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박형준 기자) 애플 아이폰16 시리즈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유예 결정으로 최대 수혜주로 떠오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스마트폰 등 전자 기기 20종에 대한 관세를 유예하면서 애플의 주요 제품들이 모두 포함됐다. 아이폰의 87%와 아이패드의 80%는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어, 애플의 주요 수입원이 중국에 집중되어 있다. 트럼프는 중국과의 완전한 분리가 단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라 전격적으로 관세 면제를 선언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반도체 등 특정 품목에 부문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해왔기 때문에 이번 면제가 일시적일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애플 제품에 대한 관세가 향후에도 다시 부과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첫째, 관세 인상은 지속 불가능하다. 미국과 중국 간의 끝없는 맞대응 전략이 계속되면 관세에 따른 효과마저 상쇄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둘째, 관세 전쟁이 지속되면서 미국 및 세계 경제에 미치는 타격이 이미 막대하다. 글로벌 기업들이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생산 일정과 자본 지출 계획마저 불확실해졌다. 매체는 정책이 급격하게 바뀌는 환경에서 기업이 미래 계획을 세우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셋째, 미국 국채 시장이 불안정하다.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가 하락하며 국채 매도가 급증했고 이는 금리 상승으로 이어졌다. 금리 인상은 소비자와 기업의 차입 비용을 증가시켜 경기 침체를 가속화할 위험이 있다.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미국 내 경기 침체 우려를 키우고 미국 국채 안전성에까지 악영향을 미치면서 1조4000억달러 규모의 미국 고수익 채권 시장은 지난주 채권을 단 한 장도 판매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체는 애플 제품이 관세에서 제외된 것은 단순한 예외가 아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