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문화

[유태경의 역술칼럼]주택 풍수에 대하여

빨래 말리는 곳, 옥상 한가운데는 불길하다

때로는 속옷 등을 널고 휘날리는 일을 옥상에서 한다는 것은 집의 기운이 눌리는 것이다. 그럼 어찌해야 할까? 햇볕도 들고 통풍도 잘되어야 하는데 초속 3미터 정도의 신선한 바람이 불면 옥상 한쪽에서 말려도 된다. 옥상 한가운데에 빨래들을 휘날리지 말라는 것이다. 그것은 주변 풍경에도 어울리지 않는 것이다.

 

사람이 눕는 침대는 높아야 한다

침대는 높은 것이 좋다. 그러나 어르신의 침대는 너무 높거나 푹신하면 허리도 아프고 그 높이로 인하여 낙상할 경우 크게 다치므로 높고 푹신한 침대를 효도라 생각하여서는 아니된다.

 

지나치게 큰 하늘창은 불길하다

하늘의 창이 너무 크면 양의 기운이 강하게 들어와 건강과 정신을 해친다. 따라서 하늘창을 설치할 때에 창문의 크기나 설치 위치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공부방이나 업무 방등은 밝아도 좋고 거실이나 식당등은 적당량의 조도가 좋으며 휴식과 잠을 청하는 방은 오히려 조도가 약한 것이 정서상 안정감이 있고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조도양을 조절 할 커튼이 있는 것도 좋다.

 

남서쪽에 하늘창을 내는 것은 불길하다

이웃과의 거리가 가까워 창문이 부담스럽거나, 부엌에 볕이 들지 않아 소독개념에서 필요할 때, 욕실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때 등 하늘창은 유익하다.

그런데 이때 너무 강한 남서쪽의 하늘창은 직사광선으로 한 여름에 더위를 견디기 고통스럽기도 하다. 방이 작을 경우에는 하늘창을 밖으로 밀어내어 설치하면 선반으로 사용할 수 있고 넓은 것처럼 느껴져 좋다. 물론 방수가 잘되어야 하는 것은 기본 관건이다.

 

물맛이 좋으면 길하다

물맛은 각기 다르다. 필자 영통이 태어나서 음용한 물중에서는 금강수라는 이름의 물맛이 가장 좋았다. 그 물맛을 본지가 20년이 흘렸으나 아직도 물맛을 기억한다. 북한과 교류가 있었던 김대중 정권 당시, 태창그룹이 북한의 금강산 물을 국내로 들여와 판매했던 것으로 안다. 어느 동네에 가서 보면 치아가 대부분 좋지 않아 젊은 나이부터 이가 썩고 빠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물과 연관이 깊다. 결국 물은 건강과 수명에도 큰 영향을 준다.

 

주택의 남서쪽에 쓰레기장을 만드는 것은 불길하다

남서쪽은 일년내내 햇볕이 너무 잘 들어서 문제다. 음식이건 쓰레기들이 빨리 부패하게 되어 상당히 냄새가 심하고 불결하다. 따라서 좋은 방법은 북쪽에 쓰레기장을 배치하도록 해야 한다. 대개 동쪽에 현관문이 있고 여름에는 남쪽에서 바람이 불어오면 남서쪽의 바람 역시 들어오면서 여름에 빨리 부패하게 된 쓰레기장의 쓰레기 냄새를 방으로 불러드리는 결과가 되는 것이니 당연히 피해야 한다.

 

주택에 수채물이 고이게 되는 것은 불길하다

오염된 물이 집안에 고여 흘러나가지 않으면 폭우가 내렸을 때 주택으로 들어오거나 주택의 대지 안에 스며들어 목조주택일 경우 썩게 만들고, 대지에 스며든 물을 음용하는 우물이나 자체 상수도 시설이 있다면 그 오염된 물을 다시 먹게 된다. 배수시설이 잘되는 집이 좋다.

 

대문을 들어서는데 기둥이 휘어져 있다면 불길하다

대문의 기둥이 썩고 대문의 틀이 비틀어져 있다면 주택 내 대주는 병으로 고생하게 된다. 대문의 균형감과 튼튼함은 미적인 부분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프 로 필] 유태경 영통역술교육원장 / 영통작명철학원장
• 한국역리학회 광명중부지회장
• 한국작명연구협회 광명중부지회장
• 한국역리학회 이사/중앙학술위원
• 역학개인지도전문강사
• 역술칼럼니스트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