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맑음동두천 25.8℃
기상청 제공

KT, 1Q 영업익 4.8% 감소…“새로운 회계기준 탓”

유·무선 사업 ‘주춤’…미디어·콘텐츠 사업은 ‘호조’

(조세금융신문=김성욱 기자) KT의  1분기 실적이 악화됐다. 정부의 통신비 인하 정책에 따른 유·무선 사업 매출 감소 때문이다. 바뀐 회계기준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 기존 회계기준을 적용할 경우 1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대 성장세를 기록했다.

 

KT는 연결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9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5조7102억원으로 1.8%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2241억원으로 0.1% 줄었다.

 

하지만 이같은 영업이익 감소는 이번 분기부터 새로운 회계기준인 ‘IFRS(국제회계기준) 15’가 적용됐기 때문이다. IFRS 15의 가장 큰 변화는 리베이트(판매 수수료) 등 마케팅 비용을 자산화하면서 고객 가입기간동안 분산해 적용한다는 점이다.

 

기존 IFRS 10 기준으로는 마케팅 비용이 줄어들면 비용 감소로 나타나지만 IFRS 15 기준으로는 지난해 많이 쓴 마케팅 비용이 이연되면서 비용 증가로 나타나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존 회계기준으로 집계한 1분기 매출액은 5조8379억원, 영업이익은 435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0%, 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사업별 매출 증감을 기존 회계기준으로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무선과 유선사업은 매출이 다소 감소했지만 미디어·콘텐츠 및 상품 매출은 증가세를 보였다.

 

무선 매출은 선택약정 할인율 상향 및 선택 증가, 취약계층 요금감면 등 부정적 요인으로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했다. 다만 프리미엄 가족결합, 데이터 기반 부가서비스 등 마케팅을 지속한 결과 5분기 연속 휴대폰 가입자 순증세를 이어갔다. 또 전분기 대비 휴대폰 가입자는 지난 2014년 3분기 이후 최다인 6만5000명을 기록했다.

 

유선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3.3% 줄었다. 유선전화의 매출 하락세를 인터넷 사업의 성장세가 상쇄하는 흐름이 계속됐다. 인터넷사업 매출은 지난 2015년 2분기 이후 11분기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전년 동기 대비 4.1% 성장한 5167억원을 기록했다.

 

KT 인터넷사업 호조에는 ‘기가 인터넷’ 가입자의 확대 때문이다. 올해 1분기에도 약 30만명이 순증하며 3월 말 기준으로 KT 전체 인터넷 가입자의 49%에 달하는 420만명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미디어·콘텐츠 매출은 IPTV 우량 가입자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8.1% 늘어난 5617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별도기준 IPTV 매출은 323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4% 증가하며 미디어·콘텐츠 분야 매출 성장세를 주도했다.

 

이밖에도 금융 매출은 중국 은련카드 매입액 감소에 따라 BC카드 매출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한 8327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기타서비스 매출은 인터넷데이터센터(IDC) 및 보안사업 호조로 0.6% 증가한 5370억원을 올렸다. BC카드, 스카이라이프 등 그룹사는 영업이익에 900억원 이상 기여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정부조직 개편, 미래 산업 강국으로 가는 시험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이재명 정부가 출범 석 달 만에 내놓은 조직개편안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전략적 행보로 읽힌다. 검찰 개혁 등 정치적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개편의 진짜 무게추는 경제와 미래 산업을 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AI를 단순한 신산업이 아닌 국가 성장 동력의 최전선으로 놓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약 17년 만에 부활하는 과학기술부총리는 정부의 기술·산업 혁신 정책을 총괄하며, AI·반도체·첨단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밀어붙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기능을 일원화한 조치는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가 방송 업무에서 벗어나 AI와 첨단기술 정책에 전념하도록 해, 정부 부처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려는 의도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AI전략위원회는 범부처 정책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