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금융신문=황준호 여행작가) 메밀,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구황작물 메밀은 중국 서북부 및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삼국 시대 이전부터 유입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백제 유적지에서 탄화된 메밀이 출토되었고, 태안 앞바다에서 발견된 고려 시대 곡물 운반선 ‘마도 1호선’에서도 벼, 콩, 조, 젓갈과 함께 메밀이 실려 있었던 흔적이 확인되었다. 문헌상으로는 고려 시대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조선 시대에는 《동국세시기》, 《규합총서》 등에 메밀국수와 메밀묵 조리법이 소개되었다. 특히 홍만선이 쓴 《산림경제》에서는 메밀을 흉년에 대비한 구황작물로 적합하다고 기록했을 정도로, 메밀은 오래전부터 한반도에서 중요한 식재료로 자리 잡아왔다.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뿐만 아니라 제주도까지 전국적으로 메밀이 재배되고 있다. 대표적인 메밀 음식으로는 막국수와 평양냉면이 있으며, 이제는 전국적으로 쉽게 접할 수 있다. 특히 강원도 지역에서는 메밀묵, 메밀전, 메밀전병을 어디서나 쉽게 맛볼 수 있다.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이 된 평창을 비롯해 영월 등지에서는 메밀이 활발히 재배될 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한 다양한 음식이 널리 알려져
파란 하늘 한 조각 / 경규민 먼 길로 돌아서 천 사백여 계단을 가쁜 숨 몰아쉬며 부리나케 올랐다 사뿐히 내려앉은 파란 하늘 한 조각 티 없이 맑아 빛까지 발(發)하는 데다 빙그레 미소 짓는 너그러운 모습에 그만 단번에 달려가 뜨겁게 포옹했다 가슴이 쿵쿵 뛰어댄다 이 기분 이 기쁨을 무슨 수로 다 형용할 수 있으랴 오 가는 이들 손 끌어 꼭 잡고는 심경(心境)을 토로하며 마구 타박이라도 할 법한데 당최 그런 기색(氣色)이라곤 티끌만치도 보이질 않으니 긴 긴 세월을 인내와 너그러움 그리고 정갈함으로 히무던하게도 살아왔나 보구나 너는 언제인지 알 수는 없지만 분명 우리 곁으로 다가오고 있으리라 구색을 갖춰 오든 불쑥 다가오든 간에 그날이 오면 가슴을 활짝 열고 여과 없이 함성을 토해내면서 덩실덩실 춤을 추자는 약속을 담보(擔保)로 남기고도 모자라 네 모습을 고스란히 품었는데도 못내 아쉬움에 슬며시 옷자락을 잡는 너를 어쩔 수 없이 거절해야만 하니 억장이 무너진다 한 발짝 한 발짝 옮기면서 우리 만남을 곱씹어 봐야만 했다 나는. [시인] 경규민 경기도 고양시 거주 대한문학세계 시 부문 등단 대한문인협회 정회원(경기지회) (사)창작문학예술인협의회 회원 저서: 제1시
이국의 밤하늘을 품는다 / 황다연 잡힐 듯 가까이 큰 별이 듬성듬성 머리 위에 유난히 반짝이며 밝게 빛난다 생전에 볼 수 없을 풍경을 바람과 공기까지 머문 자리 이 흔적을 적바람으로 남겨둘까 함께 가자 채근한 너의 마음이 참 고맙다 가만히 손을 잡는다 우정의 깊이가 밤하늘의 별빛만큼 깊이 파고드는 하이난의 첫 밤 시원하게 펼쳐질 내일이 설렌다. [시인] 황다연 경남 창원 거주 대한문학세계 시 부문 등단 대한문인협회 정회원(경남지회) (사)창작문학예술인협의회 회원 저서 : 시집 “때로는 아픔마저 사랑이었다” [詩 감상] 박영애 시인 여행을 떠난다는 것은 두근거림과 설렘, 행복의 기대감 그리고 낯선 곳에 대한 두려움도 공존한다. 또한 누구와 함께 가느냐에 따라 그 여행의 분위기는 달라지고 보내는 시간도 달라진다. 시적 화자의 여행은 친구와 함께 보내는 달콤한 시간이 느껴진다. 이 세상에서 살아간다는 것도 하나의 여행이다. 이 삶의 여행이 가끔은 고되고 힘들기도 하지만, 더 많이 행복하고 즐거운 여행이 되는 을사년이 되길 희망한다. [낭송가] 박영애 충북 보은군 거주 대한문학세계 시 부문 등단 (사)창작문학예술인협의회 부이사장 대한문인협회 정회원 (현) 시인, 시
(조세금융신문=나단(Nathan) 작가) 子在川上曰 ; “逝者如斯夫 不舍晝夜.” 자재천상왈 ; “서자여사부 불사주야.” 공자께서 냇가에서 말씀하셨다. “가는 것이 이와 같구나. 밤낮으로 흐르는구나!”_자한子罕 9.16 한 노인이 시냇가에서 물이 흐르는 것을 바라보며, 세월의 무상함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가는 것이 이와 같구나. 밤낮으로 흐르는구나”라고 말입니다. 그의 뒤에는 많은 제자들이 정중하게 손을 맞잡고 서 있습니다. 쓸쓸해 보이는 스승의 뒷모습을 보면서 제자들은 무엇을 느꼈을까요? 후대에서는 이렇게 해석했습니다. 공자가 세월이 빨리 그리고 허무하게 흘러감을 한탄했다는 것입니다. 공자는 15세에 학문에 뜻을 세운 후 눈부신 성취를 이루었습니다. ‘인(仁)’의 개념을 널리 설파해서 사람과 사람의 관계에는 역시 ‘사랑’이 가장 중요함을 강조했습니다. 임금이 신하와 백성을 사랑하고, 신하와 백성도 임금을 사랑한다면 사람들은 요순시대의 태평성대를 누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공자는 현실주의자이기도 했습니다. 부와 명예를 추구하지 않았지만 ‘도덕 정치’를 통해서 세상을 바로 잡기를 원했습니다. 세상이 안정된다면 당연히 백성들의 의식주 문제도 해결될 것이었습니다.
(조세금융신문=구기동 신구대 교수) 서당은 16세기에 향촌의 민간교육을 담당하면서 특히 집성촌인 씨족 사회를 규율하고 세력을 규합하였다. 집성촌인 충남 서천군 문산면 은곡리(한실)는 400여 년 전에 대곡서당을 설치하여 지역인재를 육성하였고, 구한말 의병활동에도 참여하면서 민족정신을 실천하였다. 대곡출신의 구병대 선생은 민종식의 홍주의병에 대곡서당을 숙영지로 제공하였고, 강습생들을 의병에 참여시키면서 군수품 조달에 앞장섰다. 서당은 교육적 기능과 사회활동을 위한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였지만 신교육에 밀려 사라지면서 보존해야 할 서당의 역사성과 문화적 가치도 소멸되고 있다. 16세기 사림파에 의한 서당의 확산 서당은 초등교육기관으로 설립에 필요한 기본재산이나 법률적 인가를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뜻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서당을 세워서 운영하거나 사정에 따라 해체할 수 있었다. 16세기 사림파가 지역에 유교적 질서를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성리학 공부나 과거 응시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주로 지역 내 유력한 가문이나 씨족을 중심으로 몇 개의 자연 부락이 결합하여 서당을 설립하였다. 18세기 후반기에 서당 설립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종손을 중심으로 종중에서 공동관리로
시 짓는 지금 / 이동백 강산이 여섯 번이나 바뀐 뒤에 어쩌다 시인이 되어 만월의 달빛 같은 시를 짓기 위해 마땅한 글귀를 찾으려 쪽배를 띄웁니다 내세울 것 없던 삶의 허기를 극복하게 해준 글쓰기는 공허한 가슴을 채워주는 힐링이 되어 내 인생의 방향을 바꿔 놓았습니다 글을 쓰는 일이 배를 부르게 하는 일은 아니라지만 영혼이 풍요로워지는 것만으로도 헛되이 보내는 세월은 아닐 것입니다 그믐밤별처럼 빛나는 글로 세상을 반짝이게 할 수는 없을지라도 아직 풀지 못한 숙제라 해도 내 마음은 지금 꿈같은 달밤입니다. [시인] 이동백 청주 거주 대한문학세계 시 부분 등단 대한문인협회 기획국장 (대전충청지회) (사)창작문학예술인협의회 회원 저서 : 시집 “동백꽃 연가” [詩 감상] 박영애 시인 이동백 시인의 ‘시 짓는 지금’ 작품을 읽으면서 시적 화자의 마음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이른 나이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또 늦은 나이라고 볼 수도 없다. 시를 짓고 글을 쓴다는 것은 나이 제한이 없다. 무엇이든 시작이 반이다. 시적 화자는 글을 쓰면서 물질적인 것보다는 마음의 풍요로움을 얻고 삶의 보람을 느끼고 있다. 누군가 내 작품을 알아주지 않더라도, 시를 짓고 글을 쓴다는 그 시
(조세금융신문=박수환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 작지만 화려한 군무의 가창오리, 작은 씨앗에서 시작한 느티나무 세상에 동요하지 않고 세월을 낚은 강태공과 그 후세처럼 기다림이 필요하다 與課曹共叙(여과조공서) 구암 구병대(丘秉大, 1858〜1916) 淸宵隨月上高臺 好事人間又一盃 밝게 갠 밤에 달을 따라 높은 곳에 올라서 경사스런 일로 사람들과 한잔 술 나누었네. 情話縱欣元亮里 詩名愧乏謫仙才 원양리 마을에서 정담을 즐겁게 이어가고 시 짓는 재주 부족으로 책망에 부끄러웠네. 課兒窓畔孤燈照 野老籬邉小路回 낮은 점수를 창가 등잔불에 혼자 비출 때 시골 노인 울타리 곁 작은 길로 돌아오네. 堪歎光陰如水去 幾時節序管移灰 빠른 세월이 흐르는 물과 같음을 한탄하니 어느 시절에 불태워 꿰뚫어 펼쳐 보이려나. 맑게 갠 밤에 밝은 달을 따라 마을 경사스런 일로 교우하던 문우들과 초청을 받아 높은 누각에 올라 모인 사람들과 정담을 나누며 술잔을 나누고 둘러앉아 시제에 맞춰 시를 짓는다. 그러나, 시에 대한 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하고, 책망을 받아 부끄러워하였다. 모임이 끝나고 돌아오는 길 창가에 외롭게 비치는 등잔불과 선생의 마음을 대변하고 있다. 선생은 노력하지 않고 빠
(조세금융신문=김지연 객원기자) “가라 내 마음이여, 금빛 날개를 타고 언덕 위로 날아가라” _오페라 <나부코> 中 요즘은 나라 때문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자주 감상하던 음악 대신 매일 정치 뉴스를 듣다 보니 여유도 없고 머리가 아픕니다. 나라가 위기에 처할수록 하나로 단결하는 힘이 컸던 우리의 역사 속 전력이 있기에 ‘반드시 일어나리라’ 희망을 가져 보지만, 국격을 지켜주던 나라의 모든 수준이 평균에도 못 미치는 정치 상황은 정말 답답하고 견디기 힘이 듭니다. 이탈리아인을 하나 되게 한 ‘히브리인의 합창’ 애국심이 진하게 묻어있는 베르디의 오페라 <나부코> 중 ‘히브리인의 합창’을 소개합니다. 오페라 나부코는 ‘Temistocle Solera’가 쓴 대본에 베르디가 작곡한 오페라입니다. 구약성경에는 포로로 끌려간 히브리인들이 이방 땅에서 “바빌론 강가에서 요단강을 그리워하며 우리는 울었네”라고 탄식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바로 이 대목을 모티브로 하여 오페라 나부코는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좀 더 디테일하게 말하자면, 베르디는 이 나부코의 전체적인 작업에 착수하기 전에 ‘히브리인의 합창’이라는 곡을 먼저 작곡해 놓고 나서 전반적인
(조세금융신문=이현균 회원권 애널리스트) 2024년 회원권시장은 장기간 이어지던 코로나19 수혜가 축소되는 과정에서 불안정한 흐름으로 출발했으나 상반기까지는 자산시장의 영향력이 다소 축소되는 국면을 맞으면서 시장내부의 자생력과 수급에 초점이 맞춰지는 듯한 경향을 보였다. 이에 수요에 비해 부족한 회원권 물량 탓으로 대기수요가 누적되자 상승세가 꾸준히 시현됐었다. 그러나, 하반기 들어 점차 경기침체 여파가 부각되며 주요 중견, 대기업들의 매출과 수익까지 악화되자 결국 비상경영에 들어섰고 이들은 회원권매입을 비롯해 전반적인 자금지출을 줄이고자 하는 지침으로 이어졌다. 게다가 일부 골프장들은 수익성 강화의 목적으로 연회비 부과정책을 시행하면서, 주요 수요자들로 하여금 회원권 매입 시기를 미루거나 추가 매입을 보류하는 사례를 증가시키게 했다. 이는 초고가 종목이 급락하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12월 3일 비상계엄령 사태로 인해, 자산시장이 극도로 불안정한 양상으로 돌변하면서 관망세가 확대되기도 했고 이후 탄핵정국의 해결과정 여파에 따라 시장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초고가 종목은 에이스회원권지수(ACEPI
다시 그릴 수 있다면 / 임현옥 다섯 개의 어린 별을 품고 자신의 빛을 감춰야 했던 어린 소녀가 있었습니다. 가슴 가득한 책과 꿈 대신 작은 등 뒤엔 동생들의 울음과 웃음이 업혀있었고 한 번쯤은 사랑받는 아이이고 싶었습니다 그 한 번쯤은 자신만의 세상을 그리고 싶었고 그 꿈마저 묻어야 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다시 그릴 수 있다면 소녀는 먼 하늘 바라보며 손가락으로 꿈을 그려냅니다 동그랗게 동그랗게 그러나 그 소녀의 손길 속에 다섯 개의 별들은 반짝이며 자랐고 자신 희생 속으로 소녀는 따뜻한 마음속에 행복을 키워내는 커다란 법을 배우며 자랐습니다 [시인] 임현옥 서울 거주 대한문학세계 시 부문 등단 대한문인협회 정회원(서울지회) (사)창작문학예술인협의회 회원 [詩 감상] 박영애 시인 가족을 위해 자신의 꿈과 희망을 접고, 희생했던 그 시절을 회상하는 시적 화자의 모습이 시 속에 그려지고 있습니다. 늦었지만, 깊이 간직했던 꿈을 이제라도 꺼내 삶 속에 그려가고 있는 모습이 참 멋지고 대단합니다. 어릴 적 꿈은 가슴 깊이 묻어두었지만, 그 희생을 통해 행복해하며 살아가는 가족의 모습을 보면서 더 많이 행복해하는 시적 화자의 모습을 바라봅니다. 그리고 자신을 사랑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