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7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문화

[전문가 칼럼] 당신께서 올바르다면 누가 감히 올바르지 않겠습니까?

 

(조세금융신문=나단(Nathan) 작가) 

 

季康子患盜, 問於孔子. 孔子對曰; “苟子之不欲, 雖賞之不竊.”

계강자환도, 문어공자. 공자대왈; “구자지불욕, 수상지부절.”

 

계강자가 도둑을 걱정하여 공자에게 묻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당신께서 욕심을 부리지 않는다면

비록 백성들에게 상을 주고 도둑질하라고 시키더라도

도둑질하지 않을 것입니다.” _안연顏淵 12.18

 

《논어》에 종종 등장하는 계강자(~기원전 468년)는 노나라의 대부이면서 세도가입니다. 당시 노나라는 ‘맹손 씨’, ‘숙손 씨’, ‘계손 씨’의 3대 가문이 권력을 쥐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군주를 손아귀에 쥐고 국정을 좌지우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들 가문 중에서 계손 씨의 세력이 제일 강했고, 계강자는 계손 씨 가문의 서자였습니다.

 

원래 그의 아버지 계환자는 세상을 떠날 때, 정실부인이 아들을 낳으면 그를 후계자로 삼으라고 유언했습니다. 하지만 막상 아들이 태어났지만 아이는 누군가에 의해서 죽임을 당했습니다. 사람들은 당연히 배후에 계강자가 있을 것이라고 의심했습니다. 한 마디로 그는 ‘인仁’과 ‘예禮’를 모르는 파렴치한 인물이었습니다.

 

인격적으로 문제가 있던 그였지만 종종 공자에게 통치의 ‘도道’를 물어봤습니다. 적어도 양심의 가책이 있었던 모양입니다. 하지만 공자는 그를 천하게 여겨서 피하는 대신 성심성의껏 답변하고 가르치려고 했습니다. 그가 덕이 있는 사람은 아니었지만 공자는 그가 백성을 위하는 좋은 정치인이 되기를 원했던 것 같습니다.

 

내가 먼저 올바르다는 것의 의미

 

어느 날 계강자는 공자에게 나라에 도둑이 많아서 걱정이 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문의했습니다. 그러자 공자는 계강자에게 먼저 “자신의 욕심을 버리면 된다”고 예상대로 직언했습니다. 힘이 있는 자가 욕심을 버리면 사회가 안정되기 때문에 도둑질을 하라고 부추겨도 도둑질할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사실 계강자는 백성들에게 과중한 세금을 거둬들이고 있어서 공자는 그의 밑에서 일하고 있는 제자 염유에게 이를 못하게 하도록 여러 번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니 백성들의 삶이 곤궁해졌고, 당연히 도둑들이 늘어난 것이 아닐까요? 만약 계강자가 욕심을 버리고 세금을 낮추고 백성들이 등 따시고 배부르게 살게 한다면, 당연히 도둑은 없을 것입니다.

 

어찌 보면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이런 말을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공자는 자신이 믿는 바에 따라서 소신껏 이야기했습니다. 그야말로 ‘촌철살인’(寸鐵殺人)입니다.

 

이 뿐만이 아닙니다. 계강자가 ‘정치’를 묻자, 공자는 또 한 번 묵직한 돌직구를 날렸습니다.

 

“정치란 올바르다는 것입니다. 당신께서 올바르다면 누가 감히 올바르지 않겠습니까”_안연편(12.17)

 

이 역시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정치를 잘하려면 나 자신이 올바르고 솔선수범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내가 올바르다면, 그 영향을 받아서 다른 사람도 올바를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내가 바르지 않다면, 결국 다른 사람들도 유유상종하게 될 것입니다.

 

사실 사회적 리더일수록 ‘올바름’의 중요성을 잘 인지해야 합니다. 사회적인 지위가 올라갈수록 나의 영향력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공자가 이야기한 ‘정치’는 국가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올바름’을 강조했지만, 정치는 국가뿐만 아니라 사회 어느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곧은 사람이 굽은 사람 위에 있어야 한다

 

‘좋은 정치’에 대해서는 계강자 뿐만 아니라 당시 군주였던 애공도 관심이 있었던 부분이었습니다. 비록 애공도 세도가들에 의해서 힘을 못 쓰고 있었지만, 적어도 위정자로서 영향력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는 〈위정〉편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노나라의 애공은 공자에게 질문했습니다.

 

“어떻게 하면 백성들이 복종을 할까요?”

 

그러자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곧은 사람을 천거해서 굽은 사람 위에 두면 백성들은 따를 것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굽은 사람을 등용해서 곧은 사람 위에 두면 백성들은 따르지 않을 것입니다.”

 

곧은 사람은 정직한 사람을 의미하고, 굽은 사람은 비뚤어진 사람을 일컫습니다. 즉 정직한 사람이 조직을 다스린다면 구성원들이 이를 믿고 따르겠지만, 비뚤어진 사람이라면 구성원들은 따르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이는 국가, 기관, 학교, 회사, 동호회 등 이 세상 어느 조직에나 마찬가지입니다. 리더가 부정한 사람이라면, 사람들은 겉으로 그의 말을 따르는 척하지만 속으로는 욕을 하거나 인정하지 않게 됩니다. 리더가 투명하고 조직을 진심으로 이끌고자 한다면 사람들은 그 리더를 지지하고 지원할 것입니다.

 

비단 조직의 리더뿐만 아니라 아이돌이나 연예인, 스포츠 선수, 작가 등 사회적으로 영향을 주는 ‘인플루언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이들의 말과 행동에 관심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명성을 얻고 팬층을 확보할수록 말과 행동 가짐에 더 조심해야 합니다.

 

그런 면에서 정치인들의 막말을 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건전한 비판은 서로의 발전을 위해서 좋지만 밑도 끝도 없이 수준이 낮은 언어로 상대방의 인격을 모독하는 경우가 다반사인 것 같습니다.

 

결국 세상이 돌아가는 이치를 어느 정도 터득했다면 현명하게 행동하고, 모범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단지 나이가 많다고 젊은 사람들에게 큰소리치거나 어른답지 못한 행동을 하면 안 됩니다. 나의 영향력과 주변에 미치는 결과를 생각하고, 솔선수범(率先垂範)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올바름, 곧은 마음의 뿌리에는 바로 ‘인仁’의 정신이 있습니다. ‘인仁’하다는 것을 너무 거창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나에게 의지가 있다면 얼마든지 실천할 수 있습니다. 결국 나의 마음먹기에 달린 것입니다. 공자는 ‘인仁’을 멀리서 찾을 것이 아니고, 내가 ‘인仁’하려고 한다면 얼마든지 ‘인仁’을 앞장서서 실천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仁이 멀리 있는가? 내가 인仁하고자 하면 인仁은 나에게 도달한다.”_술이편(7.29)

 

공자가 세도가에게 돌직구로 날린 올바름과 솔선수범, 그리고 내가 실천할 수 있는 인仁이 무엇인지 잠시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프로필] 조형권(나단) 작가

•《치밀한 리더의 한 수》,《죽음 앞에 섰을 때 어떤 삶이었다고 말하겠습니까?》 출간

•《인생의 절반쯤 왔을 때 논어를 읽다》 출간, 교보문고 MD의 선택

•《적벽대전 이길 수밖에 없는 제갈량의 전략기획서》 ,《공부의 품격》 출간

•(현)SK그룹 내 마케팅 임원

•성균관대학교, EMBA 석사, 고려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통화 주권 넘보는 스테이블코인, 한국은 준비됐는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한국 정치가 마침내 디지털 자산에 손을 댔다. 그것도 단순한 규제 강화를 넘어서 산업 진흥과 생태계 육성까지 겨냥한 ‘판 뒤집기’ 수준의 입법이다. 10일,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가장 포괄적이면서도 공격적인 제도화 시도다. 법안은 ▲디지털자산의 법적 정의 정립 ▲대통령 직속 디지털자산위원회 설치 ▲금융위원회를 통한 인가·등록·신고제 도입 ▲스테이블코인 사전 인가제 ▲불공정거래 금지 및 이용자 보호 ▲자율규제기구 설립 등을 담았다. 단순한 제도 마련을 넘어, ‘한국형 디지털금융 패러다임’의 설계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주목할 대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이다. 현행법상 민간의 원화 기반 디지털 자산 발행은 법적 공백에 놓여 있었지만, 이 법안이 통과되면 자기자본 5억원 이상을 보유한 국내 법인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 준비금 적립, 도산 절연, 환불 보장 등 안전장치를 전제로 하긴 했지만, 통화 주권을 관리하는 한국은행에는 꽤나 위협적인 메시지다. 민 의원은 이 법을 “규제가 아니라 가드레일”이라고 표현했다. 규제를 통해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탐방]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 AEO 공인부터 사후관리까지 ‘토탈케어’ 실현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오전 9시, 여느 사무실이라면 나른한 공기만이 가득할 시간이지만, 서울본부세관 심사1국 AEO(수출입 안전관리 우수업체) 심사팀 사무실엔 벌써부터분주함이 가득 들어차 있다. 이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회의실에서는 갱신심사 대상업체에 대한 점검계획을 두고 실무진들의 회의가 분주히 진행되고 있었다. 각자의 노트북 화면에는 통관자료, 자율점검 체크리스트, 위험요소 분석 보고서가 정리돼 있었고, 침착하면서도 치밀한 분위기 속에서 기업의 수출입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다. 서울세관 심사1국 AEO심사팀에서는 관할 수입AEO 기업의 갱신 신청이 있을 경우, 통관적법성 분야에 대한 정기 심사를 수행한다. 또한 기업상담전문관(Account Manager, 이하 AM)을 통해 위험 정보를 상시 제공하고, 기업의 자율적 법규준수 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AEO 공인 이후 공인 유지와 법규 위반 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컨설팅까지도 소홀히 하지 않는 것이 그들의 철칙, AEO심사팀을 민관 협력 기반의 관세행정을 실현하는 ‘토탈케어 조직’으로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정기 심사일지 하나에도 기업 맞춤형 리스크 분석과 전략을 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