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SK하이닉스, 올 1분기 '어닝서프라이즈'…영업이익 2.8조원

HBM 등 AI 관련 반도체 수요 늘면서 수익성 큰 폭 증가
작년 1분기 영업손실 3조4023억원 떨치고 흑자전환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SK하이닉스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2조8,000억여원을 넘어서면서 그간 회사가 기록한 1분기 실적 중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25일 SK하이닉스가 공시한 ‘2024년 1분기 연결재무제표기준 영업실적’에 따르면 회사는 올 1분기 매출 12조4296억원, 영업이익 2조8860억원, 순이익 1조9170억원을 거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매출의 경우 전분기 대비 10%, 전년 동기 대비 144% 각각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734% 급증했고 작년 1분기 영업손실 3조4023억원과 비교해 흑자로 돌아섰다. 작년 1분기 –67%를 기록했던 영업이익률도 작년 4분기 3%에 이어 올해 1분기 23%로 크게 개선됐다. 

 

순이익은 작년 1분기 순손실 2조5855억원 및 같은해 4분기 순손실 1조3795억원에 비해 흑자전환됐다.

 

SK하이닉스측은 1분기 호실적에 대해 “HBM 등 AI(인공지능) 서버향 제품 판매량을 늘리면서 수익성 중심 경영을 지속한 결과 전분기에 비해 영업이익이 734% 증가했다”며 “낸드 역시 프리미엄 제품인 eSSD 판매 비중이 확대되고 평균판매단가(ASP, Average Selling Price)까지 올라 흑자전환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AI 메모리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올 하반기부터는 일반 D램 수요도 회복돼 올 한해 메모리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며 “일반 D램보다 큰 생산능력(Capacity, 이하 캐파)이 요구되는 HBM과 같은 프리미엄 제품 위주로 생산이 늘어나면서 범용 D램 공급은 상대적으로 축소돼 공급사 및 고객이 보유한 재고가 소진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한편 SK하이닉스는 HBM 등 급증하는 AI 반도체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자 지난 24일 신규 팹(Fab)인 청주 M15X를 D램 생산기지 건설을 결정했다. 회사는 이달 말부터 본격적으로 팹 건설 공사를 시작해 오는 2025년 11월 준공 후 제품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장비 투자도 순차적으로 진행해 장기적으로는 M15X에 총 20조원 이상 투자를 집행해 생산 기반을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SK하이닉스는 중장기적으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미국 인디애나 어드밴스드 패키징 공장 등 미래 투자도 차질 없이 진행하기로 했다.

 

김우현 SK하이닉스 부사장(CFO)은 “HBM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1위 AI 메모리 기술력을 바탕으로 당사는 반등세를 본격화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최고 성능 제품 적기 공급, 수익성 중심 경영 기조로 지속적인 실적 개선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SK하이닉스가 지난 24일 분기 현금배당을 공시했다. 1주당 배당금은 300원(시가배당률 0.2%)이며 배당금 총액은 2065억8447만4200원이다. 배당기준일은 올해 3월 31일이다. 배당금은 이사회 결의일인 24일로부터 20일 이내 지급할 예정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