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휴온스, 프로당구팀 ‘휴온스 헬스케어 레전드’ 창단

팔라존∙김봉철∙김기혁∙호프만∙김세연∙오슬지 선수 6명 구성
오는 7월 6일 2021-22시즌 PBA 팀리그 개막전 출격

 

(조세금융신문=홍채린 기자) 휴온스가 프로당구단을 출범하고 PBA(프로당구협회) 팀리그 8번째 팀이 됐다.

휴온스는 23일 성남 판교 본사에서 하비에르 팔라존(스페인, 33), 김봉철(41), 김기혁(38), 글렌 호프만(네덜란드, 31), 김세연(26), 오슬지(36) 등 총 6명의 선수로 구성된 프로당구단 ‘휴온스 헬스케어 레전드’ 창단식을 갖고 공식 출범을 선언했다. 

휴온스 헬스케어 레전드’는 오는 7월 6일 열리는 2021-22시즌 PBA 팀리그 1라운드를 시작으로 대망의 첫 여정

 

에 나서게 된다.

휴온스 헬스케어 레전드’ 선수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먼저 1지명으로 팀에 합류한 하비에르 팔라존은 아마추어 최고 무대인 당구월드컵에서 2019년 우승을 차지하고 프로에 입문한 세계적인 실력의 소유자다. 지난해 ‘크라운해태 PBA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하는 등 현재 PBA 랭킹 7위를 기록중이다.  

PBA 랭킹 16위 김봉철은 프로 입문 전부터 수많은 대회 우승 경력이 있는 꾸준함의 대명사로 불린다. ‘2018 잔카챔피언십 아시아3쿠션오픈’ 우승, ‘2020 NH농협카드 PBA 챔피언십’ 5위 등 호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PBA 2부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한 김기혁은 두 차례 우승을 한 후 1부투어에 진출했다. 올해 휴온스 소속으로 팀리그까지 진출한 김기혁은 선수단의 내부 투표 결과 올 시즌 주장으로 임명돼 팀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네덜란드에서 온 당구천재 글렌 호프만은 주니어 세계 무대에서 다수 우승을 차지한 후 프로무대에 진출했다. PBA 랭킹 26위에 올라있는 호프만은 이제 프로 적응기를 마치고 상위 랭커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김세연은 현재 여자 프로당구 1인자다. 지난 시즌 LPBA 월드챔피언십과 정규투어 2차전에서 우승하면서 LPBA 랭킹 1위에 올라있으며 올 시즌도 우승을 통해 탑랭커 사수를 노린다. 오슬지는 올 시즌 LPBA 최고 기대주로 꼽힌다. 오슬지는 올 시즌 상위 랭킹 진입을 목표로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이날 창단식에서 PBA 프로당구협회 장상진 부총재는 “휴온스가 PBA 팀리그의 새로운 식구가 된 것에 대해 감사의 말을 먼저 전한다”며 “휴온스 헬스케어 레전드팀의 창단으로 올 시즌부터는 8개팀 체제가 되어 더욱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팬들에게 선사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휴온스글로벌 윤성태 부회장은 “PBA를 통해 당구가 국민스포츠로 발돋움하고 있는 가운데, 휴온스가 PBA 팀리그 8번째 팀으로 참가할 수 있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휴온스 헬스케어 레전드팀은 훌륭한 성적은 물론, 자사가 추구하는 건강의 철학과 가치를 알리는 데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휴온스는 ‘인류 건강을 위한 의학적 해결책을 제시’라는 미션 아래 스포츠 산업 후원에도 발벗고 나서고 있다. 현재 휴온스는 골프단 운영을 비롯해 프로야구 후원, 장애인 스포츠선수 지원 등 다방면에서 스포츠 마케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