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은행

기보, 중앙대 산학협력단과 기술이전 활성화 도모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중앙대사진1.jpg

왼쪽 중앙대 김원용 산학협력단장, 오른쪽 기보 홍성제 이사

(조세금융신문)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과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이하‘산단’)은 12월29일(월) 중앙대학교 R&D센터에서「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우수기술의 기술이전과 사업화 촉진에 나서기로 했다.

 

양 기관은 협약에 따라 산단이 보유한 기술의 이전과 사업화를 촉진하고, 중소기업기술의 융·복합 R&D를 지원하기 위해 상호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은 기술 공급자와 수요자간 정보비대칭과 자금조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결되는 것으로, 기술의 공급자와 수요자를 효과적으로 매칭하고 기술이전 자금의 원활한 지원을 위해 마련되었다.


기술의 수요자는 연구단계의 기술을 이전받아 사업화하기 위한 자금이 필요하며, 기보는 이전기술에 대한 기술평가를 통해 기술금융을 지원하게 된다.


협약에 따라 기보는 산단이 주최하는 투자설명회에 참가하여 금융제도를 설명하고, 기술마케팅 활동을 통해 산단이 보유한 기술의 이전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기보는 먼저 산단이 보유한 기술을 KTMS(기보 기술이전 플랫폼 : Kibo Technology Matching System)에 DB화하여 기술수요자와 연결하고, 중앙대학교 LINC(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 :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사업단의 가족회사를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개최하여 실질적인 기술이전이 성사되도록 할 예정이다.
 

기보는 올해 서울과 대전에 기술융합센터를 설립하고 공공연구기관, 대학과 협력하여 기술정보제공, 기술이전 중개 업무를 전담 추진하고 있다.


기보 관계자는 “기술융합센터를 중심으로 기술거래 시장의 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우수기술이 사업성공으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