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구름많음동두천 31.2℃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집값, 역풍선효과는 막아야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정부가 강남집값을 규제하려다 수도권 집값이 오르는 일명 풍선효가 나타났다. 

 

정부는 들썩이는 지역을 잡고자 ‘2·20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며 수원 영통·권선·장안구, 안양 만안구, 의왕시 등 5곳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추가 지정했다. 하지만 이 곳은 이미 집값이 많이 오른 상태라는 게 부동산 업계의 반응이다.

 

일각에선 민주당이 총선이 다가오자 표심이 걱정된 이들 지역 규제를 회피하려다 늦장 대응 이었다는 의견도 거론된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지금 정책이 늦어도 너무 늦은데다가 등 떠밀려 발표한 모양새다”라며 “이번에 지정된 곳은 이미 많이 올라 경기도 산본과 오산 등 이들 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번지고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 산본은 非(비)규제 지역이다. 이 곳은 집값이 원래 잘 안 오르는 지역이다. 그동안 짧게 오르고 말았는데 현재 산본지역 집값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경기도 산본동에 위치한 A 공인중계사 관계자는 “이런 적이 없었다”라며 “2주 전부터 문의가 많아지더니 순식간에 집값이 3000만원 올랐고 문의전화 오는 사람들도 집은 보지도 않고 살만한 집이 있는지 다짜고짜 물어본다”고 말했다.

 

이런 풍선효과가 2007년 상반기 강남권을 대체하는 3기 신도시가 ‘검단 신도시’ 발표 때처럼 주택 시장에 연쇄 반응을 일으킨 상황과 지금 현 상황과 많이 유사하다는 점이다.

 

2007년과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면 풍선효과는 산본이 경기 남부권에서 마지막이고 풍선효과가 더 퍼져 간다면 다음 예상은 오산이다. 실제로 오산은 최근 집값 움직임이 있었고, 이어 김포 의정부 파주까지 뻗어 갈 것이란 관측이다..

 

서울 강남을 잡겠다는 규제는 풍선효과를 낳아 경기도권 일부 지역 집값이 크게 올랐고 그 풍선효과는 수도권 전체로 퍼져 오히려 서울에서 저평가된 지역들에 역풍선효과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을 부동산업계 관계자들은 가장 크게 우려하고 있다.

 

역풍선효과가 발생된다면 지금 전국을 뒤흔들고 있는 코로나19 만큼이나 강력하게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강남과 마·용·성(마포, 용산, 성동구) 등의 집값을 안전화 시키기 위해했던 정부의 노력이 죄다 물거품이 되는 것이다.

 

정부가 총선을 앞두고 진퇴양란에 빠졌다. 이대로 가다간 정부의 노력이 물거품으로 되는 것뿐만 아니라 총선에 승패는 물론 민심은 더욱 악화될까 우려된다.

 

더 이상 표심에 휘둘리지 말고 실수요자들이 믿고 신뢰할 수 있는 정부정책을 내놓을 수 있는 결단이 필요하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