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구름조금강릉 27.3℃
기상청 제공

정책

윤석헌 "금감원의 중요한 과제는 신뢰 회복과 제고"

조직 개편 키워드는 '금융소비자보호'

 

(조세금융신문=곽호성 기자) 윤석헌 금융감독원장(금감원장)이 23일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열린 금감원 출입기자단 송년간담회에서 “제재는 공정해야 하고 시장에 올바른 시그널을 보낼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원장은 “제재는 공정해야 하고 현행법 테두리 내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게 큰 명제”라고 설명했고 금감원의 중요한 과제에 대해 “신뢰 회복 또는 신뢰 제고”라고 답변했다.

 

금감원 조직 개편에 대해선 “금융소비자보호 조직 강화를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자본시장 상시 감시와 보험·연금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봤다.

 

윤 원장은 남은 임기 중에 꼭 풀고 싶은 과제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금감원의 중요한 과제는 신뢰 회복 또는 신뢰 제고”라고 답변했다.

 

금감원의 파생결합상품(DLF)관련 제재 방침에 대해선 “제재는 공정해야 하며 법과 규정에 따라 제재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큰 명제”라며 “시장에 올바른 신호를 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증권사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규제가 있는데 최근 부동산 정책과도 연관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부동산 PF 대출 규제는 금융위원회에서 제시했던 규제로 알고 있다”며 “자금이 자꾸 부동산으로만 가려는 경향을 조금 바꿔보려고 굉장히 애를 많이 쓰고 있다”고 말했다.

 

윤 원장은 “(부동산 PF 대출규제가) 우리나라 금융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꼭 필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DLF 비대위 등이 금감원이 은행에게만 세부 배상기준을 공개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에 대해선 “은행에만 기준을 공개한 것은 은행이 이 문제를 주도해서 끌고 가야한다는 생각이었다”며 “사실관계에 대한 조사가 지금 이뤄지고 있는데, 필요하다면 소비자들에게도 공개할 의사가 있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정부조직 개편, 미래 산업 강국으로 가는 시험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이재명 정부가 출범 석 달 만에 내놓은 조직개편안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전략적 행보로 읽힌다. 검찰 개혁 등 정치적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개편의 진짜 무게추는 경제와 미래 산업을 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AI를 단순한 신산업이 아닌 국가 성장 동력의 최전선으로 놓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약 17년 만에 부활하는 과학기술부총리는 정부의 기술·산업 혁신 정책을 총괄하며, AI·반도체·첨단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밀어붙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기능을 일원화한 조치는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가 방송 업무에서 벗어나 AI와 첨단기술 정책에 전념하도록 해, 정부 부처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려는 의도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AI전략위원회는 범부처 정책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