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기상청 제공

민간 연구기관장 “올 경제성장률 2.0~2.2% 수정”

현대경제연구원 2.0∼2.2%, LG경제연구원 2% 내외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민간 연구기관장들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2.0% 초반대로 전망했다.

 

23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및 기획재정부 장관이 참석한 국책·민간 연구기관장 회의에서 민간 연구원장들은 올해 경제 성장률을 2.0~2.2%로 전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재부가 지난달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2.4∼2.5%로 수정했다.

 

하지만 이날 논의 후 이동근 현대경제연구원장은 2.5%로 내놨던 경제성장률 전망을 2.0∼2.2% 사이로 낮췄다고 전했다.

 

김영민 LG경제연구원장도 2.3%로 예상했던 올해 성장률을 2% 내외 또는 상황에 따라 1%대로도 낮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것에 대해 정부도 고민하고 있으며, 하반기 하방 리스크 방어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글로벌 경제의 위험요소와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대해서도 이야기가 오갔다.

 

경기둔화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확대, 미중 무역 분쟁 심화, 홍콩 시위, 아르헨티나 금융 불안 등이 글로벌 경제의 4대 이슈로 제기됐다.

 

일본 수출규제 관련 참석자들은 아직 기업의 직접적인 피해가 없지만, 부의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과 국내산 부품의 실증 연구개발(R&D) 지원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적극적인 재정·통화정책,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서비스업 및 신산업 육성, 규제 완화와 세제지원 등 기업 투자여건 개선, 영세중소기업과 자영업자 지원 등이 제안됐다.

 

관광·문화·예술 등 서비스산업 성장 동력 확보와 확장적 재정의 필요성, 노동시장 유연화 및 산업안전 규제 완화 등도 거론됐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최정표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 이재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장지상 산업연구원(KIET) 원장, 차문중 삼성경제연구소 대표이사, 염용섭 SK경영경제연구소장, 이동근 현대경제연구원장, 김영민 LG경제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정부조직 개편, 미래 산업 강국으로 가는 시험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이재명 정부가 출범 석 달 만에 내놓은 조직개편안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전략적 행보로 읽힌다. 검찰 개혁 등 정치적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개편의 진짜 무게추는 경제와 미래 산업을 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AI를 단순한 신산업이 아닌 국가 성장 동력의 최전선으로 놓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약 17년 만에 부활하는 과학기술부총리는 정부의 기술·산업 혁신 정책을 총괄하며, AI·반도체·첨단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밀어붙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기능을 일원화한 조치는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가 방송 업무에서 벗어나 AI와 첨단기술 정책에 전념하도록 해, 정부 부처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려는 의도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AI전략위원회는 범부처 정책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