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실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농산물 가공기업인 푸드웰[005670]은 24일 오전 11시 54분 현재 전날보다 -5.14% 하락한 5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2.0% 급증한 상태다. 푸드웰은 2023년 매출액 2285억원과 영업이익 8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24.2%, 영업이익은 36.8%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17%, 상위 26%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푸드웰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푸드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억원으로 2022년 1억원보다 3억원(3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4.7%를 기록했다. 푸드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4억원으로 증가했다. [표]푸드웰 법인세 납부 추이
포스코의 스틸가공센터인 경남스틸[039240]은 24일 오전 11시 39분 현재 전날보다 9.43% 오른 505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경남스틸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경남스틸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6.0% 줄어든 3903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5.9% 줄어든 107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9%, 상위 44%에 해당된다. [그래프]경남스틸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경남스틸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2억원으로 2022년 26억원보다 -4억원(-15.4%)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0.4%를 기록했다. 경남스틸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22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경남스틸 법인세 납부 추이
벌크선 중심의 대형 해운업체인 대한해운[005880]은 24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전날보다 3.01% 오른 1846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5.6%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대한해운의 2023년 매출액은 1조 3974억으로 전년대비 -13.3%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2500억으로 전년대비 -6.6%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21%, 하위 46%에 해당된다. [그래프]대한해운 연간 실적 추이 대한해운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36억원으로 2022년 127억원보다 9억원(7.1%) 증가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2.7%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2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대한해운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136억원으로 증가했다. [표]대한해운 법인세 납부 추이
클린룸전문, 수가습, 산업설비분야 전문업체인 케이엔솔[053080]은 24일 오전 11시 24분 현재 전날보다 5.01% 오른 1만 488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케이엔솔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케이엔솔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7.4% 늘어난 4174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5.9% 줄어든 185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7%, 하위 50%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2년 보다도 7.4%(286억 3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케이엔솔 연간 실적 추이 케이엔솔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2억원으로 2022년 53억원보다 -11억원(-20.8%)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7.3%를 기록했다. 케이엔솔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42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케이
국내 1위 전자저울 브랜드 및 로드셀 전문 제조업체인 카스[016920]는 24일 오전 11시 23분 현재 전날보다 5.03% 오른 209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카스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카스의 2023년 매출액은 1560억으로 전년대비 -7.3%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50억으로 전년대비 13.0%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7%, 상위 33%에 해당된다. [그래프]카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카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억원으로 2022년 19억원보다 -16억원(-84.2%)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5.0%를 기록했다. 카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3억원으로 감소했다. [표]카스 법인세 납부 추이
건강기능식품 전문 제조업체인 코스맥스엔비티[222040]는 24일 오전 11시 19분 현재 전날보다 5.27% 오른 3395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코스맥스엔비티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코스맥스엔비티의 2023년 매출액은 3336억으로 전년대비 1.7%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120억으로 전년대비 434.8%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48%, 상위 2%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코스맥스엔비티 연간 실적 추이 코스맥스엔비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62억원으로 2022년 84억원보다 -22억원(-26.2%)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550.0%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코스맥스엔비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62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반도체 및 전자부품 신뢰성 분석 기업인 큐알티[405100]는 24일 오전 11시 15분 현재 전날보다 5.57% 오른 1만 49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332.2%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큐알티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0.7% 줄어든 533억원이고, 영업이익 역시 전년대비 -92.7% 줄어든 8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3%, 하위 22%에 해당된다. [그래프]큐알티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큐알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억원으로 2022년 20억원보다 -18억원(-90.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6.9%를 기록했다. 큐알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36억원, 20억원, 2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큐알티 법인세 납부 추이
프레스 및 몰드, 금형,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인 나라엠앤디[051490]는 24일 오전 11시 1분 현재 전날보다 9.03% 오른 428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이 전일 대비 212.5% 급증하면서 주가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나라엠앤디의 2023년 매출액은 2310억으로 전년대비 5.9%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107억으로 전년대비 1.6%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40%, 상위 40%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나라엠앤디 연간 실적 추이 나라엠앤디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7억원으로 2022년 29억원보다 -22억원(-75.9%)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7.3%를 기록했다. 나라엠앤디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7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나라엠앤디 법인세 납부 추이
기어 및 동력전달장치용 부품 제조업체인 대동기어[008830]는 24일 오전 10시 51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11.9%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12.38% 오른 2만 3150원에 거래되고 있다. 대동기어의 2023년 매출액은 2812억으로 전년대비 16.2% 상승했고, 영업이익 또한 81억으로 전년대비 6.6%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4%, 상위 37%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대동기어 연간 실적 추이 대동기어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억원으로 2022년 4억원보다 -3억원(-75.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4%를 기록했다. 대동기어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8억원, 4억원, 1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대동기어 법인세 납부 추이
종합건설업체인 동신건설[025950]은 24일 오전 9시 25분 현재 전날보다 12.54% 오른 5만 34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1.3%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동신건설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64.5% 늘어난 827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362.8% 늘어난 63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6%, 상위 3%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1년 보다도 44.1%(253억 1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동신건설 연간 실적 추이 동신건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6억원으로 2022년 21억원보다 -5억원(-23.8%)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6.8%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동신건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6억원으로 감소했다. [표]동신건설 법인세 납부
반도체장비 제조 및 반도체 관련 장비 부품 도매업체인 GST[083450]은 24일 오전 9시 18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03.9%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6.95% 오른 2만 2300원에 거래되고 있다. GST의 2023년 매출액은 2792억으로 전년대비 -10.7%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425억으로 전년대비 -25.3%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3%, 하위 45%에 해당된다. [그래프]GST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GST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61억원으로 2022년 118억원보다 -57억원(-48.3%)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4.2%를 기록했다. GST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61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GST 법인세 납부 추이
자동차 부품 전문 생산업체인 삼성공조[006660]는 24일 오전 8시 59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229.7%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18.93% 오른 1만 60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삼성공조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31.5% 늘어난 1259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37.8% 줄어든 54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7%, 하위 29%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삼성공조 연간 실적 추이 삼성공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6억원으로 2022년 41억원보다 -25억원(-61.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0.2%를 기록했다. 삼성공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6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삼성공조 법인세 납부 추이
제네릭 및 신규 천연물 의약품 개발 제약업체인 알리코제약[260660]은 24일 오전 8시 57분 현재 전날보다 5.55% 오른 3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7.6%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알리코제약의 2023년 매출액은 1872억으로 전년대비 11.6%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31억으로 전년대비 -68.9%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30%, 하위 27%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알리코제약 연간 실적 추이 알리코제약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억원으로 2022년 4억원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1.4%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알리코제약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7억원, 4억원, 4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표]알리코제약 법인세 납부 추이
방송사업 및 문화서비스 사업 영위하는 기업인 티비씨[033830]는 24일 오전 8시 55분 현재 전날보다 6.27% 오른 865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1,272.6%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티비씨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2.4% 늘어난 435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2.2% 늘어난 41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47%, 상위 39%에 해당된다. [그래프]티비씨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티비씨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5억원으로 2022년 13억원보다 2억원(15.4%)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9.5%를 기록했다. 티비씨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2억원, 13억원, 15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티비씨 법인세 납부 추이
화학, 건자재, IT제품 등을 수입 판매하는 무역업체인 원익큐브[014190]는 21일 오후 2시 33분 현재 전날보다 11.71% 오른 1832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원익큐브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원익큐브는 2023년 매출액 2444억원과 영업이익 5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0.7%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31.8%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49%, 상위 26%에 해당된다. [그래프]원익큐브 연간 실적 추이 원익큐브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6억원으로 2022년 12억원보다 4억원(33.3%)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4.6%를 기록했다. 원익큐브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16억원으로 증가했다. [표]원익큐브 법인세 납부 추이
의료기기 및 산업원자재 전문 유통업체인 원익[032940]은 21일 오후 2시 28분 현재 전일 거래량의 616.2% 수준으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며, 전날보다 20.03% 오른 4315원에 거래되고 있다. 원익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20.2% 늘어난 1299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68.6% 늘어난 125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1%, 상위 18%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원익 연간 실적 추이 원익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4억원으로 2022년 49억원보다 -5억원(-10.2%)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58.8%를 기록했다. 원익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74억원, 49억원, 44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원익 법인세 납부 추이
전기용 기계장비 및 관련 기자재 도매업체인 엔피디[198080]는 21일 오후 2시 26분 현재 전날보다 -6.65% 하락한 2595원에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거래량은 전일 대비 461.1%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엔피디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25.5% 줄어든 2357억원이고,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81.9% 늘어난 59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5%, 상위 5%에 해당된다. [그래프]엔피디 연간 실적 추이 엔피디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9억원으로 2022년 44억원보다 -35억원(-79.5%)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1.4%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2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엔피디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9억원으로 크게 감소했다. [표]엔피디 법인세 납부 추이
글리콜에테르 생산 등 정밀화학 제조업체인 한농화성[011500]은 21일 오후 2시 21분 현재 전날보다 19.97% 오른 1만 89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203.7%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한농화성은 2023년 매출액 2124억원과 영업이익 -2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1.3%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하위 23%, 하위 9%에 해당된다. [그래프]한농화성 연간 실적 추이 한농화성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억원으로 2022년 7억원보다 -5억원(-71.4%)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6%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6%를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한농화성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43억원, 7억원, 2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한농화성 법인세 납부 추이
열교환기 및 배열회수보일러 제조업체인 SNT에너지[100840]는 21일 오후 2시 11분 현재 전날보다 14.04% 오른 3만 5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SNT에너지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SNT에너지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58.7% 늘어난 3220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483.7% 늘어난 208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피 상위 3%, 상위 3%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0년 보다도 35.6%(845억 6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SNT에너지 연간 실적 추이 SNT에너지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6억원으로 2022년 19억원보다 -3억원(-15.8%)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6.6%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6.6%를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SNT에너지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39억원, 19억원, 16억원으로
카메라 모듈용 IR필터 제조업체인 옵트론텍[082210]은 21일 오후 2시 1분 현재 전날보다 22.12% 오른 1794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옵트론텍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옵트론텍은 2023년 매출액 2321억원과 영업이익 15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6.3%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4%, 상위 11%에 해당된다. [그래프]옵트론텍 연간 실적 추이 옵트론텍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7억원으로 2022년 137억원보다 -130억원(-94.9%)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7.5%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7.5%를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옵트론텍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7억원으로 감소했다. [표]옵트론텍 법인세 납부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