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배기계시스템 구성품인 Muffler 제조업체인 디젠스[113810]는 26일 오후 3시 18분 현재 전날보다 29.9% 오른 1738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03.4%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디젠스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32.5% 늘어난 860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1,259.1% 늘어난 30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13%, 상위 1%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0년 보다도 5.1%(41억 6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디젠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디젠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억원으로 2022년 0원보다 1억원(1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4%를 기록했다. 디젠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1억
B2B 핀테크 서비스 및 비즈니스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인 웹케시[053580]는 26일 오후 3시 17분 현재 전날보다 20.57% 오른 1만 49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웹케시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웹케시는 2023년 매출액 736억원과 영업이익 13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6.3%, 영업이익은 -33.4%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25%, 하위 41%에 해당된다. [그래프]웹케시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웹케시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20억원으로 2022년 31억원보다 -11억원(-35.5%)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0.6%를 기록했다. 웹케시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43억원, 31억원, 20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웹케시 법인세 납부 추이 한편, 지난 3월 17일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웹케시에 대해 "1Q25 Preview: 기존
해운항만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토탈소프트[045340]는 26일 오후 3시 16분 현재 전날보다 23.49% 오른 857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토탈소프트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토탈소프트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5.6% 늘어난 160억원이고, 영업이익 또한 전년대비 39.9% 늘어난 36억원을 기록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5%, 상위 25%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1년 보다도 13.9%(19억 6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토탈소프트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토탈소프트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5억원으로 2022년 3억원보다 2억원(66.7%)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1.6%를 기록했다. 토탈소프트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MBC의 방송콘텐츠 온라인 유통업체인 iMBC[052220]은 26일 오후 3시 16분 현재 전날보다 8.83% 오른 425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iMBC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iMBC의 2023년 매출액은 463억으로 전년대비 -2.4%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12억으로 전년대비 -54.7%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45%, 하위 33%에 해당된다. [그래프]iMBC 연간 실적 추이 iMBC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4억원으로 2022년 8억원보다 -4억원(-50.0%)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5.4%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iMBC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16억원, 8억원, 4억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표]iMBC 법인세 납부 추이
스마트 카드 관련 종합솔루션 제공업체인 코나아이[052400]는 26일 오후 3시 10분 현재 전날보다 13.87% 오른 2만 7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04.9%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코나아이의 2023년 매출액은 2802억으로 전년대비 15.7%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337억으로 전년대비 -31.0%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24%, 하위 42%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 그 증가폭이 다소 감소하고 있다. [그래프]코나아이 연간 실적 추이 코나아이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75억원으로 2022년 112억원보다 -37억원(-33.0%)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20.6%를 기록했다. 코나아이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75억원으로 감소했다. [표]코나아이 법인세 납부 추이
제조 및 도소매 등 의류사업 영위업체인 형지I&C[011080]은 26일 오후 3시 3분 현재 전날보다 13.92% 오른 843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형지I&C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형지I&C의 2023년 매출액은 653억으로 전년대비 -7.3% 하락했고, 영업이익 역시 6억으로 전년대비 -72.8%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7%, 하위 26%에 해당된다. [그래프]형지I&C 연간 실적 추이 형지I&C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8억원으로 2022년 1억원보다 7억원(7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30.8%를 기록했다. 형지I&C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각각 0원, 1억원, 8억원으로 매년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표]형지I&C 법인세 납부 추이
국내 1위 전자저울 브랜드 및 로드셀 전문 제조업체인 카스[016920]는 26일 오후 3시 1분 현재 전날보다 8.32% 오른 1861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00.7%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카스의 2023년 매출액은 1560억으로 전년대비 -7.3% 하락했고, 영업이익은 50억으로 전년대비 13.0%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37%, 상위 33%에 해당된다. [그래프]카스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카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3억원으로 2022년 19억원보다 -16억원(-84.2%)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5.0%를 기록했다. 카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3억원으로 감소했다. [표]카스 법인세 납부 추이
교통카드 솔루션 사업 영위업체인 에이텍모빌리티[224110]는 26일 오후 2시 58분 현재 전날보다 12.56% 오른 1만 81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전일 대비 317.0% 급증하면서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넘어섰다. 에이텍모빌리티는 2023년 매출액 2010억원과 영업이익 15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33.6%, 영업이익은 135.2%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12%, 상위 10%에 해당된다. 최근 3년간의 실적을 살펴보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매출로 볼 때 매년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폭도 확대되고 있다. [그래프]에이텍모빌리티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늘어나고 있다. 에이텍모빌리티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2억원으로 2022년 1억원보다 11억원(1,100.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증가에 따른 당기순이익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9.8%를 기록했다. 에이텍모빌리티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감소했으나, 작년에는 12억원으로 증가했다
종합건설업체인 동신건설[025950]은 26일 오후 1시 58분 현재 전날보다 5.38% 오른 4만 1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동신건설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동신건설은 2023년 매출액 827억원과 영업이익 6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64.5%, 영업이익은 362.8% 각각 상승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상위 6%, 상위 3%에 해당된다. 최근 실적을 살펴보면 2023년 매출액이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음을 알 수 있다. 이전 최고 실적이었던 2021년 보다도 44.1%(253억 1천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동신건설 연간 실적 추이 동신건설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16억원으로 2022년 21억원보다 -5억원(-23.8%) 감소했고,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16.8%를 기록했다. 이는 회계 수치상으로만 봤을 때 순이익의 10% 이상을 세금으로 납부한 셈이다. 동신건설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16억원으로 감소했다. [표]동신건설 법인세
휴대폰 및 노트북 배터리팩 제조기업인 이랜텍[054210]은 26일 오후 1시 45분 현재 전날보다 11.51% 오른 562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이랜텍의 거래량은 최근 5거래일 거래량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랜텍은 2023년 매출액 7512억원과 영업이익 30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24.7%, 영업이익은 -61.8% 각각 하락했다. 이 회사의 매출액 증감률과 영업이익 증감률은 각각 코스닥 하위 15%, 하위 30%에 해당된다. [그래프]이랜텍 연간 실적 추이 사업의 성장세가 주춤함에 따라 법인세 납부액도 감소하고 있다. 이랜텍의 지난해 법인세 납부액은 9억원으로 2022년 103억원보다 -94억원(-91.3%) 감소했다. 이는 실적 감소에 따라 당기순이익도 줄었기 때문이며, 법인세 유효세율(법인세비용/법인세차감전순이익)은 4.1%를 기록했다. 이랜텍의 지난 3년 동안 법인세 납부액 추이를 보면 2022년에는 증가했으나, 작년에는 9억원으로 감소했다. [표]이랜텍 법인세 납부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