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르포] 영앤진세무법인-NH투자증권, ‘가업승계 컨설팅’ MOU 체결

NH투자증권, ‘가업승계가 필요한 고객에게 최상의 컨설팅 서비스 제공’
영앤진세무법인, ‘신의와 성실의 원칙에 입각, 정보교류, PB대상 특강, 세부회의’ 방침

 

 

(조세금융신문=김영기 기자) #두둥_11월28일 오후 3시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 본사 18층 VIP 회의실 이곳에서 NH투자증권 Premier Blue본부(대표 이재경)과 영앤진세무법인(대표 김정수)가 ‘가업승계 컨설팅 업무제휴’를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식을 개최했다.

이날 MOU의 핵심은 ‘가업승계가 필요한 고객에게 최상의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에 합의하고, 양해각서를 상호 교환했다.

 

회의 식순은 참석자 인사, 영앤진세무법인 소개, 제휴보고, MOU체결(서명: NH투자증권 Premier Blue본부 이재경 대표, 김정수 대표이사), 기념촬영, 체결식 종료 등의 수순으로 진행됐다.

 

MOU 참석자는 NH투자증권 Premier Blue본부 이재경 대표, 패밀리오피스지원부 김휘곤 이사 및 직원, PB강북센터 원미경 상무, 함승호 상무가 참석했다.

 

영앤진세무법인에서는 김정수 대표이사를 비롯해 김병만 대표세무사, 유창규 대표세무사, 이재준 세무사가 참석했다.

 

이번 업무제휴(MOU) 의의는 '가업승계 컨설팅'을 필요로 하는 NH투자증권의 고객에게 영앤진세무법인과 협력하여 가업승계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니즈에 빠르게 대응한다는 것이다.

 

김정수 대표이사는 인사말에서 “오늘 비가 오는 날씨에도 참석해 주신 관계자분께 감사말씀 올린다”면서 “무엇보다 NH투자증권과 함께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되어 그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이어 “저는 대학강단에서만 가업상속 분야에 대해 강의를 줄 곧 해왔는데 이번 협약으로 100여명이 넘는 PB분들을 모시고 향후 강의를 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면서 “특강을 위해 현장중심의 사례를 멋있게 강의할 계획”이라며 “양사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김 대표는 ”영앤진세무법인은 국세청 조사국 등에서 30년이상 풍부한 실무경험을 터득한 조세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어 김앤장에서 조사대행을 하다가 우리업무를 공유할 만큼 영앤진세무법인의 파이가 커지고 있는 것을 느끼고 있다"면서 "김앤장과 화상회의를 통해서 某회사에 대한 심판업무를 맡아 진행하고 있고, 법무법인 율촌에서 진행하고 있던 H그룹 상속세에 대한 불복도 '영앤진'에서 진행하고 있다"고 업무 프로세스를 귀띔했다.

 

이날 양해각서는 고객에게 영앤진세무법인이 제공하는 가업승계 컨설팅 업무에 대한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거나 고객이 이를 요청하는 경우, 고객의 동의를 구하여 해당 고객을 영앤진세무법인에 소개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양사는 이번 양해각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의와 성실의 원칙에 입각해 정기적 또는 수시적으로 정보를 교환하거나 관련 세부회의를 실시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영앤진세무법인은 이에앞서 이달 11일 베트남 기업(EVO CONCEPT JOINT STOCK COMPANY)과 세무컨설팅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해외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정수 대표는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진출하려는 국내기업들에 대한 세무컨설팅을 적극 지원하는 한편, 베트남 기업이 한국 기업에 투자할때 세무컨설팅을 통해 원할히 한국에 진입할 수 있는 역할을 해 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