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구름조금강릉 27.3℃
기상청 제공

식품 · 유통 · 의료

신규면세점 5사 “롯데·SK 재진입 절대 불가”

“잘못하면 업계 전체 공멸…짝퉁 돌아다닐 수도 있어”

(조세금융신문=최일혁 기자) 정부가 시내면세점 사업자를 추가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자 지난해 사업권을 얻은 신규 면세점들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양창훈 HDC신라면세점 대표, 황용득 한화갤러리아 대표, 권희석 SM면세점 대표, 성영목 신세계디에프 대표, 이천우 두산 부사장 등 5개 신규면세점 대표는 14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뱅커스클럽에서 긴급회동을 갖고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해 면세점 재승인 심사에서 탈락한 롯데 월드타워점과 SK네트웍스 워커힐점의 재진입에 대한 견제의 성격이 짙다.

 

권희석 대표는 신규 면세점이 세팅하는 걸 봐줘야 하는데 계속 신규면세점을 늘리면 물건 못 채우는 면세점들이 정상적인 유통 경로를 찾지 못해 병행수입을 하거나 중국처럼 짝퉁이 섞일 수도 있다한국의 면세점 산업이 전체적으로 추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황용득 사장은 탈락한 롯데 월드타워점과 SK워커힐이 투자했다는 돈이 4000억원이고 고용된 인력은 2200명인데 신규면세점의 신규 투자비는 1700억원, 고용인력은 14200명이다신규면세점의 손해가 더 큰데도 탈락 면세점의 얘기만 부각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천우 부사장은 신규면세점이 문을 연 후 1년 이상은 지켜봐야 할텐데 잘못하면 업계 전체가 공멸할 수 있다이미 심판이 손을 들어줬는데 계속 하겠다고 버티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오는 16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서울지방조달청 대강당에서 면세점 제도 개선 공청회를 개최한다.

 

정부는 이날 면세점 특허기간을 5년에서 10년으로 늘리고 면세점 특허수수료율은 현행보다 최대 20배 늘리는 방안과 시내면세점 신규특허 요건 완화 방안 등을 논의할 방침으로 전해졌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정부조직 개편, 미래 산업 강국으로 가는 시험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이재명 정부가 출범 석 달 만에 내놓은 조직개편안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전략적 행보로 읽힌다. 검찰 개혁 등 정치적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개편의 진짜 무게추는 경제와 미래 산업을 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AI를 단순한 신산업이 아닌 국가 성장 동력의 최전선으로 놓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약 17년 만에 부활하는 과학기술부총리는 정부의 기술·산업 혁신 정책을 총괄하며, AI·반도체·첨단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밀어붙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기능을 일원화한 조치는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가 방송 업무에서 벗어나 AI와 첨단기술 정책에 전념하도록 해, 정부 부처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려는 의도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AI전략위원회는 범부처 정책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