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카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 및 판매 기업인 오비고[352910]는 12일 오전 10시 6분 현재 전날보다 -12.78% 하락한 512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오비고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한 상태다. 오비고의 2023년 매출액은 151억으로 전년대비 24.6%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5억으로 전년에 이어 적자가 지속됐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17%, 상위 16%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4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24.6%(29억 8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오비고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오비고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억원으로 2022년 0원보다 3억원(1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42.9%를 기록했다. 오비고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0원, 0원, 3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표]오비고 법인세 납부
수액 제품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제약사인 JW생명과학[234080]은 12일 오전 9시 46분 현재 전날보다 4.29% 오른 1만 9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0.5%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JW생명과학은 2023년 매출액 2069억원과 영업이익 30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9.5%, 영업이익은 13.9%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26%, 상위 42%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9.5%(179억 3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JW생명과학 연간 실적 추이 JW생명과학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56억원으로 2022년 58억원보다 -2억원(-3.4%)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6.6%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JW생명과학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56억원
산업용 PCB 제조업체인 현우산업[092300]은 12일 오전 9시 4분 현재 전날보다 12.97% 오른 300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현우산업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현우산업은 2023년 매출액 2373억원과 영업이익 13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3.1%, 영업이익은 67.0%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8%, 상위 19%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현우산업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현우산업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1억원으로 2022년 16억원보다 5억원(31.2%)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6.9%를 기록했다. 현우산업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6억원, 16억원, 21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표]현우산업 법인세 납
부동산 금융보험 전문업체인 리파인[377450]은 11일 오후 3시 3분 현재 전날보다 -5.04% 하락한 1만 112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리파인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한 상태다. 리파인은 2023년 매출액 665억원과 영업이익 22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20.7%, 영업이익은 25.7%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0%, 상위 29%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4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1년 보다도 13.1%(77억 1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리파인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리파인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64억원으로 2022년 19억원보다 45억원(236.8%)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2.8%를 기록했다. 리파인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64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X-ray 검사장비 제조 및 판매업체인 이노메트리[302430]는 11일 오후 2시 51분 현재 전날보다 9.82% 오른 8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이노메트리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노메트리의 2023년 매출액은 838억으로 전년대비 10.7%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82억으로 전년대비 117.8%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1%, 상위 12%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이노메트리 연간 실적 추이 이노메트리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7억원으로 2022년 11억원보다 -4억원(-36.4%)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8.2%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8.2%를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이노메트리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7억원으로 감소했다. [표]이노메트리 법인세 납부 추이
자동차용 시트류 부품 제조업체인 현대공업[170030]은 11일 오후 1시 51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313.4%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5.45% 오른 6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대공업의 2023년 매출액은 3075억으로 전년대비 10.4%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154억으로 전년대비 2.3%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2%, 상위 40%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현대공업 연간 실적 추이 현대공업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5억원으로 2022년 42억원보다 -7억원(-16.7%)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1.1%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2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현대공업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43억원, 42억원, 35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현대공업 법인세 납부 추이
터치스크린 및 휴대폰 부품 제조, 수처리 전문기업인 시노펙스[025320]는 11일 오후 1시 8분 현재 전날보다 18.82% 오른 707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300.3%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시노펙스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7.1% 늘어난 2622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88.0% 늘어난 242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7%, 상위 15%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시노펙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시노펙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57억원으로 2022년 12억원보다 45억원(375.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8.2%를 기록했다. 시노펙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3억원, 12억원, 57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시노펙스 법인
글로벌 자동차부품 제조 전문기업인 디와이씨[310870]는 11일 오전 11시 8분 현재 전날보다 5.6% 오른 1508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디와이씨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디와이씨의 2023년 매출액은 1224억으로 전년대비 1.5%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95억으로 전년대비 -3.7%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48%, 상위 44%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1.5%(17억 7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디와이씨 연간 실적 추이 디와이씨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8억원으로 2022년 11억원보다 -3억원(-27.3%)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2.9%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디와이씨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8억원으로 감소했다. [표]디와이씨 법인세 납부
단미 사료 및 기타 사료 제조 업체인 이지바이오[353810]는 11일 오전 10시 27분 현재 전날보다 -5.13% 하락한 490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이지바이오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한 상태다. 이지바이오는 2023년 매출액 1654억원과 영업이익 20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6.3%, 영업이익은 27.7%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9%, 상위 28%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6.3%(98억 3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이지바이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이지바이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0억원으로 2022년 26억원보다 14억원(53.8%)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9.9%를 기록했다. 이지바이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4
모바일게임 개발업체인 넥슨게임즈[225570]는 11일 오전 9시 23분 현재 전날보다 -8.9% 하락한 1만 228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0.7%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넥슨게임즈는 2023년 매출액 1918억원과 영업이익 10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46.0%, 영업이익은 143.7%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9%, 상위 11%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46.0%(604억 7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넥슨게임즈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넥슨게임즈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4억원으로 2022년 6억원보다 38억원(633.3%)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8.2%를 기록했다. 넥슨게임즈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
영남권 기반의 배합사료 업체인 고려산업[002140]은 11일 오전 9시 6분 현재 전날보다 9.48% 오른 317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고려산업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고려산업의 2023년 매출액은 3191억으로 전년대비 14.6%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80억으로 전년대비 80.4%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18%, 상위 18%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고려산업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고려산업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5억원으로 2022년 1억원보다 14억원(1,4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3.3%를 기록했다. 고려산업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15억원으로 증가했다. [표]고려산업 법인세
남녀 캐주얼 의류 제조 및 판매업체인 코데즈컴바인[047770]은 11일 오전 9시 1분 현재 전날보다 14.33% 오른 1524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코데즈컴바인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코데즈컴바인의 2023년 매출액은 420억으로 전년대비 7.5%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29억으로 전년대비 -24.1%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6%, 하위 45%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코데즈컴바인 연간 실적 추이 코데즈컴바인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억원으로 2022년 0원보다 4억원(100%)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9.8%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9.8%를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코데즈컴바인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7억원, 0원, 4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코데즈컴바인 법인세 납부 추이
온라인 기반의 HR서비스 업체인 사람인[143240]은 10일 오후 3시 4분 현재 전날보다 -7.27% 하락한 1만 594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전일 대비 306.7%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사람인의 2023년 매출액은 1315억으로 전년대비 -11.7%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253억으로 전년대비 -37.8%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2%, 하위 39%에 해당된다. [그래프]사람인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사람인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5억원으로 2022년 79억원보다 -34억원(-43.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9.5%를 기록했다. 사람인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88억원, 79억원, 45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사람인 법인세 납부 추이
단미 사료 및 기타 사료 제조 업체인 이지바이오[353810]는 10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전날보다 6.36% 오른 5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03.4%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이지바이오의 2023년 매출액은 1654억으로 전년대비 6.3%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206억으로 전년대비 27.7%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9%, 상위 28%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6.3%(98억 3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이지바이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이지바이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0억원으로 2022년 26억원보다 14억원(53.8%)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9.9%를 기록했다. 이지바이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제네릭 및 신규 천연물 의약품 개발 제약업체인 알리코제약[260660]은 10일 오후 12시 45분 현재 전날보다 18.64% 오른 4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305.5%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알리코제약은 2023년 매출액 1872억원과 영업이익 3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1.6%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68.9%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0%, 하위 27%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알리코제약 연간 실적 추이 알리코제약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억원으로 2022년 4억원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1.4%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알리코제약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7억원, 4억원, 4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표]알리코제약 법인세 납부 추이
공용무선기지국 전문업체인 와이어블[065530]은 10일 오후 12시 28분 현재 전날보다 7.36% 오른 1357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와이어블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와이어블은 2023년 매출액 722억원과 영업이익 3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2.4%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6.2%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 하위 1%에 해당된다. [그래프]와이어블 연간 실적 추이 와이어블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0억원으로 2022년 10억원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7.0%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2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와이어블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0억원, 10억원, 10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표]와이어블 법인세 납부 추이
시멘트 제조기업인 한일현대시멘트[006390]는 10일 오전 11시 43분 현재 전날보다 3.23% 오른 1만 503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0.1%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한일현대시멘트는 2023년 매출액 5047억원과 영업이익 48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7.1%, 영업이익은 36.5%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32%, 상위 32%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한일현대시멘트 연간 실적 추이 한일현대시멘트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67억원으로 2022년 87억원보다 -20억원(-23.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6.1%를 기록했다. 한일현대시멘트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67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한일현대시멘트 법인세 납부 추이
전공정 자동화시스템을 갖춘 바이오디젤 전문업체인 제이씨케미칼[137950]은 10일 오전 11시 25분 현재 전날보다 5.43% 오른 427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2.7%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제이씨케미칼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4.2% 줄어든 4392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24.3% 줄어든 323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28%, 하위 46%에 해당된다. [그래프]제이씨케미칼 연간 실적 추이 제이씨케미칼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90억원으로 2022년 98억원보다 -8억원(-8.2%)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9.9%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2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제이씨케미칼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90억원으로 감소했다. [표]제이씨케미칼 법인세 납부 추이
IT 인프라 통합관리 솔루션 개발 및 판매 기업인 브레인즈컴퍼니[099390]는 10일 오전 11시 9분 현재 전날보다 19.16% 오른 597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브레인즈컴퍼니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브레인즈컴퍼니는 2023년 매출액 202억원과 영업이익 3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0.6%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31.6%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 하위 1%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브레인즈컴퍼니 연간 실적 추이 브레인즈컴퍼니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억원으로 2022년 2억원보다 1억원(50.0%)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5.8%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5.8%를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브레인즈컴퍼니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3억원으로 증가했다. [표]브레인즈컴퍼니 법인
자동차 부품 전문 생산업체인 삼성공조[006660]는 10일 오전 11시 5분 현재 전날보다 7.0% 오른 1만 667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03.4%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삼성공조는 2023년 매출액 1259억원과 영업이익 5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31.5%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37.8%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7%, 하위 29%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삼성공조 연간 실적 추이 삼성공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6억원으로 2022년 41억원보다 -25억원(-61.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0.2%를 기록했다. 삼성공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6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삼성공조 법인세 납부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