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DL건설, 590억원 규모 공모사채 발행

총 500억원 수요예측에 800억원 몰려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DL건설이 기업신용등급의 'A-' 상승 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 발행에 성공했다.

 

DL건설은 총 590억원 규모의 공모사채 발행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특히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조달시장의 관망세 확산 속에서 발행 공모사채라 그 의미가 크다는 게 DL건설 측의 설명이다.

 

NH투자증권과 KB증권이 대표 주관사를 맡은 이번 공모사채 발행은 일반 채권 2년물 200억원과 ESG채권 390억원으로 구성됐다. DL건설은 지난 1일 수요 예측을 실시했으며, 이번 발행에 총 800억원의 자금이 쏠린 것으로 알려졌다.

 

발행금리는 ▲2년물 민평금리 대비 +10bp(1bp=0.01%포인트) ▲3년물 민평금리 대비 +1bp다.

 

DL건설은 앞서 지난달 13일 한국기업평가는 DL건설의 ESG지속가능채권에 최고 등급인 'ST1'을 부여한 바 있다.

 

DL건설은 이번 ESG채권 발행을 통해 조성된 자원을 바탕으로 ▲친환경 운송수단(우이신설경전철 등) 및 지속가능한 수자원·폐수처리(용인 하수처리장 등) 사업의 차환 ▲적정가격의 주택공급(금송구역 등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사회·경제적 발전 및 역량 강화(중소 협력사 대상 금융지원) 등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DL건설은 기업신용 A등급 대열에 이름을 올리며 주요 건설사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한기평은 ▲고려개발과의 합병을 통한 수주경쟁력 개선 및 사업기반 확대 ▲채산성 높은 주택사업 기성을 통한 우수한 수익성 실현 ▲견조한 현금창출력을 바탕으로 우수한 재무구조 유지 전망 등을 사유로 지난 4월 DL건설의 기업신용평가 등급을 상향한 바 있다.

 

이러한 DL건설의 상승세는 실적 향상으로 이어지는 모양새다. 최근 DL건설이 내놓은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매출액은 9113억원으로 지난해 동기의 7654억원 대비 약 20%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각각 1168억원, 90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의 상승세를 이어갔다.

 

또한 부채비율 76.08%, 유동성비율 220% 수준으로 재무적 안정성을 확보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외에도 올해 시공능력평가순위도 전년 대비 5단계 상승한 12위에 이름을 올리며, 10위권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DL건설 관계자는 "이번 ESG채권 발행은 당사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을 위해 내딛는 첫발"이라며 "앞으로도 '전문 디벨로퍼'로의 도약을 위해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