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정치

[재산공개] 김주현 금융위원장 31억...김소영 부위원장 293.7억 신고

이복현 금감원장 18.6억·강석훈 산업은행장 28.6억·윤희성 수출입은행장 26.7억 신고

 

(조세금융신문=송기현 기자)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등 금융당국 수장의 재산이 1억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관보에 공개한 2023년 고위공직자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1억7천176만원 상승한 293억7천625만원을 신고해 중앙부처 고위공직자 가운데 재산이 세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부위원장은 지난 신고 당시 보유했던 상장 주식 대부분을 매도 후 예금 등에 가입하면서 예금 자산이 3억7천242만원 늘었다.

 

김 부위원장의 신고 재산 중 대부분은 비상장사인 중앙상선 주식회사 주식(21만687주)으로, 209억2천354만원 상당을 차지했다.

 

해운선사인 중앙상선은 김 부위원장의 직계 가족이 대주주이자 대표이사로 있는 회사로 전해졌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022년 정기 신고 때보다 1억9천624만원 증가한 31억868만원을 신고했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 아파트 공시가격이 종전보다 1억7천728만원 상승한 영향이 컸다.

 

한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재산은 지난 신고 당시보다 492만6천원 감소한 18억6천239만원이었다.

 

금융 공공기관 수장의 공개 내역을 보면, 강석훈 한국산업은행장은 종전 신고 때보다 2천836만원 감소한 28억6천6만원을 신고했다.

 

윤희성 한국수출입은행장은 1억4천616만원 증가한 26억7천724만원을, 최준우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은 3억4천894만원 증가한 23억7천747만원을 보유했다.

 

이재연 서민금융진흥원장은 1천55만원 감소한 39억9천986만원을, 최원목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은 1억6천690만원 감소한 47억3천111만원을 신고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