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일문일답] 아레스, 중세 판타지 넘어 SF까지 확장된 세계관…“논타겟팅 채택”

7월 25일 정식 출시 확정…“유니크한 전투‧지형 이용한 다양한 플레이 가능”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카카오게임즈 신작 ‘아레스: 라이즈 오브 가디언스’가 오는 7월 25일 모바일과 PC로 출시된다.

 

카카오게임즈는 10일 잠실 아프리카TV 콜로세움에서 신작 ‘아레스: 라이즈 오브 가디언즈’(이하 ‘아레스’)를 공개하고 관계자 인터뷰를 진행했다.

 

‘아레스’는 세컨드다이브가 개발하고 카카오게임즈가 퍼블리싱하는 MMORPG로 미래 우주 세계관, 실시간으로 슈트를 변경하며 진행하는 전투, 화려한 액션과 연출이 특징이다.

 

세컨드다이브는 지난 2019년에 ‘다크어벤져’ 시리즈를 개발했던 핵심 개발진이 창업한 게임 개발사다. ‘아레스’가 이들의 첫 게임이고, 지금까지 3년 반 이상 개발해왔다.

 

이날 인터뷰에는 인터뷰에는 카카오게임즈 이시우 CBO, 카카오게임즈 김태형 사업실장, 세컨드다이브 김기범 TD, 세컨드다이브 김태우 시스템 기획실장, 세컨드다이브 권태균 콘텐츠 기획실장이 참가했다.

 

다음은 아레스 개발자 인터뷰 내용이다.

 

 

Q. 세컨다이브 어떤 회사이며 ‘아레스’ 특징은?

세컨드다이브 김태우 시스템 기획실장

아레스는 다크어벤저 시리즈를 개발한 개발진이 독립해 만든 회사다. 아레스는 이 회사의 첫 작품이다. 여러 부분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많이 이뤄졌다. 전투 시스템 슈트, 다양한 액션, 중세 판타지 넘어 SF까지 확장된 세계관이다. 기본 MMORPG 이용자들도 어렵지 않고 익숙하게 즐길 것이라 생각된다.

 

Q. 미래를 이용한 세계관이 생소하게 다가가지 않을지 궁금?

세컨드다이브 권태균 콘텐츠 기획실장

신선함이 아니라 낯설고 생소하게 느끼는 것을 고민했다. 단순 하드한 SF콘셉트에 머물지 않고 기존 MMORPG의 판타지 요소까지 넓은 스팩트럼을 차지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기존의 MMORPG 이용자들도 느낄 수 있을 것.

 

Q. 차별요소는?

유니크한 전투와 지형 이용한 다양한 플레이 요소를 넣어, 세계관을 즐길 수 있도록 강조했다.

 

Q. 논타겟팅 강조한 이유는?

김태우

역동적인 액션을 만들기 위해서 논타겟팅 채택했다. 모든 환경에서 쾌적하게 플레이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김태형

우리가 원하는 전투와 액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논타겟팅 전투가 기본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해서 자동 전투를 지원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자동 전투를 좋아하는 유저와 수동 전투를 좋아하는 유저 모두 즐겁게 할 수 있게 만들었다.

 

Q. 아레스 사양은?

세컨드다이브 김기범 TD

비교적 낮은 사양에서도 즐길 수 있도록 최적화 진행했고, 모바일 기준 갤럭시 s10, 아이폰 11에서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최적화 시켰다.

 

Q. 저사양 기기에서는 발열 있을 것 같다. 어떤 노력?

김기범

최적화 부분에서 가까이 있는 것은 세밀하게, 멀리있는 것은 듬성듬성하게 최적화 해. 모바일 최적화와 관련해서는 삼성, 구글과 협업해서 엔진 단위에서 진행. 액션이 과하기 때문에 임팩트나 스킬모션 등에서 두드러진다.

 

Q. BM 면에서 차별화 있나? 세컨다이브 투자했는데 흥행하면 투자 또 할 것인가?

김태형

아레스 3가지 슈트를 체인지 하는 게임이다. 세컨다이버와 슈트 3종에 대한 부담을 어떻게 낮출 것이냐 고민했다. 인게임 쪽으로 게임 성장 많이 넣으려고 해. 무기 관련 과금 모델을 줄이고자 인게임에서 즐길 수 있도록 게임을 개발했다.

투자관련은 말하기 어려워.

 

Q. 지난 지스타에서 공개된 이후에 무엇이 달라졌는가?

권태균

그래픽, 카메라, 특수 효과 등을 조절했다. PC 버전은 키보드로만 조작했었는데 키보드와 마우스를 모두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특히 특수 효과가 너무 과도해서 눈이 아프다는 반응이 있었다. 그래서 특수 효과를 줄였다.Q. ‘아레스’를 흥행시키기 위한 카카오게임즈의 전략은 무엇인가?

 

Q. 개발하면서 어려운 점은 무엇이었나?

권태균

개발하면서 참고할 수 있는 MMORPG는 대부분 중세 판타지였다. 그래도 마블 영화 덕분에 이 세계에 대해 익숙한 분들이 많아졌다. 전체적으로는 유저들에게 생소한 맛이 아니라 익숙한 맛이 될 수 있도록 노력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