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랑니는 어금니의 맨 뒤 쪽에 나오는 치아로, 이름과 달리 상당한 통증을 유발하는 치아로 악명이 높다.
일반적으로 치열 가장 안쪽에 나고 있어 양치질 시 칫솔이 잘 닿지 않아 위생관리가 어려우며 이로 인해 충치가 발생되고 염증이 생길 수도 있다. 이를 그냥 방치하게 되면 다른 치아로 전이된다거나 다른 질환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때문에 이런 가능성이 있는 사랑니는 발치를 하는 경우가 많다.
사랑니도 자연치아인 만큼 치아관리를 완벽하게 하고 최대한 유지할 수 있으면 유지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지 않다면 치과 내원을 꾸준하게 함으로써 체크해야 한다. 만일 사랑니가 어금니 역할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바로 나거나 뼈 안에 자리를 잘 잡고 있어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굳이 발치를 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랑니는 매복되어 있거나 누워 있는 등 여러 방향으로 나오게 되어 문제점들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검진과 파악은 필수다.
사랑니로 하여금 진통제를 복용해도 느끼게 되는 심한 통증, 음식을 씹기 힘든 불편함, 잇몸 염증과 구취 등이 발생되어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이어진다면 사랑니발치를 고려해야 한다.
대부분의 사랑니가 영구치 중 가장 마지막에 맹출 되기 때문에 공간이 부족하여 성인이 되고 나서도 맹출 되지 않는 매복사랑니일 경우라면 뿌리가 신경과 근접해 있기도 해 발치가 까다로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매복사랑니 외에도 부분적으로 맹출된 경우 관리에 어려움이 많아 다양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랑니 부근의 불편함이 있다면 서둘러 치과를 찾아야 한다.
사랑니는 기본적으로 신경에 가장 근접해 있는 치아이므로 발치를 해야 할 경우 현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춘 치과를 찾는 것이 우선이며 신경관과의 위치, 치근 만곡도 등을 분석한 뒤 발치를 진행하면 된다.
글 : 수원 이플란트치과 박영훈 원장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