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는 신경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치아에 이상이 생길 경우 치통을 느끼게 되고 심하면 두통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어린 시절부터 치아관리를 철저히 함으로써 건강한 치아를 유지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간혹 관리를 철저하게 하더라도 유독 참기 힘들어 식사가 어려워지고 볼이 부어 오르는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바로 사랑니 때문일 수 있다.
입 안 가장 안쪽에 나는 큰 어금니인 사랑니는 보통 17~25세 무렵에 자라나기 시작하기 때문에 ‘사랑을 느낄만한 나이에 나는 이’라는 의미로 명명된 치아로 ‘제3대구치’라고도 불린다.
사랑니는 일반적으로 어금니 뒷쪽에서 오며 올바르게 자라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자라나는 공간이 부족함에 따라 비뚤게 자라 염증을 일으키고 치아의 교합을 해치는 등 문제를 유발하곤 한다. 때문에 통증을 느끼거나 사랑니를 인지하게 되면 즉시 치과를 찾아 정밀한 상담 후 발치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사랑니가 정상적으로 난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잘못된 형태와 위치 이상이 있을 경우 문제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 치열이 고르지 못하거나 위 아래가 어긋난 형태는 기능과 심미성 저하를 불러오고 입 안에 음식물 끼임이 잦은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청결한 관리가 어렵기도 해 유의해야 한다.
사랑니의 발치는 사랑니가 가진 각자의 케이스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섬세한 진단이 필요하다. 누워서 자라 바로 옆의 어금니 뿌리를 압박해 염증 또는 턱뼈 신경을 손상시키는 경우, 비정상적인 위치에 매복되어 자라 염증과 통증을 일으키는 경우, 가장 안쪽에 위치해 칫솔이 잘 닿지 않아 관리가 안 되어 충치 혹은 잇몸질환이 생기기 쉬운 경우 등이 주로 발치를 해야 하는 경우다.
또한 진단 시에는 신경손상 가능성이 높은 하치조신경과 사랑니 사이의 3차원적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런 진단이 가능한지, 발치 후 부종이나 2차감염 우려가 있으므로 사랑니 발치 경험이 많은 의료진이 있는지 등을 치과 선택 시 고려하는 것이 좋다.
사랑니를 발치하고 난 후의 주의사항도 지키는 것은 필수다. 입 안의 솜은 적어도 두 시간 동안 꽉 물고 있어야 하고, 가급적 말을 삼가야 하고 나오는 피는 뱉지 않고 침과 함께 모두 삼켜야 한다. 발치 한 당일은 안정을 취하고 이틀 정도는 냉찜질을 하는 게 좋다. 과격한 운동이나 사우나, 음주, 흡연은 절대 금물이며 식사는 마취가 모두 풀린 후에 환부를 자극하지 않도록 부드러운 유동식으로 섭취하는 것을 추천한다.
파주임플란트 치과 모아치과 정주성 원장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