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카드 · 제2금융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 최대 연 5% 인상...인터넷은행은 2%대로

 

(조세금융신문=최주현 기자) 저축은행들이 수신 잔고 급감을 막기 위해 파킹통장 금리를 최대 연 5%까지 올리며 자금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SBI저축은행은 지난달 파킹통장 금리를 연 3.5%로 지난 3월의 연 2.8%보다 0.7%포인트(p) 올렸다.

 

OK저축은행의 파킹통장인 '읏백만통장2'는 100만원 이하 예치금에 대해 최고 연 5% 이자를 제공한다.

 

100만∼500만원 잔액에는 최고 연 3.5%, 500만∼2천만원 예금에는 최고 연 3% 금리를 적용한다.

 

다올저축은행도 지난달 연 4% 금리를 제공하는 파킹통장 상품 'Fi 커넥트 통장'을 출시했다.

 

저축은행의 이런 움직임은 지난해 하반기 연 5∼6%에 제공한 고금리 특판상품의 만기가 도래하면서 수신 잔고가 줄어드는 걸 막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권의 지난 4월 말 수신 잔액은 114조6천159억원으로 고금리 특판 상품을 선보였던 지난해 11월보다 5.6% 줄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업권은 이자 비용이 높은 예·적금 상품보다 파킹통장으로 수신 유치에 주력하는 분위기다.

 

파킹통장은 수시로 돈을 예치하고 인출할 수 있어 통상 정기예금보다 금리가 낫다. 약정금리도 바꿀 수 있어 시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자금을 운용할 수 있다.

 

저축은행업권은 지난해 말 예·적금 금리가 연 5.5%까지 치솟아 이자 비용이 상승하자 올해 초 정기예금 금리를 연 3%대로 내린 바 있다.

 

8일 기준 저축은행의 12개월 정기예금 상품의 평균 금리는 3.98%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예금보다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인 파킹통장 금리를 올려 자금을 조달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인터넷은행 3사(카카오·케이·토스뱅크)는 파킹통장 금리를 2%대에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의 파킹통장 금리는 각각 2.2%, 2.3%, 2.0%다. 3사는 지난달 파킹통장 금리를 0.1∼0.2% 포인트 낮췄다.

 

은행권 관계자는 "수신 상품 포트폴리오 관리 차원에서 파킹통장 금리를 낮췄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인터넷은행은 시중은행에 비해 예금 조달 의존도가 높은데 수시입출식예금 비중이 시중은행보다 높다"며 "이탈이 쉬운 비대면 예금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인터넷은행은 수신예금의 안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