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티맥스그룹, 2년 전 팔았던 '티맥스소프트' 재인수 추진한다

콜옵션 행사 대비 외부자금 조달…티맥스소프트와 슈퍼앱 시너지 기대

 

(조세금융신문=최주현 기자) '한국판 오라클'로 불리는 중견IT 기업 티맥스그룹이 2년 전 매각한 핵심 계열사 티맥스소프트 재인수를 추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티맥스그룹 고위 관계자는 23일 "우리 그룹이 진행하는 슈퍼앱과 관련해 티맥스소프트 재인수는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이에 티맥스소프트 재인수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라고 밝혔다.

 

티맥스그룹은 티맥스소프트 재인수를 위해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캑터스프라이빗에쿼티 등으로부터 여러 차례 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티맥스그룹 측은 티맥스소프트 재인수를 위한 자금 조달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대연 티맥스그룹 회장은 2022년 3월 티맥스소프트의 기업공개(IPO) 계획이 무산되면서 투자자들로부터 자금 회수 압박을 받자 자신과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티맥스소프트 지분 약 61%를 사모펀드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에 5천600억원에 매각했다.

 

계약 조건에는 2년 후인 2024년 3월부터 2년간 티맥스그룹이 매각 지분을 되살 수 있는 콜옵션이 포함됐다.

 

티맥스그룹은 계열사들의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서비스와 함께 티맥스소프트가 강점을 가진 '미들웨어'(응용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환경 간 원만한 통신이 이뤄질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기술력이 융합되면 자사 슈퍼앱의 성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티맥스그룹의 슈퍼앱은 코딩 기술이 없는 이들도 원하는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코드 플랫폼으로, 모든 운영체제, 디바이스, 앱마켓에서 사용할 수 있다.

 

티맥스소프트가 실적 개선 추세를 보인 점도 티맥스그룹의 재인수 추진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다는 관측인데, 티맥스소프트는 2022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천401억원과 622억원으로 매각 전인 2021년(1천180억원, 529억원)보다 18.7%와 17.6% 증가했다.

 

티맥스그룹은 오는 3월부터 가능해지는 콜옵션 행사 기간이 2년인 만큼 재인수 시기를 신중하게 결정할 방침이다. 티맥스그룹 관계자는 "특정 (재인수) 시기를 한정하고 있지는 않다"며 "적절한 시기를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이재명 vs 김문수, 조세정책의 길을 묻다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명예교수, 법무법인 율촌 상임고문)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조세정책은 단순한 세금의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철학과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고 있다. 세금은 사회계약의 이행 수단이며, 공공서비스의 재원일 뿐 아니라 미래세대와의 약속이라는 점에서 각 후보의 조세 비전은 중요한 정책 선택의 기준이 된다. 이재명 후보는 ‘조세 정의’와 ‘보편 복지’를, 김문수 후보는 ‘감세와 시장 자율’을 중심 기조로 내세운다. 이처럼 상반된 철학이 세금 정책으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유권자에게 실질적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재명 후보: 분배 정의와 조세 환류 이재명 후보는 국토보유세, 금융소득 통합과세, 디지털세, 탄소세 등 자산과 환경에 기반한 새로운 세목의 신설 또는 기존 세목의 강화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과세를 통해 형성된 세수를 ‘조세환급형 기본소득’ 형태로 전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환급함으로써, 소득 재분배와 소비 진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금융소득 통합과세는 기존의 분리과세 방식을 폐지하고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을 종합소득에 포함시켜 누진세를 적용함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