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기재부 “주세 종량세 개편, ‘양’ 유일한 기준으로 삼지 않겠다”

알코올 도수 따라 세율 높이는 건 우리 현실 맞지 않아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2020년까지 주세를 현행 종가세에서 종량세로 개편을 추진하고 있는 기재부가 양만을 유일한 기준으로 삼아 개편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종가세는 가격에 세율을 매기는 것이고, 종량세는 술의 양에 세율을 매기는 방식을 말한다.

 

배정훈 기획재정부 환경에너지세제과장은 지난 1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주세 과세체계 개편을 위한 국회토론회’에서 “고도주냐, 저도주냐 그런 단순한 차원에서 고민하는 게 아니라 산업 여건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종량세를 채택하고 있는 주요 선진국에서는 술에 함유된 알코올 도수에 세금을 매긴다. 통상 알코올 도수가 낮은 맥주 등은 세금이 낮고, 도수가 높은 소주 등 증류주는 세금이 높다.

 

종량세가 도입되면, 소주가격이 비싸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배 과장은 “주세 전체를 종량세로 전체 개편하는 것은 산업, 소비자 후생 부분이 맞물려가기에 합성 측면에서 문제 있는 측면, 산업 미칠 구체적인 영향에 대해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며 “주종별로 전문가 연구용역, 국세청과 관세청 지원 등을 받아서 주세 인상 부담을 최소화하는 등 세수 측면에서 중립적으로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국내 실정과 관련해서는 OECD국가들이 취하고 있는 주종별 과세체계를 참고해 우리에게 유용한 것은 접목하는 등 최대한 국내 주류산업 현실을 고려하겠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프랑스는 와인, 일본은 일본주 등 자국 술에 대해 세율을 적게 매기는 등 자국주류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도 전통주나 수제맥주에 대해 세율을 깎아 주고 있지만, 종가세 체계에서는 세금부담이 커 다품종, 고품질 경쟁에 나서기 어려운 실정이다.

 

배 과장은 “종량세 이슈에 대해 심도 깊으면서도 속도감 있게 진행하려 한다”라며 “워킹그룹 논의 등을 통해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서 개편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