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HEALTH & BEAUTY

[건강칼럼] 물방울 가슴성형, 비용보다는 체형 밸런스 조절 ‘중요’

가슴성형은 여성들의 콤플렉스는 물론 몸매 관리를 중시하는 현대 여성들에게 인기가 높은 성형 수술이다. 가슴성형에는 가슴지방이식을 비롯해 물방울가슴성형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슴성형비용이나 가슴수술비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면 낭패를 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가슴성형에는 보형물을 삽입하는 물방울가슴성형 등의 보형물 이식 수술과 자가 지방을 이식하는 가슴지방이식 방법 두 가지가 대표적이다.

 

물방울가슴성형 등 보형물을 통한 이식 수술은 사이즈 확대 폭이 더 크고 가슴지방이식 수술을 통한 수술법은 자연스러운 모양이나 촉감을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줄기세포 지방이식 이후 보형물을 삽입하는 방식의 시그니처 가슴성형을 권하기도 한다.

 

현재는 확대 폭이 넓다는 이유로 보형물을 통합 가슴성형이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가슴보형물은 매끄러운 스무스 타입과 거친 표면의 텍스처 타입으로 나눠진다. 지난해 불거진 앨런간보형물 희귀암 사태로 스무스 타입의 보형물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는 추세다.

 

최근에는 가슴보형물종류인 벨라젤가슴성형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벨라젤가슴성형 중 벨라젤 마이크로텍스처(벨라젤 스무스파인) 보형물은 기존 스무스형 보형물과 비교해 균일하고 세밀한 표면으로 구현된 가슴보형물로 인체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반응한다. 뛰어난 점탄성으로 부드러운 촉감 역시 강점이다.

 

벨라젤가슴성형 시 사용되는 벨라젤 보형물의 안전성도 높은 편으로 알려져 있다. 벨라젤 보형물은 FDA(미국식품의약국)에 등록된 실리콘을 원자재로 사용했다. 국내 임상을 통한 분석과 가슴성형 전문 의료진의 학술적 의견도 반영돼 부작용 가능성이 작다.

 

다만 보형물을 삽입하는 물방울가슴성형 등은 신체에 직접 보형물을 넣는 작업이기 때문에 가슴성형비용이나 가슴수술비용을 우선시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오히려 보형물을 삽입했을 때 외부에서는 염증 발생 등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슴성형 이후에도 꾸준하게 사후관리가 이어지는 병원을 찾는 것이 유리하다.

 

사후관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면 부작용 발생 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고주파 관리, 흉터 레이저 관리 등을 통해 회복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무리하게 가슴을 확대를 권하는 곳이나 가슴성형비용, 가슴수술비용이 인근 주변과 비교해 지나치게 저렴할 경우 집도의의 경력이나 사후관리 서비스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봐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이디성형외과 신인석 원장(외과 전문의)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