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회계감사 ‘비적정’ 상장사 36개…상폐위기 고조

2년 연속 비적정 의견 시 기업심사위 상장폐지 심사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회계감사 결과 비적정 의견을 받은 회사들이 36개사에 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2월 결산 상장 법인 사업보고서 제출 마감일인 30일(오전 9시 기준)까지 감사의견 비적정 의견을 받은 기업은 총 36개사로 드러났다.

 

코스피 5개사, 코스닥 31개사다.

 

지난해 사업보고서 제출 마감일 기준 34개사(코스피 6개사·코스닥 28개사)보다 약간 늘어난 수치다.

 

코스피 기업 중 의견거절을 받은 곳은 신한[005450], 유양디앤유[011690], 지코[010580], 폴루스바이오팜[007630] 등이었으며, 하이골드8호[159650]는 부적정 의견을 받았다.

 

신한은 2년 연속 감사의견 거절을 받았으며, 지코와 폴루스바이오팜은 직전 사업연도에 한정을 받은 바 있다.

 

코스닥 상장사 중 한정 판정은 3개사, 의견 거절은 28개사였다.

 

신약 ‘인보사케이주(인보사)’ 파문을 일으킨 코오롱티슈진[950160]과 조국 전 법무부 장관 가족의 펀드 투자 관련 의혹과 연루된 더블유에프엠[035290](WFM)[035290]은 각각 의견거절을 받았다.

 

파인넥스[123260], 크로바하이텍[043590], 하이소닉[106080], 에스마크[030270], 에스에프씨[112240], 이엠따블유[079190](EMW), 피앤텔[054340] 등 7곳은 2018~2019 회계연도에 줄이어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았다.

 

2회 연속으로 비적정 감사의견을 나오면 기업심사위원회 심의에 따라 상장폐지 결정을 받을 수 있다.

 

외부감사인은 기업이 적법하게 또는 부실하게 장부를 작성했는지를 보고 적정, 한정, 부적정, 의견 거절 중 하나의 의견을 밝힌다.

 

적정 의견은 회계기준과 기업상황에 맞춰 재무제표를 정확히 작성했을 때, 한정 의견은 감사를 부분적으로 제한하거나 재무제표에 큰 영향은 없지만, 기업회계 준칙에 맞춰 작성하지 않은 경우 제시한다.

 

부적정 의견은 부실 또는 거짓으로 장부를 작성했을 경우로 회계조작 등 우려가 있을 때 제시한다.

 

의견 거절은 피감기업이 회사 재무제표에 대해 의견 표명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감사를 제한하거나, 감사 과정에서 기업 존립에 심각한 사항이 발견된 경우 표명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