기차와 올해의 충전사에는 ‘기아 EV4’와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 워터’가 각각 선정됐다. 이와함께 ‘현대 아이오닉9’과 ‘유플러스아이티’는 소비자가 직접 선정한 올해의 전기차와 올해의 충전사로 각각 뽑혔다.

 

이밖에 폴스타 폴스타4, 볼보 EX30은 심사위원 선정 혁신 전기차로 선정됐고 심사위원 선정 혁신 충전사는 모던텍이 수상했다. 이날 함께 진행된 ‘K-EV100 우수기업’ 시상식에서는 하나캐피탈이 승용차 부분을, 신흥교통이 화물‧승합차 부문으로 각각 선정됐다.

 

한편 지난 3일 개막한 ‘EV트렌드코리아 2025’는 컨퍼런스, 세미나, 전기차 시승행사 등 다채롭게 구성된 프로그램을 통해 ‘EV 및 충전 산업 전반을 조망하는 하이브리드형 전시회’로 평가 받았다.

 

다음으로 지난 4일 개최된 제4회 ‘EV 360° 컨퍼런스’에서는 환경부, 볼보트럭코리아, BMW, SNE리서치 등 국내외 주요 연사가 참여해 무공해차 보급 정책, 글로벌 전기차 산업 동향, 차세대 충전 기술 등 다양한 주제를 심도 있게 다뤘다.

 

5일에는 전기차·차세대 모빌리티 확산에 따른 충전 인프라의 발전 방향을 조망하고 정부 정책, 산업계의 전략, 기술 혁신, 사용자 경험 간의 균형 있는 연결을 모색하는 ‘미래모빌리티 x EVuff@EVTrend’도 개최됐다.

 

EV트렌드코리아 주관기관측은 “‘EV트렌드코리아 2025’는 단순 전시회를 넘어 기술과 정책, 산업과 소비자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교류의 장”이라며 “남은 기간에도 다양한 프로그램과 전시 부스를 돌아보며 많은 분들이 전기차 산업의 미래를 직접 보고, 듣고, 체험하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정부조직 개편, 미래 산업 강국으로 가는 시험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이재명 정부가 출범 석 달 만에 내놓은 조직개편안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전략적 행보로 읽힌다. 검찰 개혁 등 정치적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개편의 진짜 무게추는 경제와 미래 산업을 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AI를 단순한 신산업이 아닌 국가 성장 동력의 최전선으로 놓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약 17년 만에 부활하는 과학기술부총리는 정부의 기술·산업 혁신 정책을 총괄하며, AI·반도체·첨단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밀어붙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기능을 일원화한 조치는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가 방송 업무에서 벗어나 AI와 첨단기술 정책에 전념하도록 해, 정부 부처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려는 의도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AI전략위원회는 범부처 정책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