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핫이슈


(조세금융신문=박형준 기자) 배우 송재림의 유작인 영화 ‘폭락’이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됐다. 송재림은 2024년 자택에서 향년 39세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사인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갑작스러운 사망 소식에 팬들과 동료는 깊은 슬픔에 빠지기도 했다. 지난해 1월 15일 개봉한 ‘폭락’은 전 세계를 뒤흔든 가상화폐 대폭락 사태 실화를 기반으로 한 영화다. 실제 루나·테라 코인으로 50조 원의 가까운 돈이 증발하며 많은 사람들이 이로 인해 피해를 봤다. 영화는 가상화폐 시장의 시세 조작과 젊은 세대들의 무분별한 투자와 한탕주의의 모습을 그렸다.

송재림이 맡은 양도현은 대치동으로 위장 전입한 욕심 많은 흙수저다. 그는 벤츠 타고 다니는 부자이면서 장애 혜택을 받아먹던 친구에게 교환학생의 기회마저 뺏긴다. 후에 그 친구가 진짜 장애인이 아니었단 걸 알게 되며 정부 지원금의 허점에 눈을 뜬다. 대학교 창업동아리에서 만난 동기 지우와 함께 청년·여성·장애 등의 가산점을 악용해 청년 창업 지원금을 수급하고 ‘창업 지원금은 나랏돈으로 망해 보라고 주는 눈먼 돈’ 임을 간파해 의도적으로 고의부도와 폐업을 반복한다.

이후 투자자 케빈에게 억대 후원을 받는 암호화폐 벤처를 창업한 도현은 ‘MOMMY’ 코인을 개발해 역대 최고치의 실적을 내지만 알고리즘과 불완전 이자 수익 등 금융기관으로부터 모니터가 들어오게 되며 감시를 받게 된다. 실관람객 평점 8점대인 ‘폭락’은 관람객으로부터 많은 공감을 샀다. 누구나 한 번쯤 욕심 내보았을 법한 가상화폐와 투자라는 주제로 그 내면과 실태를 적절하게 연출해 냈다.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