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증권

기관투자자, 대체투자도 안정성 선호

삼성증권, 2014 해외대체투자세미나 참석자 설문결과 분석

 

(조세금융신문)기관투자자들이 대체투자자산으로 헤지펀드보다 PEF를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증권은 지난 14일과 21일 개최한 ‘2014 해외대체투자세미나’에서 국내 주요 32개사의 기관투자자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헤지펀드에 비해 유동성은 낮지만 안정적이고 장기투자가 가능한 PEF를 대체투자자산으로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투자자들이 선호하는 PEF의 유형은 ‘인프라PEF’와 기존 PEF의 지분을 중간 매수하는 ‘세컨더리(Secondary) PEF’가 26%와 19%로 가장 많았다. ‘부동산PEF’와 ‘해외헤지펀드’가 각각 16%, 기업 경영권 인수 후 가치를 높여 재 매각하는 ‘바이아웃(Buy-out)/벤처캐피탈 PEF’가 13%의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바이아웃/벤처캐피탈 PEF’와 ‘세컨더리 PEF’ 전략에서는 유럽에 대한 선호도가 41%로 높았다. 뒤를 이어 전통적인 선호지역인 북미지역에 대한 선호도가 33%로 나타났다.


삼성증권은 유럽과 북미지역의 전반적인 자산에 대한 기대감 상승과 맞물려 대체투자도 선진시장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풀이했다.


헤지펀드 투자 시에 기관투자자들이 중요하게 보는 평가항목은 ‘과거 성과’ 24%, ‘운용팀 경력’ 20% 순으로 나타났다.


삼성증권은 “올해 하반기에도 응답자의 91%가 PEF와 헤지펀드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응답해, 경기 불확실성으로 기관 및 법인들도 성과가 검증되고 안정적인 대체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