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카드 · 제2금융

카드사, 여름 휴가철 앞두고 고객 모시기 ‘불꽃 경쟁’

할인·적립금 혜택 등 내세우며 고객 잡기 나선다

 

(조세금융신문=곽호성 기자) 지난 5월 18일은 성년의 날이었다. 어른이 되면 자신의 소비생활에 책임을 지게 된다. 성인이 되면 신용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갓 성인이 된 젊은이들 외에도 모든 성인들이 여름이 되면 신용카드를 새로 발급받아 볼까 하는 생각을 갖게 된다. 여름 휴가철에는 소비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이런 흐름에 발맞춰 각 카드사들은 신용카드를 발급받고 싶어 하는 고객들을 상대로 나이별 성별 소비패턴에 맞춘 다양한 할인들을 담아 고객들을 기다리고 있다.

 

삼성카드

 

삼성카드는 ‘삼성카드 3 V4’를 추천했다. 삼성카드 3 V4는 ‘숫자카드 V4’ 시리즈 중 하나다. 숫자카드 V4는 각 상품별 라이프 스타일을 5가지로 나누고 생활필수영역에서 할인해준다.

 

삼성카드 3 V4는 자녀를 가진 30~40대 기혼 남성 및 기혼 여성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다. 삼성카드 3 V4 대상 고객은 차를 갖고 있지만 주말 정도에만 운전하는 기혼 남성, 자녀를 기르고 있지만 교육비 부담이 크지 않은 기혼 여성이다.

 

생활 필수 영역 할인 서비스로는 ▲교육·주유 3% 결제일 할인 ▲할인점·온라인쇼핑몰·해외 3% 결제일 할인 ▲편의점·배달 앱·신선식품배송·커피·제과 3% 결제일 할인 ▲영화 5000원 결제일 할인 ▲놀이공원 50%·워터파크 30% 현장 할인 등이 있다.

 

롯데카드

 

롯데카드는 가정의 달 대표상품으로 충전이 필요 없는 교통카드와 자녀의 용돈 관리 기능을 합친 ‘티니패스카드’를 내놓았다. 이 카드의 가장 큰 특징은 부모 신용카드와 연결해 별도 충전 없이 청소년 교통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부모가 ‘롯데카드 라이프’ 앱과 홈페이지에서 현금없이 신용카드로 용돈을 충전해 줄 수 있다. ‘정기충전’ 기능을 쓰면 매월 지정 날짜에 원하는 금액이 자동 충전된다. 자녀가 용돈을 함부로 쓰는 일이 없도록 자녀의 사용 내역과 잔액을 즉시 볼 수 있는 ‘잔액알림 SMS서비스’도 준비돼 있다.

 

오는 31일까지 티니패스 카드 자동충전형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경품 추첨 이벤트도 연다. 구매금액 30만원 이상 고객 20명에게는 새학기 신발 구매 이용권 10만원권, 구매금액 15만원 이상인 30명에게는 학용품 구매 이용권 5만원권, 구매금액 5만원 이상인 50명에게는 기프티샷 롯데모바일상품권 1만원권을 추첨을 거쳐 증정한다.

 

우리카드

 

우리카드의 추천상품은 ‘카드의정석 SHOPPING’이다. 카드의정석 SHOPPING은 백화점, 대형할인점, 프리미엄아울렛, 슈퍼마켓, 편의점에서 10% 할인된다. 창고형 할인매장인 이마트 트레이더스, 롯데VIC마켓, 이케아 등에서도 할인 받을 수 있으며 H&B(헬스&뷰티) 매장인 올리브영, LOHB’s, 랄라블라와 균일가 생활용품점 다이소에서도 10%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 온라인쇼핑 및 간편 결제 이용고객들을 위한 혜택도 있다. 모든 온라인쇼핑 10% 할인을 기본으로 하며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페이코 등의 간편 결제 서비스에 이 카드를 등록해서 결제하면 5% 추가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최대 15%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결제 서비스가 주는 자체 포인트도 적립된다. 뿐만 아니라 주말에 4대 주유소(SK주유소,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를 이용하면 리터당 60원 할인, 스타벅스, 폴 바셋 10% 할인도 받을 수 있다.

 

KB국민카드

 

KB국민카드 상품 중에는 ‘KB국민 이지 링크(Easy link) 티타늄 카드’가 주목받고 있다. 이 카드는 전월에 50만원 이상 이용하고 통신요금, 아파트관리비, 도시가스, 초중고 학교납입금, 4대 사회보험료, 전기요금을 자동납부할 경우 납부 건수에 따라 월 최대 1만원이 캐시백된다. 자동납부 건수가 2건 이상일 경우 월 5000원, 4건 이상이면 월 1만원이 캐시백된다.

 

통신요금(SKT, KT, LG U+, KB Liiv M)의 경우 전월 이용실적이 100만원 이상이며 건당 3만원 이상 자동납부할 경우 월 1회 5000원 할인 혜택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또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고객 선호도가 높은 업종 관련 혜택이 들어있는 ‘패밀리팩’, ‘사업자팩’, ‘직장인팩’등 3가지 서비스 팩 가운데 1개를 골라 5%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이외에 영화관(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 음원사이트(멜론/지니)와 가전 렌탈(청호나이스 /웅진코웨이) 등 정기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때도 추가 할인 혜택을 챙길 수 있다.

 

하나카드

 

하나카드는 ‘1Q카드 All In’을 선보였다. 이 카드의 최대 특징은 고객이 주로 쓰는 업종 대상 하나머니 적립(월 최대 12만 5000 하나머니)이다.

 

통신, 렌탈, 대중교통, 케이블TV, 전기의 경우 월 합산 사용금액이 10만원 될 때마다 5000하나머니가 적립된다. 전월 실적이 30만원 이상인 경우 1만 하나머니(월 최대 적립규모는 1만 하나머니)가 적립된다.

 

마트, 백화점, 홈쇼핑, 주유의 경우 월 합산 사용금액이 10만원 될 때마다 5000하나머니가 적립되며 업종별 2만 하나머니까지 모을 수 있다. 월 최대 8만 하나머니를 모을 수 있다.

 

전월 실적 30만원 이상 60만원 미만인 경우에는 월 최대 1만 하나머니가 적립된다. 전월 실적 이 60만원이면 월 최대 2만 하나머니가 제공된다.

 

아울러 병원/학원, 해외 모든 가맹점에서 월 합산 사용금액이 10만원이 되면 5000 하나머니를 적립해준다. 아파트관리비 10만원 이상 자동이체 결제해도 월 1회 5000 하나머니가 적립된다.

 

이외에 ▲KEB하나은행 결제계좌 이용고객 월 1회 커피할인 ▲출국 전 마스터카드 제휴 라운지 무료 이용 ▲카드 건별 결제 금액의 일부를 하나머니로 결제 등의 혜택이 있다.

 

NH농협카드

 

NH농협카드는 필요한 서비스를 자유롭게 고를 수 있는 ‘올바른MYPICK카드’를 추천했다.

 

올바른MYPICK카드는 기본 서비스와 함께 5개 PACK서비스 중 고객이 원하는 1종을 골라서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기본 서비스로는 ▲해외 전가맹점 5% 할인, ▲전 세계 스타벅스와 국내 커피(투썸플레이스, 이디야) 5% 할인 ▲전국 택시 및 대중교통 5% 할인이 있다.

 

또 ▲연 2회 국제공항 라운지 무료이용 ▲전자금융 수수료 월 10회 면제 ▲연간 1000만원 이상 이용 시 1만 NH포인트 제공 서비스가 있다.

 

맞춤형 할인 혜택인 PACK 서비스로는 FOOD(음식), SHOPPING(쇼핑), MEDI(의료), TRAVEL (여행), HEALTH&BEAUTY(건강&미용)가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