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3 (화)

  • 구름조금강릉 27.3℃
기상청 제공

국세청 고위공무원 승진 ‘4인4색 ’…지역‧임용별 균형인사

오상훈(서울)‧백승훈(충남)‧김재웅(호남)‧이성진(영남)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국세청이 오는 19일자로 고위공무원 4명을 승진발탁했다고 15일 밝혔다.

 

국세청은 역량을 기본으로 하되 수도권, 충청, 호남, 영남 등 전국 지역별로 고르게 발탁해 조직 내 ‘소통과 화합’을 목표로 했다고 설명했다.

 

행정고시 41‧42‧43회, 세무대 4기 등 임용별로도 균형을 지켰다.

 

 

오상훈 부산지방국세청 성실납세지원국장은 서울 출신으로 행시 43회에 공직에 입문했다.

 

인천지방국세청 조사1국장 시기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영세 사업자 및 경영애로기업에 적극적으로 세정지원을 하는 한편, 민생침해 사업자 및 악의적인 조세포탈행위에 대해서는 조사역량을 집중했다.

 

김현준 국세청장 시기 국세청 본부 감찰담당관으로 발탁해 내부기강을 바로 세우고, 절차를 강화하는 등 똑 소리나는 업무처리 솜씨를 선보였다는 평가다.

 

백승훈 부산지방국세청 징세송무국장은 충남 논산 출신으로 세무대 4기를 나왔다. 서울지방국세청 납세자보호담당관, 국세청 조사1‧2과장을 거쳤다.

 

국세청 본부 조사과장 시기에는 조사국의 두뇌로 이름 났으며, 김명준‧이준오‧임광현 등 1급 승진한 전현직 고위공무원을 조사국장으로 보좌한 바 있다. 개인과 법인을 가리지 않고 꼼꼼한 조사, 기획력 있는 조사 모두 대응이 가능하다는 평가다.

 

본부에서 나와 서울청 납세자보호담당관 재직 시절에는 입장을 바꾸어 납세자 권리 지킴이로 활동하며 세무조사 과정에서 발생한 납세자 고충민원에 대해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등 추진력 있는 일솜씨가 재차 부각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재웅 부산지방국세청 조사1국장은 전남 나주 출신으로 행시 42회를 나온 고위공무원이다.

 

능력 뛰어난 인재들이 많은 국세청 행정고시 중에서도 부각되는 인재로 서울청 감사관 시기에는 다소 사후 적발 처리에 치중된 감찰 업무를 사전 공직기강 계도 등을 선제적 예방 활동으로 전환함으로써 행정의 질을 높였다는 평가다.

 

납세자에게 불편 주는 사안에서는 대해서는 사후 평가를 통해 사전에 막을 방침을 마련하는 등 최근 불거진 적극행정을 이끌어 온 인물이라는 평가다.

 

이성진 부산지방국세청 조사2국장은 부산 출신의 인물로 행시 41회로 공직생활을 시작해 서울지방국세청 첨단탈세방지담당관,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력을 쌓아 왔다.

 

서울청 첨단탈세방지담당관으로 재직하면서 기업의 전산관리(ERP) 자동변환 프로그램 개발해 과학 세무행정에 기여했다. 앞으로도 계속 중요성이 높아지는 전자문서 감식 기술인 포렌식 인프라를 늘렸다.

 

금감원에서 전달되는 각종 혐의금융정보 효용을 높이기 위해 신종탈루유형 분석을 강화하여 국제거래, 금융업 등 특수전문분야 개발에 집중했다.

 

이밖에 부이사관 6명에 대한 전보인사로 진행된다.

 

윤승출 국세청 조사기획과장은 서울청 첨단탈세방지담당관으로, 박광종 국세청 징세과장은 서울청 감사관으로, 유병철 부산청 감사관은 서울청 납세자보호담당관으로 각각 이동했다.

 

한창목 국세청 빅데이터센터장은 인천청 조사1국장, 양동구 국세청 납세자보호담당관은 중부청 감사관, 이응봉 중부청 감사관은 강남세무서장으로 각각 직을 옮겼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정부조직 개편, 미래 산업 강국으로 가는 시험대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이재명 정부가 출범 석 달 만에 내놓은 조직개편안은 단순한 행정 개편을 넘어 대한민국 경제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전략적 행보로 읽힌다. 검찰 개혁 등 정치적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번 개편의 진짜 무게추는 경제와 미래 산업을 향하고 있다. 특히 이번 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운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격상하고,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설치한 것은 AI를 단순한 신산업이 아닌 국가 성장 동력의 최전선으로 놓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약 17년 만에 부활하는 과학기술부총리는 정부의 기술·산업 혁신 정책을 총괄하며, AI·반도체·첨단산업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밀어붙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방송통신위원회를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기능을 일원화한 조치는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가 방송 업무에서 벗어나 AI와 첨단기술 정책에 전념하도록 해, 정부 부처의 업무 집중도를 높이려는 의도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13개 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국가 AI전략위원회는 범부처 정책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