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P솔루션 개발 및 공급 및 유지관리용역의 제공 업체인 영림원소프트랩[060850]은 25일 오전 9시 39분 현재 전날보다 7.91% 오른 6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영림원소프트랩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영림원소프트랩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3.5% 줄어든 555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54.9% 줄어든 29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44%, 하위 33%에 해당된다. [그래프]영림원소프트랩 연간 실적 추이 영림원소프트랩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5억원으로 2022년 0원보다 5억원(100%)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1.6%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영림원소프트랩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0원, 0원, 5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표]영림원소프트랩 법인세 납부 추이
치과용 임플란트 제품을 주력으로 하는 의료기기 전문 기업인 덴티스[261200]는 25일 오전 9시 20분 현재 전날보다 7.52% 오른 686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덴티스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덴티스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8.3% 늘어난 943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92.3% 줄어든 4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5%, 하위 22%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덴티스 연간 실적 추이 덴티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억원으로 2022년 11억원보다 -9억원(-81.8%)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7.1%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7.1%를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덴티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2억원으로 감소했다. [표]덴티스 법인세 납부 추이
반도체, 디스플레이용 화학약품 혼합 장비 제조업체인 씨앤지하이테크[264660]는 25일 오전 9시 9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05.8%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5.44% 오른 1만 80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씨앤지하이테크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3.5% 줄어든 1667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50.2% 줄어든 127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29%, 하위 35%에 해당된다. [그래프]씨앤지하이테크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씨앤지하이테크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8억원으로 2022년 40억원보다 -22억원(-55.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2.3%를 기록했다. 씨앤지하이테크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8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씨앤지하이테크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씨앤지하이테크는 최근에 아래와 같이 공시를 발표한 바 있다. - 02/21 반도체
자동차 시트커버 에어백 제조사인 두올[016740]은 25일 오전 9시 5분 현재 전날보다 3.07% 오른 302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두올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두올의 2023년 매출액은 7531억으로 전년대비 33.1%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441억으로 전년대비 231.5%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6%, 상위 6%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두올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두올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55억원으로 2022년 53억원보다 102억원(192.5%)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42.6%를 기록했다. 두올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155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표]두올 법인세 납부 추이
국제물류주선 전문업체인 태웅로직스[124560]는 25일 오전 8시 59분 현재 전날보다 12.27% 오른 338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태웅로직스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태웅로직스의 2023년 매출액은 7703억으로 전년대비 -42.0%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360억으로 전년대비 -69.1%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7%, 하위 27%에 해당된다. [그래프]태웅로직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태웅로직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85억원으로 2022년 273억원보다 -188억원(-68.9%)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3.9%를 기록했다. 태웅로직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85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태웅로직스 법인세 납부 추이
유통 및 에너지판매로 다각화된 종합상사인 SK네트웍스[001740]는 25일 오전 8시 56분 현재 전날보다 4.2% 오른 47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15.7%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SK네트웍스의 2023년 매출액은 9조 1339억으로 전년대비 -5.5%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2373억으로 전년대비 53.9%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34%, 상위 26%에 해당된다. [그래프]SK네트웍스 연간 실적 추이 SK네트웍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94억원으로 2022년 85억원보다 9억원(10.6%)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3.3%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SK네트웍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94억원으로 증가했다. [표]SK네트웍스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지난 2월 17일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SK네트웍스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양호한 영업이익 성장세 기록 ⇒ 올해의 경우도 영업이익
중견 건설업체인 신원종합개발[017000]은 25일 오전 8시 55분 현재 전날보다 19.33% 오른 339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526.0%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신원종합개발의 2023년 매출액은 3098억으로 전년대비 64.6%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31억으로 전년대비 54.2%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6%, 상위 21%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신원종합개발 연간 실적 추이 신원종합개발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5억원으로 2022년 47억원보다 -22억원(-46.8%)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3.1%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2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신원종합개발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25억원으로 감소했다. [표]신원종합개발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신원종합개발은 최근에 아래와
의류 제조 및 OEM수출업체인 SG세계물산[004060]은 25일 오전 8시 55분 현재 전날보다 5.47% 오른 347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869.8%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SG세계물산의 2023년 매출액은 1431억으로 전년대비 -11.3%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18억으로 전년대비 -74.4%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23%, 하위 17%에 해당된다. [그래프]SG세계물산 연간 실적 추이 SG세계물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3억원으로 2022년 13억원보다 20억원(153.8%)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43.5%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SG세계물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33억원으로 증가했다. [표]SG세계물산 법인세 납부 추이
치과용 X-Ray 영상진단장비 제조업체인 바텍[043150]은 24일 오후 2시 59분 현재 전날보다 7.0% 오른 2만 21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320.5%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바텍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2.6% 줄어든 3850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19.6% 줄어든 640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45%, 하위 48%에 해당된다. [그래프]바텍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바텍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38억원으로 2022년 190억원보다 -52억원(-27.4%)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0.7%를 기록했다. 바텍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38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바텍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지난 2월 20일 김지은 DB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바텍에 대해 "4Q24P 매출액 1,017억원, 북미향 매출 성장세 견조, 시장 컨센
1,000여 종의 자동차부품 생산업체인 구영테크[053270]는 24일 오후 2시 29분 현재 전날보다 11.42% 오른 258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07.6%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구영테크의 2023년 매출액은 3574억으로 전년대비 30.4%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290억으로 전년대비 276.0%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14%, 상위 4%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구영테크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구영테크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6억원으로 2022년 17억원보다 29억원(170.6%)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9.8%를 기록했다. 구영테크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6억원, 17억원, 46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
골재 채취 및 레미콘, 아스콘 제조업체인 보광산업[225530]은 24일 오후 2시 21분 현재 전날보다 5.0% 오른 483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13.6%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보광산업은 2023년 매출액 855억원과 영업이익 189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2.3%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23.0%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46%, 상위 30%에 해당된다. [그래프]보광산업 연간 실적 추이 보광산업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2억원으로 2022년 35억원보다 7억원(2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0.2%를 기록했다. 보광산업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32억원, 35억원, 42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보광산업 법인세 납부 추이
플라스틱 접착처리 제품 제조업체인 아셈스[136410]는 24일 오후 2시 19분 현재 전날보다 5.54% 오른 78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92.8%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아셈스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0.0% 줄어든 477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30.8% 줄어든 60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4%, 하위 42%에 해당된다. [그래프]아셈스 연간 실적 추이 아셈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1억원으로 2022년 16억원보다 5억원(31.2%)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8.9%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3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아셈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1억원, 16억원, 21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아셈스 법인세 납부 추이
제조 및 도소매 등 의류사업 영위업체인 형지I&C[011080]은 24일 오후 2시 8분 현재 전날보다 5.88% 오른 1116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06.8%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형지I&C은 2023년 매출액 653억원과 영업이익 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7.3%, 영업이익은 -72.8%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7%, 하위 26%에 해당된다. [그래프]형지I&C 연간 실적 추이 형지I&C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8억원으로 2022년 1억원보다 7억원(7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0.8%를 기록했다. 형지I&C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0원, 1억원, 8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형지I&C 법인세 납부 추이
2차전지 부품 개발 전문기업인 상신이디피[091580]는 24일 오후 1시 59분 현재 전날보다 8.39% 오른 917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13.7%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상신이디피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3.7% 늘어난 3016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7.8% 줄어든 302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44%, 상위 45%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상신이디피 연간 실적 추이 상신이디피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5억원으로 2022년 56억원보다 -21억원(-37.5%)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1.8%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상신이디피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35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상신이디피 법인세 납부 추
동원그룹의 포장재 제조 및 판매업체인 동원시스템즈[014820]는 24일 오후 1시 33분 현재 전날보다 3.25% 오른 3만 97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31.5%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동원시스템즈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1.2% 줄어든 1조 2766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12.0% 줄어든 808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24%, 하위 43%에 해당된다. [그래프]동원시스템즈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동원시스템즈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52억원으로 2022년 64억원보다 -12억원(-18.8%)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7.5%를 기록했다. 동원시스템즈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71억원, 64억원, 52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동원시스템즈 법인세 납부 추이
3D 정밀측정 검사장비 업체인 펨트론[168360]은 24일 오후 1시 25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310.6%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8.24% 오른 1만 1960원에 거래되고 있다. 펨트론의 2023년 매출액은 737억으로 전년대비 20.5%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81억으로 전년대비 26.9%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1%, 상위 29%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20.5%(125억 6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펨트론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펨트론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7억원으로 2022년 5억원보다 2억원(4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9.0%를 기록했다. 펨트론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5억원, 5억원, 7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펨트론 법인세 납부
자동차 차체 용접라인설비 제조 전문업체인 우신시스템[017370]은 24일 오후 1시 18분 현재 전날보다 12.46% 오른 6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26.4%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우신시스템은 2023년 매출액 2422억원과 영업이익 12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4.8%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55.7%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37%, 상위 25%에 해당된다. [그래프]우신시스템 연간 실적 추이 우신시스템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5억원으로 2022년 29억원보다 6억원(20.7%)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2.1%를 기록했다. 우신시스템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2억원, 29억원, 35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우신시스템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우신시스템은 최근에 아래와 같이 공시를 발표한 바 있다. - 02/19 2차전지 조립라인 134.2억원 (매출액대비 5.54 %)
반도체 장비 설계 및 제조업체인 유니셈[036200]은 24일 오후 12시 30분 현재 전날보다 5.84% 오른 761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354.1%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유니셈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8.3% 줄어든 2321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40.1% 줄어든 174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6%, 하위 38%에 해당된다. [그래프]유니셈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유니셈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1억원으로 2022년 45억원보다 -4억원(-8.9%)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8.4%를 기록했다. 유니셈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86억원, 45억원, 41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유니셈 법인세 납부 추이
글로벌 1위의 칼륨 계열 제품 생산업체인 유니드[014830]는 24일 오전 11시 57분 현재 전날보다 6.31% 오른 7만 9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02.1%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유니드는 2023년 매출액 1조 1337억원과 영업이익 32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9.3%, 영업이익은 -78.3%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11%, 하위 16%에 해당된다. [그래프]유니드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유니드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65억원으로 2022년 196억원보다 -131억원(-66.8%)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8.5%를 기록했다. 유니드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439억원, 196억원, 65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유니드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지난 2월 3일 이동욱 IBK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유니드에 대해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은 101억원으로 전 분기
산업용 가열로의 설계 및 시공업체인 제이엔케이글로벌[126880]은 24일 오전 11시 57분 현재 전날보다 5.0% 오른 388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417.2%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제이엔케이글로벌은 2023년 매출액 1667억원과 영업이익 4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5.4%, 영업이익은 -40.3%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26%, 하위 38%에 해당된다. [그래프]제이엔케이글로벌 연간 실적 추이 제이엔케이글로벌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7억원으로 2022년 0원보다 7억원(100%)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5.6%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제이엔케이글로벌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7억원으로 증가했다. [표]제이엔케이글로벌 법인세 납부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