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세 · 재테크

자산관리 세무상식(28)...부부 합산 재산 70억원을 초과하면 증여를 적극 추천합니다.

(조세금융신문=정승조 세무사) 지난번 부부합산 30억원 이하이면 증여가 급하지 않습니다.”에 이어 이번에는 부부합산 재산 7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왜 증여가 중요한지 살펴보겠습니다.

 

1. 부부 합산 재산 50억원인 경우

구분

50억원인 경우

51억원인 경우

차이

상속재산

50억원

51억원

1억원

일괄공제

5억원

5억원

-

배우자공제

21.4억원

21.8억원

0.4억원

과세표준

23.6억원

24.1억원

0.6억원

결정세액

7.8억원

8.1억원

0.22

상속재산 대비 세금 비율

15.2%

15.3%

22.2%

 

우선 세금 비교를 위해서 상속인은 배우자와 자녀 2, 상속공제는 일괄공제와 배우자공제만 적용하고 배우자 공제는 최대한 받는다고 가정하겠습니다.

 

50억원 상속재산을 가정으로 일괄공제 5억원 및 배우자공제 (50* 1.5/3.5 = 21.4억원)를 적용하면 상속세는 7.8억원입니다. 그리고 상속재산이 51억원인 경우 상속세는 8.1억원입니다.

 

상속재산 1억원이 증가하면 상속세는 5000만원(50%)이 증가할 것 같지만 상속재산이 증가함에 따라 배우자공제도 같이 증가함에 따라 상속재산 1억원 증가시 상속세는 약 2200만원(22%)이 증가합니다.

 

반대로 상속재산 50억을 가정으로 상속재산 1억원이 감소해도 상속세는 22%정도 줄어 드므로 22% 이상의 증여세를 내는 것은 오히려 손해 일수도 있습니다. 물론 향후의 재산증가나 배우자의 2차 상속도 고려해야 되서 무조건 불리한 것은 아닙니다.

 

2. 부부 합산 재산 70억원인 경우

 

구분

70억원인 경우

71억원인 경우

차이

상속재산

70억원

71억원

1억원

일괄공제

5억원

5억원

-

배우자공제

30억원

30억원

-

과세표준

35억원

36억원

1억원

결정세액

12.5억원

13억원

0.49

상속재산 대비 세금 비율

17.9%

18.3%

48.5%

 

위의 경우와 같은 가정 하에 상속재산 70억원의 경우 배우자의 법정지분은 30억원입니다(70* 1.5/3.5). 그런데 배우자공제는 최대한도가 30억원이라 상속재산이 71억원이 된다 해도 배우자공제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습니다.

 

배우자공제 = min (배우자 실제 상속받은 금액, 배우자의 법정 지분),

: 최소 5억원, 최대 30

 

 , 상속재산 70억원에서 1억이 증가함에 따른 세금 증가액은 48.5%입니다(5000만원 - 신고세액공제 3%). 따라서 배우자 및 자녀2명이 있는 상태에서 일괄공제 및 배우자공제만 가정한다고 보면 상속재산 70억원 까지는 재산이 증가함에 따라 배우자공제도 같이 증가해서 1억원당 22%~27%의 세금이 증가하지만 상속재산이 70억원을 초과하면 1억원당 48.5%의 세금이 증가하게 됩니다.

 

3. (상속재산 100억 가정시) 증여의 장점과 단점

10억원의 부동산을 자녀에게 증여하면 증여세는 2.4억원입니다(증여재산공제 5000만원은 무시). 그런데 만약 증여를 하지 않았고 부동산의 가치가 점점 증가되어 상속 당시 20억원이 됐다고 가정하면 20억에 대한 상속세는 약 10억 정도입니다. (70억 초과재산에 대해서는 1억원당 50% 세율 적용이기 때문)

 

100억의 자산가 기준으로 상속 전에 10억을 증여했다면 증여세 2.4억이면 되지만, 만약 증여를 안했을 때에는 10억의 세금을 내야 될 수 도 있는 것입니다.

 

과세표준

세율

증여세

상속세

~1

10%

1* 10% = 0.1억원

다른

상속재산이랑

합산

1~5

20%

4* 20% = 0.8억원

5~10

30%

5* 30% = 1.5억원

10~30

40%

-

30~

50%

-

20* 50% = 10

합계

2.4

10

 

이것이 증여를 해야 되는 이유입니다. 사전에 증여를 하면 다른 상속재산과 합산되지 않고 낮은 세율을 적용 받을 수 있는 것이고, 증여하지 않으면 자산의 가치가 더 증가하여 상속세는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증여도 단점은 있습니다. 10억에 대한 증여세 2.4억을 당장 납부해야 됩니다. 만약 2.4억을 증여세 납부하지 않고 이 금액을 투자해서 향후 10억 이상의 가치가 될 수 있다면 오히려 증여보다 상속이 유리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증여를 안했다면 재산의 가치가 증가한 만큼 상속세가 늘어나는 것도 사실이지만 증여세 해당금액을 투자해서 상속세 증가분까지도 감당이 가능하다면 상속으로 처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증여가 유리할지 상속이 유리할지는 단순하게 결정할 것이 아니라 경우의 수를 따져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4. 결론(요약)

부부합산 30억 이하

오히려 상속이 유리할 수 있음

부부 합산 30억 초과 70억 이하

(상황에 따라) 증여 vs 상속

부부합산 70억 초과

사전 증여 적극 추천

현재 재산 X

미래 재산 가정 (가치증가or 자산사용)

단순 세금만의 문제 X

자녀 교육, 재산형성자의 의지 등

 

 

[프로필] 정승조 세무사

• (현) 기업은행 WM사업부

• (전) 우리은행 WM사업부

• (전) 신영증권 패밀리오피스

• (전) 농협은행 WM사업부

• (전) 세무법인 대양 등 근무

• (자격증) 세무사/공인중개사/금융자산관리사 등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칼럼] 관치금융의 덫에 걸린 농협금융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최근 농협금융지주와 대주주인 농협중앙회가 NH투자증권 사장 인선을 놓고 갈등을 빚은 바 있다. 여기에 금감원까지 가세하면서 관치금융에 대한 논란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이번 사태의 발단은 NH투자증권 정영채 사장의 연임 도전과 관련이 있다. 정 전 사장은 옵티머스 펀드 사태를 일으켜 금감원으로부터 중징계를 받은 장본인이다. 여기에다, 폐쇄적인 조직운영, 개인 사법리스크 등 여러 악조건 속에서도 6년간 장기 집권에 성공한 저력을 보였다. 그러나 증권사태가 범농협 차원의 규제 리스크로 확산되는 가운데 정영채 전 사장이 4연임에 도전하자, 대주주인 농협중앙회가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쟁점을 살펴보면, 농협중앙회는 이번에는 농협 출신 인사를 추천해 NH투자증권의 내부통제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반면, 이석준 농협금융지주 회장은 자본시장 전문가를 앉혀야 한다고 반발하면서 농협중앙회와 마찰이 일어난 것이다. 전문성이 중요하다는 이석준 지주회장의 말도 일리가 있고, 범농협 차원의 리스크관리가 중요하다는 대주주의 판단도 일리가 있다. 참고로, 농협중앙회는 농협금융지주 지분 100%를 소유한 1인 최대 주주다. 문제는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