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기상청 제공

금융투자

빗썸, 스테이블코인 사업 아이디어 공모전...생태계-경쟁력 강화

 

(조세금융신문=송기현 기자)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은 20일 국내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조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공모전 주제는 '스테이블코인의 실생활 활용과 사업화 아이디어'다. 아이디어 경쟁과 창업 투자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아이디어 경쟁 대상 1팀에 1억원, 최우수상 1팀에 7천만원, 우수상 1팀에 3천만원 등 총 2억원의 상금을 지급한다.

 

창업 투자 부문에선 최다 10개 팀을 선정해 최고 300억원 규모의 투자 및 사업 활성화 지원을 제공한다.

 

접수는 이날부터 7월 말까지다. 자세한 내용은 빗썸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