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7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세무사회 "일본 세리사회에 세무사자격자동부여 폐지 노하우 전수"

한국세무사회-일본세리사회연합회 제21차 정기간담회 개최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한국세무사회(회장 이창규)는 2일 서초동 세무사회관에서 우호협력을 맺은 일본세리사회연합회(회장 코즈 신이치)와 제21차 정기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일본세리사회연합회의 요청에 따라 지난해 12월 국회를 통과한 변호사의 세무사자격자동부여 폐지 세무사법 개정에 관한 정보와 노하우를 안내하는 것에 집중됐다.

 

 

 

이창규 회장은 인사말에서 “오랜 각고의 노력 끝에 드디어 지난 12월 8일 변호사에 세무사자격을 자동으로 부여하는 조항을 폐지하는 세무사법 개정 법안이 재석의원 약 90%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며 “세무사회의 발전에 한 획을 긋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고 당시 소회를 설명했다.

 

이어 “한국세무사회는 1991년 4월 2일 일본세리사회연합회와 우호친선협의서를 체결한 이래 27년간 긴밀한 협력과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면서 “양국 조세전문가단체 간 우호협력이 어느 단체보다 잘 이뤄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더욱 활발한 교류를 통해 양국 회원들이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한 특강, 세미나 개최 등 다양한 기회로 세무사제도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덧붙였다.

 

 

 

코즈 신이치 일본세리사회연합회 회장은 “한국세무사회가 세무사법을 개정해 변호사에게 세무사자격을 자동부여하는 제도를 폐지한 것을 매우 축하한다”면서 “이번 세무사법 개정은 전문자격사제도의 원칙을 바로 세우고 공정경쟁의 국가정책을 확립한 선례”라고 평가했다.

 

또한, “앞서 진행된 강연회에 많은 한국 세무사들이 참석해 줘 고맙다”면서 “이번 간담회를 통해서 전자신고세금계산서 제도 등 한국의 우수한 조세제도와 정책에 대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세무사회는 ▲일본 회계사시험 합격자의 세리사자격연수 ▲일본 세리사의 수입구조 ▲일본 세리사사시험 합격인원 ▲고향세(후루사토 납세) 도입 등에 관하여 질의했으며, ▲한국의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변호사에 대한 세무사자격자동부여 폐지에 대해 설명했다.

 

일본세리사회연합회는 ▲변호사의 세무사자격자동부여 폐지 세무사법 개정 ▲부가가치세 신고의 전자세금계산서제도 ▲납세자보호담당관의 직무 등을 질의했다. 특히, 코즈 회장을 비롯한 일본세리사회연합회 대표단은 지난해 세무사회가 성취한 변호사의 세무사자격자동부여 폐지 세무사법 개정의 세무사법 개정절차, 전략, 대국회 설득노력 등 개정에 대한 정보와 노하우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양국간 정기간담회에 앞서 일본세리사회연합회 코즈 회장의 특강이 진행됐다. 코즈 회장은 ‘일본 사업승계제도’(日本事業承継税制)에 관한 특강을 통해 제도와 관련된 일본세법과 일본 세제실무에 대한 지식을 상세히 전달했다. 이번 강연은 회원들에게 급변하는 각 국 조세환경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해외진출 및 세무서비스 시장개척에 도움을 제공하는 취지에서 처음 마련됐다.

 

이번 일본세리사회연합회와의 정기간담회 및 강연에는 한국세무사회에서 이창규 회장, 김형중ㆍ이헌진 부회장, 경준호 국제이사, 김성겸 국제협력위원장 등이 그리고 일본세리사회연합회에서는 코즈 신이치(神津信一) 회장, 오타 나오키(太田直樹) 부회장, 세가미 토미오(瀬上富雄) 전무이사, 마에다 아키히로(前田明弘) 국제이사, 오행철 국제위원이 참석했다.

 

한편, 지난달 15일에는 일본 중의원 8선의원인 나카가와 마사하루(中川正春)가 세무사회를 방문해 변호사의 세무사자격자동부여 폐지 세무사법 개정에 관한 자문을 구한 바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