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직장인 A씨 연말정산 씨뮬레이션 해보니 '환급이 배'

납세자연맹 똑똑한 ‘연말정산 120% 환급계산기’ 적용 사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기자)연봉 5000만원인 무주택 세대주 직장인인 A씨는 올 한 해 신용카드공제 112만5000원을 받을 것으로 보고, 10월까지 불입한 연금저축 불입액 120만 원 등을 납세자연맹 자동계산기에 입력,  99만6320원(지방소득세 포함)의 결정세액을 구했다.

A씨는 예년 같으면 회사가 원천징수한 금액이 이 결정세액보다 많으면 그냥 환급받는 수준이었는데, 올해는 만기된 적금을 타 목돈이 좀 생긴 데다 결정세액도 너무 많게 느껴졌다. 마침 직장 동료의 귀띔으로 납세자연맹의 ‘연말정산 120% 계산기’를 알게 된 A씨는 연말까지 추가로 금융상품에 가입, 소득(또는 세액)공제를 통해 결정세액을 크게 줄여보기로 했다.

별도의 브라우저 환경 설정이나 공인인증서 설치 없이 납세자연맹 홈페이지에서 간단히 회원에 가입, ‘연말정산 120% 환급계산기’에 접속한 A씨는 연말까지 남은 2달간 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만 쓰고 현금영수증도 악착같이 챙겨 지출 600만원을 채우고, 소득공제장기펀드(소장펀드)에 300만원을 불입하였다.

또한 연금저축에 400만원, 개인형퇴직연금(IRP)에 300만원을 불입하면 절세액이 최대로 된다는 금융기관 직원의 안내에 따라 연금저축은 280만원(기가입분 120만원차감)을 추가 불입하고, 개인형퇴직연금(IRP)에 300만원을 불입하기로 하고 입력했다.

이렇게 입력한 뒤 결과보기 버튼을 누르자 결정세액 99만6320원을 전액 환급받을 수 있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연말정산 120% 환급계산기’는 특히 결정세액 전액을 환급받기 위한 금융상품별 불입액 한도까지 정확히 계산해 줬다. 특이한 사항은 금융기관의 안내와 달리 개인형퇴직연금(IRP)은 300만원까지 불입할 필요가 없고, 238,309원만 불입하면 최대로 세금환급을 받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납세자연맹 홍만영 연말정산팀장은 “금융상품 가입에 따른 세금환급액의 최대한도는 결정세액(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를 차감한 금액)이고, 면세점이하로 결정세액이 제로인 경우에는 금융상품 가입에 따른  세금환급액이 ‘0’원으로, 가입할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 연맹이 연말정산 검증대상자를 기준으로 산출해 본 결과, 연봉 5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1301만 명 중 59%인 773만 명이 면세자로 나타났다. 연봉 3000만~4000만원사이의 경우에도 33%가 면세자로, 자신의 결정세액을 미리 확인한 뒤 최적화된 금융상품 불입액 조합을 찾아 가입하라는 것이다.

한편 연봉 3000만 원대 초반 이하의 미혼 근로소득자의 경우 신용카드공제이외의 다른 공제가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엔 표준소득공제만 받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는 조언이다.

연맹의 ‘연말정산 120% 환급계산기’를 이용하면 연봉 3000만 원대 독신 근로소득자들이 건강보험료·고용보험료 납부, 주택자금공제와 의료비·교육비·기부금 등의 특별공제, 신용카드소득공제 등을 모두 공제받을지, 아니면 표준세액공제소득공제만 적용할지 한눈에 알 수 있다.

[참고자료]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