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위 농업용기계 생산 전문업체인 대동[000490]은 26일 오전 9시 15분 현재 전날보다 5.78% 오른 1만 29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04.6%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대동의 2023년 매출액은 1조 4334억으로 전년대비 -2.1%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654억으로 전년대비 -25.9%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44%, 하위 36%에 해당된다. [그래프]대동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대동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20억원으로 2022년 191억원보다 -71억원(-37.2%)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50.2%를 기록했다. 대동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20억원으로 감소했다. [표]대동 법인세 납부 추이
휴대폰 및 노트북 배터리팩 제조기업인 이랜텍[054210]은 26일 오전 9시 10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65.5%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10.9% 오른 51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랜텍의 2023년 매출액은 7512억으로 전년대비 -24.7%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304억으로 전년대비 -61.8%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5%, 하위 30%에 해당된다. [그래프]이랜텍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이랜텍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9억원으로 2022년 103억원보다 -94억원(-91.3%)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4.1%를 기록했다. 이랜텍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9억원으로 감소했다. [표]이랜텍 법인세 납부 추이
기어 및 동력전달장치용 부품 제조업체인 대동기어[008830]는 26일 오전 9시 6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08.8%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15.3% 오른 2만 5250원에 거래되고 있다. 대동기어는 2023년 매출액 2812억원과 영업이익 8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6.2%, 영업이익은 6.6%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4%, 상위 37%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대동기어 연간 실적 추이 대동기어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억원으로 2022년 4억원보다 -3억원(-75.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4%를 기록했다. 대동기어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8억원, 4억원, 1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대동기어 법인세 납부 추이
과실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농산물 가공기업인 푸드웰[005670]은 26일 오전 9시 1분 현재 전날보다 -11.3% 하락한 518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1.1%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푸드웰은 2023년 매출액 2285억원과 영업이익 8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24.2%, 영업이익은 36.8%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17%, 상위 26%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푸드웰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푸드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억원으로 2022년 1억원보다 3억원(3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4.7%를 기록했다. 푸드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4억원으로 증가했다. [표]푸드웰 법인세 납부 추이
피부 의료기기의 제조 및 판매업인 클래시스[214150]는 26일 오전 8시 57분 현재 전날보다 22.24% 오른 7만 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클래시스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클래시스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27.0% 늘어난 1801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30.1% 늘어난 896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15%, 상위 27%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클래시스 연간 실적 추이 클래시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96억원으로 2022년 214억원보다 -18억원(-8.4%)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0.9%를 기록했다. 클래시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96억원으로 감소했다. [표]클래시스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지난 2월 24일
자동차 부품업체인 KBI메탈[024840]은 26일 오전 8시 57분 현재 전날보다 5.9% 오른 224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KBI메탈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KBI메탈의 2023년 매출액은 6850억으로 전년대비 -3.6%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78억으로 전년대비 45.9%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44%, 상위 23%에 해당된다. [그래프]KBI메탈 연간 실적 추이 KBI메탈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5억원으로 2022년 13억원보다 2억원(15.4%)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71.4%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7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KBI메탈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3억원, 13억원, 15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표]KBI메탈 법인세 납부 추이
금융 스마트 플랫폼 및 솔루션과 B2C 핀테크 서비스 제공업체인 핑거[163730]는 26일 오전 8시 56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44.9%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15.5% 오른 976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핑거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7.7% 줄어든 831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32.0% 줄어든 37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7%, 하위 42%에 해당된다. [그래프]핑거 연간 실적 추이 핑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5억원으로 2022년 3억원보다 2억원(66.7%)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0.2%를 기록했다. 핑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5억원으로 증가했다. [표]핑거 법인세 납부 추이
터치스크린 및 휴대폰 부품 제조, 수처리 전문기업인 시노펙스[025320]는 25일 오후 2시 38분 현재 전날보다 -6.46% 하락한 536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전일 대비 301.7%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시노펙스는 2023년 매출액 2622억원과 영업이익 24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7.1%, 영업이익은 88.0%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7%, 상위 15%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시노펙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시노펙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57억원으로 2022년 12억원보다 45억원(375.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8.2%를 기록했다. 시노펙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3억원, 12억원, 57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광고제작 및 매체대행 업체인 YG PLUS[037270]은 25일 오후 2시 21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00.5%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3.76% 오른 5110원에 거래되고 있다. YG PLUS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59.5% 늘어난 2236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105.5% 늘어난 212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3%, 상위 13%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1년 보다도 44.9%(693억 4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YG PLUS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YG PLUS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0억원으로 2022년 10억원보다 10억원(1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8.0%를 기록했다. YG PLUS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20억원으
외국인 전용 카지노 업체인 파라다이스[034230]는 25일 오후 2시 12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00.6%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5.31% 오른 1만 1310원에 거래되고 있다. 파라다이스의 2023년 매출액은 9942억으로 전년대비 69.2%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1458억으로 전년대비 1,300.3%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5%, 상위 1%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19년 보다도 1.5%(147억 7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파라다이스 연간 실적 추이 파라다이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13억원으로 2022년 143억원보다 -30억원(-21.0%)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2.3%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파라다이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13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파라다이스 법인세
자동차용 스위치류 및 마그네슘 D/C 부품 등 생산업체인 모베이스전자[012860]는 25일 오후 1시 54분 현재 전날보다 5.28% 오른 153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모베이스전자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모베이스전자의 2023년 매출액은 9394억으로 전년대비 1.9%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278억으로 전년대비 -36.8%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48%, 하위 40%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1.9%(171억 4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모베이스전자 연간 실적 추이 모베이스전자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1억원으로 2022년 62억원보다 -41억원(-66.1%)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1.4%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2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모베이스전자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MBC의 방송콘텐츠 온라인 유통업체인 iMBC[052220]은 25일 오후 1시 34분 현재 전날보다 7.42% 오른 405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75.9%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iMBC의 2023년 매출액은 463억으로 전년대비 -2.4%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12억으로 전년대비 -54.7%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45%, 하위 33%에 해당된다. [그래프]iMBC 연간 실적 추이 iMBC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억원으로 2022년 8억원보다 -4억원(-50.0%)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5.4%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iMBC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6억원, 8억원, 4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iMBC 법인세 납부 추이
교촌치킨 브랜드를 통한 치킨 가맹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인 교촌에프앤비[339770]는 25일 오후 1시 25분 현재 전날보다 5.23% 오른 58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17.8%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교촌에프앤비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4.0% 줄어든 4450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81.0% 늘어난 248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20%, 상위 7%에 해당된다. [그래프]교촌에프앤비 연간 실적 추이 교촌에프앤비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8억원으로 2022년 16억원보다 32억원(2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7.3%를 기록했다. 교촌에프앤비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48억원으로 증가했다. [표]교촌에프앤비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지난 2월 17일 장지혜 DS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교촌에프앤비에 대해 "4Q24Re, 국내외 프랜차이즈 성장에도 일회성 비용 증가로 이
한국콜마그룹 지주사인 콜마홀딩스[024720]는 25일 오후 12시 56분 현재 전날보다 4.01% 오른 726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콜마홀딩스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콜마홀딩스는 2023년 매출액 6373억원과 영업이익 16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9%, 영업이익은 -48.9%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45%, 하위 25%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은 3년 연속 하락하고 있으나 그 하락폭은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프]콜마홀딩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콜마홀딩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0억원으로 2022년 234억원보다 -214억원(-91.5%)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4.7%를 기록했다. 콜마홀딩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88억원, 234억원, 20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콜마홀딩스 법인세 납부 추이
LCD·AMOLED 검사장비 및 도광판·확산판 제조업체인 HB테크놀러지[078150]는 25일 오후 12시 39분 현재 전날보다 6.81% 오른 282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02.8%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HB테크놀러지는 2023년 매출액 1116억원과 영업이익 -22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24.6%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6%, 하위 7%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은 3년 연속 하락하고 있고 그 하락폭이 확대되고 있어서 투자자들은 주의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래프]HB테크놀러지 연간 실적 추이 HB테크놀러지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77억원으로 2022년 95억원보다 82억원(86.3%)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8.2%를 기록했다. HB테크놀러지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32억원, 95억원, 177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HB테크놀러지 법
인조피혁의 제조 및 판매업체인 백산[035150]은 25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전날보다 5.3% 오른 1만 5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백산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백산은 2023년 매출액 4177억원과 영업이익 53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2.2%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5.7%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22%, 상위 47%에 해당된다. [그래프]백산 연간 실적 추이 백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13억원으로 2022년 99억원보다 14억원(14.1%)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1.8%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2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백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113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표]백산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지난 2월 13일 최승환 신한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백산에 대해 "이제는 저평가에서 벗어날 때: 2024년 1, 2분기 어닝서프라이즈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2024년 6월
2018년 시공능력평가 19위 건설업체인 HL D&I[014790]은 25일 오전 11시 50분 현재 전날보다 5.92% 오른 241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HL D&I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HL D&I은 2023년 매출액 1조 5720억원과 영업이익 50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6.8%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3.7%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33%, 하위 47%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0년 보다도 0.4%(66억 6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HL D&I 연간 실적 추이 HL D&I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4억원으로 2022년 115억원보다 -81억원(-70.4%)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0.0%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HL D&I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
방송영상송출과 채널사업 영위 업체인 KX[122450]은 25일 오전 11시 36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29.8%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15.35% 오른 4095원에 거래되고 있다. KX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23.5% 늘어난 4030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1.1% 줄어든 620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18%, 하위 48%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23.5%(767억 8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KX 연간 실적 추이 KX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27억원으로 2022년 116억원보다 11억원(9.5%)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1.3%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3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KX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127억원으로 증가했다. [표]KX 법인세 납부 추이
PDP, LCD, SMT 검사장치 개발업체인 한울반도체[320000]는 25일 오전 11시 5분 현재 전날보다 17.29% 오른 268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한울반도체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한울반도체는 2023년 매출액 160억원과 영업이익 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21.2%, 영업이익은 -78.3%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9%, 하위 25%에 해당된다. [그래프]한울반도체 연간 실적 추이 한울반도체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억원으로 2022년 3억원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6.7%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한울반도체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억원, 3억원, 3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표]한울반도체 법인세 납부 추이
의약품 및 의료기기 도소매업체인 더블유에스아이[299170]는 25일 오전 10시 26분 현재 전날보다 6.52% 오른 1879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12.8%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더블유에스아이의 2023년 매출액은 309억으로 전년대비 13.8%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33억으로 전년대비 -9.2%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7%, 상위 47%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4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1년 보다도 11.2%(31억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더블유에스아이 연간 실적 추이 더블유에스아이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8억원으로 2022년 13억원보다 -5억원(-38.5%)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2.2%를 기록했다. 더블유에스아이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1억원, 13억원, 8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더블유에스아이 법인세 납부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