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경제특위가 간담회를 열고 삼성전자 등 국내 주요 기업 통상 관계자와 경제단체와 함께 미국발 관세전쟁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사진출처=연합뉴스]](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209/art_17406338616082_c0507f.jpg)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의 최종 변론을 종결하면서 조기 대선 가능성이 높아지자 야당이 발빠르게 친기업 정책 행보에 나섰다.
27일 더불어민주당 경제안보특별위원회는 국내 주요 기업 통상 책임자와 경제단체 등을 초청해 간담회를 열고 재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미국발 관세전쟁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경제안보특별위원회 위원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한 달여만에 주요 국가를 상대로 한 미국발 관세 폭탄이 현실화되고 있다”며 “이처럼 촌각을 다투는 글로벌 경쟁에서 승리하려면 트럼프 대통령의 마가(MAGA,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와 맞먹는 비전과 전략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은 우리 주력 수출 산업인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반도체 등에 집중되고 있다”며 “문제는 이제 시작이고 다른 산업들도 안전하지 않다는 점이다. 경제 성장을 위해 대한민국만의 메가(MEGA, 다시 위대한 경제를) 전략을 수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김태년 위원장은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반도체 특별법 신속 처리 ▲기업·국회·정부 참여 국가경제안보위원회 설치 ▲기업·여야정 통상대표단 미국 파견 ▲비상·경제 입법 등 4가지 방안을 제안했다.
간담회에 함께 참석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정부와 국회가 굳건한 대미 외교 통상 정책을 실현해서 뒷받침해야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경쟁력이 높아진다”며 “우리 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확고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정책·입법 지원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열린 간담회에는 윤영조 삼성전자 부사장, 김동욱 현대차 부사장, 윤창렬 LG글로벌전략개발원장, 최준 SK하이닉스 부사장, 롯데지주 임성복 부사장, 이계인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 문지훈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부사장 등 국내 주요 기업 관계자 다수가 참여했다.
한편 같은날 더불어민주당은 ‘반도체 특별법’을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해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여야 및 재계-노동계간 의견이 갈리는 ‘주 52시간 근로 예외 적용 조항’은 제외한 채 보조금 지원 등 여야가 합의한 대목만 먼저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