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년생 ▲광덕고 ▲방통대 무역학과 ▲세무대학 ▲8급 경채 ▲부산 수출입물류과장 ▲부산 신항통관감시과장 ▲관세청 조사총괄과 ▲관세청 외환조사과 ▲서기관 승진(2025. 4. 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1년생 ▲경북고 ▲방통대 법학과 ▲세무대학▲한국해양대 국제관세학 석사 ▲8급 경채 ▲부산 통관총괄과장 ▲부산 신항통관검사1과장 ▲평택 통관검사과장 ▲관세청 정보기획과 ▲서기관 승진(2025. 4. 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3년생 ▲광주 금호고 ▲방통대 무역학과 ▲세무대학 ▲8급 경채 ▲관세청 국제협력총괄과 ▲관세청 자유무역협정집행과 ▲관세청 해외통관지원팀 ▲인천 자유무역협정총괄과장 ▲서기관 승진(2025. 4. 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4년생 ▲영동고 ▲방통대 법학과 ▲세무대학 ▲8급 경채 ▲관세청 심사정책과 ▲관세청 공정무역심사팀 ▲울산 감시관 ▲기재부 자유무역협정관세이행과 ▲서기관 승진(2025. 4. 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6년생 ▲포항고 ▲방통대 무역학과 ▲세무대학 ▲8급 경채 ▲관세청 전자상거래통관과 ▲관세청 관세국경감시과 ▲관세청 통관물류정책과 ▲인천 감시총괄과 ▲서기관 승진(2025. 4. 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2년생 ▲대전 중앙고 ▲방통대 중어중문학과 ▲세무대학 ▲8급 경채 ▲관세청 통관물류정책과 ▲관세청 전자상거래통관과 ▲인천 항만물류감시2과장 ▲관세청 관세국경감시과 ▲서기관 승진(2025. 4. 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6년생 ▲점촌고 ▲세무대학 ▲8급 경채 ▲관세청 정보데이터기획담당관실 ▲관세청 원산지검증과 ▲인천 휴대품검사관 ▲인천 화물정보분석과 ▲서기관 승진(2025. 4. 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84년생 ▲충남여고 ▲서울대 수학교육과 ▲행시 57회 ▲관세청 정보데이터기획담당관실 ▲관세청 수출입안전검사과 ▲관세청 세원심사과 ▲관세청 법인심사과 ▲서기관 승진(2025. 4. 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3년생 ▲청량고 ▲방통대 경제학과 ▲세무대학 ▲8급 경채 ▲관세청 감사담당관실 ▲관세청 감찰팀 ▲인천공항 휴대품검사관 ▲평택 통관지원과 ▲서기관 승진(2025. 4. 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5년생 ▲서강고 ▲8급 경채 ▲방통대 경제학과 ▲세무대학 ▲충남대 행정학 석사 ▲관세청 행정관리담당관실 ▲관세청 기획재정담당관실 ▲관세청 국제조사팀 ▲인천공항 휴대품검사관 ▲서기관 승진(2025. 4. 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87년생 ▲한일고 ▲서울대 외교학과 ▲美아리조나대 행정학 석사 ▲행시 58회 ▲관세청 기획재정담당관실 ▲관세청 규제혁신팀 ▲관세청 기업심사과 ▲관세청 전자상거래통관과 ▲서기관 승진(2025. 4. 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89년생 ▲한영외고 ▲연세대 행정학과 ▲행시 57회 ▲관세청 운영지원과 ▲관세청 기획재정담당관실 ▲관세청 빅데이터분석팀 ▲관세청 통관기획과 ▲서기관 승진(2025. 4. 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69년생 ▲신성고 ▲방통대 법학과 ▲배재대 컨설팅학 석사 ▲배재대 컨설팅학 박사 ▲9급 공채 ▲관세청 운영지원과 ▲양산 통관지원과장 ▲인천공항 휴대품검사관 ▲인천 화물정보분석과 ▲서기관 승진(2025. 4. 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71년생 ▲진주 동명고 ▲성균관대 무역학과 ▲7급 공채 ▲관세청 관세국경위험관리센터 ▲인천공항 휴대품검사관 ▲인천 통관지원과 ▲관세청 관세국경위험관리센터 ▲서기관 승진(2025. 4. 11)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일시 : 2025년 4월 11일자 ◇ 서기관 승진 ▲관세청 관세국경위험관리센터 송 기 웅 (宋基雄) ▲관세청 운영지원과 이 익 재 (李翼載) ▲관세청 운영지원과 정 우 용 (鄭又溶) ▲관세청 기획재정담당관실 허 범 석 (許範奭) ▲관세청 행정관리담당관실 박 찬 형 (朴贊烱) ▲관세청 감사담당관실 윤 재 성 (尹宰晟) ▲관세청 정보데이터기획담당관실 김 다 사 롬 ▲관세청 정보데이터기획담당관실 전 병 희 (全炳熙) ▲관세청 통관물류정책과 김 헌 주 (金憲柱) ▲관세청 전자상거래통관과 류 승 하 (柳勝夏) ▲관세청 심사정책과 정 연 우 (鄭淵宇) ▲관세청 국제협력총괄과 조 점 술 (曺店述) ▲부산세관 통관총괄과 남 창 훈 (南昶焄) ▲부산세관 수출입물류과 오 성 호 (吳性昊) ▲인천세관 심사총괄과 김 현 (金鉉) ◇ 과학기술서기관 승진 ▲중앙관세분석소 총괄분석과 김 영 희 (金怜希)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한전산업개발이 창립 35주년을 맞아 지속 가능한 발전과 새로운 도약을 다짐했다. 한전산업개발(사장 함흥규)은 10일 서울 중구 본사 대회의실에서 창립 35주년을 맞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임직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전산업의 도전과 성장의 역사를 돌아보고, 지속 가능한 발전의 의지를 다지는 뜻깊은 자리로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서는 한 해 동안 회사의 발전을 위해 묵묵히 최선을 다해온 모범직원에 대한 표창장 수여가 진행됐다. 또한 발달장애인으로 구성된 예술공연단 ‘국민엔젤스앙상블’의 축하공연이 이어져 행사에 의미를 더했다. 이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우리 회사가 포용과 상생으로 나아가는 메시지를 전하고, 참석자들에게 감동을 안기며 행사가 마무리됐다. 이날 함흥규 사장은 기념사를 통해 “조직 유연성과 핵심 인재 육성을 바탕으로 급변하는 환경에 선제 대응하며, 임직원 모두가 하나된 ‘원팀’으로 도약하자”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마산세관(세관장 문행용)과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지청장 김지완)은 10일 마약류 및 국민위해물품 밀반입 차단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세관과 검찰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마약류 및 기타 불법 물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마련됐다. 양 기관은 ‘24년 산업용 파쇄기를 수입하면서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확인 신고를 하지 않고 불법 수입한 업체를 형사처분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등 긴밀한 수사 협력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김지완 마산지청장은 “마산세관과 함께 마약류를 비롯한 국민위해물품의 유입을 차단하고, 지역 사회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문행용 마산세관장도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마약류 및 불법 물품의 유입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며,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과의 협력을 통해 더욱 철저한 단속과 예방활동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간담회는 불법 물품 차단을 위한 정보수집 및 분석, 수사과정에서 실효성 있는 협력 시너지 모델을 제시해, 향후 두 기관 간 협력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는 의미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조세금융신문(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GS리테일이 고령화 사회의 핵심 과제인 노인 일자리 창출과 건강한 사회 참여를 위해 발벗고 나섰다. GS리테일은 10일 오전 10시 천안시청에서 천안시, 천안시니어클럽과 함께 ‘GS리테일X천안시 시니어 우친’ 도보 배달 사업 추진을 위한 3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전진혁 GS리테일 O4O부문장, 박상돈 천안시장, 김선영 천안시니어클럽 관장을 비롯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협약 당사자들은 노인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자립 지원, 건강 증진 및 지역 사회 참여 활성화, 지역사회와 기업간의 상생 협력을 목표로 하는 것에 뜻을 모았다. ‘시니어 우친’은 GS리테일이 기획·운영하는 고령층 대상 도보 배달 플랫폼 사업으로, 어르신들이 근거리 배달을 통해 소득을 얻는 동시에 일상 속 운동량을 늘리고, 디지털 기술에 대한 친숙도를 높이도록 설계됐다. 협약에 따라 GS리테일은 배달 수수료 지급, 배달 가방 및 스마트폰 앱 제공, 배달 교육을 지원하며, 천안시는 사업 총괄과 함께 참여자에게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모바일 헬스케어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천안시니어클럽은 배달원 모집과 운영, 도로 안전 및 기초 소양 교육, 애플리케이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서울본부세관(세관장 고석진)은 10일 청사 대회의실에서 ‘2025년 제1회 관세청 AEO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공인을 획득한 27개 업체에 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AEO)를 수여했다. 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는 관세청에서 법규준수, 내부통제시스템, 재무건전성, 안전관리 공인기준의 적정성 여부를 심사해 공인한 우수업체로 미ㆍ중ㆍEU 등 97개국이 도입 중이다. 이날 공인을 획득한 27개 업체 중 휴온스, 포유디지탈, 디메르코익스프레스코리아 등 5개 업체는 신규공인을 받았다. 또한 대상, 자화전자, 롯데아사히주류, 아모레퍼시픽 등 21개 업체는 재공인을 받았으며,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은 A등급에서 AA등급으로 공인등급이 상향됐다. AEO 공인 유효기간은 5년으로서 5년마다 갱신 심사를 받아야 하며, 유효기간 중에도 등급별 공인기준을 충족하면 등급 상향이 가능하다. AEO 공인업체는 ▲화물 검사비율 축소 및 서류제출 생략에 따른 신속통관 ▲관세조사 면제 등 관세행정 혜택은 물론 ▲관세청과 협약(MOU)을 맺은 은행에서 금리를 우대받는 등 금융 혜택도 받을 수 있다. 또한, 세관에서 지정한 기업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현대모비스가 북미 현지에서 스타트업 대상 투자 설명회를 개최하고 미래 모빌리티 기술 동맹 확보에 나섰다. 현대모비스는 현지시간 9일 오후 자동차산업의 본고장인 디트로이트에서 ‘제4회 모비스 모빌리티 데이’를 개최했다. 모비스 모빌리티 데이는 현대모비스가 글로벌 스타트업, 완성차, 학계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사업비전과 투자현황 등을 소개하는 자리다. 디트로이트는 자동차 제조업을 토대로 생산과 품질관리는 물론, AI와 소프트웨어 등으로 무장한 모빌리티 신생 기업들이 다수 포진해 있는 스타트업의 허브로 부상하고 있는 곳이다. 이 같은 지역적 특성에 기반해 이번 행사에는 현대모비스가 초청한 현지 유망 스타트업들의 발표 세션도 다수 진행됐다. 로보틱스와 클린테크 등을 중심으로 모빌리티 트렌드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모비스가 올해 개최 장소를 디트로이트로 결정한 것은 최근 글로벌 수주 상당수가 북미 고객사로부터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고객사가 위치한 현지 유망 스타트업과 투자와 협력을 확대하고 우수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하면 향후 고객사에 제품을 프로모션하기에도 용이한 점도 반영했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모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