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와 임금 교섭을 진행 중인 SK하이닉스가 최근 전임직 노조에게 PS 상한선 기준 1700% 상향 조정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사진출처=연합뉴스]](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626/art_17509867231735_1efc48.jpg)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노조와 2025년 임금 교섭을 진행 중인 SK하이닉스가 노조를 상대로 PS 상한선 기준 1700% 상향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27일 업계 등에 따르면 SK하이닉스 전임직(생산직) 노조와 사측은 지난 26일 청주캠퍼스에서 제8차 2025년 임금 교섭을 열고 이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먼저 사측은 기존 1000%까지 지급했던 PS의 상한선 기준을 1700%로 대폭 상향하는 방안을 노조에 제시했다. 또 1700%를 지급한 뒤 남은 영업이익 10% 재원 중 50%를 구성원들의 PS 재원으로 사용하는 방안도 함께 제안했다.
PS는 연간 실적에 따라 매년 1회 연봉의 최대 50%(기본급의 1000%)까지 지급하는 인센티브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021년부터 전년 영업이익의 10%를 재원으로 개인별 성과 등을 고려해 구성원들에게 PS를 지급해왔다.
사측이 노조에 제시한 PS 개선 방안에 의하면 전년에 30조원의 영업이익이 발생할 시 10% 수준인 3조원을 재원으로 활용하는데 이중 최대 1700%를 PS로 지급하고 남은 재원의 절반을 적립해 다시 구성원들에게 돌려주게 된다. 나머지 절반은 미래 투자 등에 사용한다.
또한 사측은 이번 교섭에서 PS 상한선 기준 초과분 지급시 ‘5년 적금방식’과 ‘2년+3년 연금방식’ 등 두 가지 안을 통해 전체 구성원에게 지급하겠다며 구체적인 확정·담보 방안도 함께 공개했다.
사측에 따르면 적금방식은 5년 내 IB(PS 지급률)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갈 경우 적립된 재원을 1700%까지 지급하고 남은 재원은 5년 종료 시점에 일시 지급한다. 연금방식은 2년 동안 재원을 축적한 뒤 이후 3년간 동일 비율로 전액 지급하게 된다.
SK하이닉스는 복수노조 체제를 도입해 한국노총 산하 이천·청주 캠퍼스 전임직 노조와 민주노총 산하 기술직 노조가 각각 따로 임금 교섭에 나선다.
앞서 지난 5월말부터 SK하이닉스는 전임직 및 기술직 노조를 상대로 2025년 임금 교섭을 시작한 바 있다.
당시 기술직 노조의 경우 ▲임금 8.25% 인상 ▲연봉 상한선 상향 ▲차량 유지비 및 유류비 등 통상임금 확대 ▲인사평가 개선 구성원 대상 업적금 800% 보장 ▲초과이익분배금(PS) 배분율 상향 및 상한 폐지 등을 사측에 요구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