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20.4℃
  • 구름조금강릉 25.5℃
  • 맑음서울 19.3℃
  • 구름많음대전 20.1℃
  • 구름많음대구 26.4℃
  • 구름조금울산 22.2℃
  • 맑음광주 21.6℃
  • 맑음부산 17.9℃
  • 구름조금고창 16.9℃
  • 구름많음제주 19.7℃
  • 맑음강화 15.2℃
  • 구름많음보은 21.2℃
  • 구름조금금산 21.2℃
  • 구름조금강진군 22.8℃
  • 구름조금경주시 27.3℃
  • 구름조금거제 20.1℃
기상청 제공

식품 · 유통 · 의료

[단독] 롯데웰푸드, 美 ‘롯데제로’ 상표권 확보 진통…허쉬 ‘ZERO’와 충돌

허쉬, ‘ZERO’ 독점권 주장…미국 특허상표청서 심리 진행

 

(조세금융신문=신경철 기자) 롯데웰푸드(前 롯데제과)와 일본 롯데가 공동 소유한 ‘LOTTE ZERO’ 브랜드가 미국에서 예상치 못한 상표 분쟁에 직면했다. 미국의 대표 초콜릿 기업 허쉬(Hershey)가 “자사의 초콜릿 바 ‘ZERO’와 동일한 이름”이라며 미국 특허상표청(USPTO)에 공식 이의를 제기한 것이다.

 

1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허쉬는 지난해 10월 USPTO에 “‘LOTTE ZERO’ 상표 등록을 거부해 달라”는 취지의 이의신청서를 제출했다. 허쉬 측은 “1930년대부터 ‘ZERO’라는 초콜릿 제품을 판매해 왔는데, 롯데의 ‘LOTTE ZERO’는 우리 브랜드를 혼동시킬 우려가 크다”고 주장하고 있다.

 

허쉬는 미국 상표법상 ‘출처 혼동(likelihood of confusion)’과 ‘허위 연상(false association)’ 등을 근거로 들며, 현재 USPTO에서 심리를 진행 중이다. 롯데 측은 지난 18일 답변 기한을 연장하면서 대응 전략을 모색 중이다.

 

◆ ‘ZERO’ 초콜릿 바 역사…1920년대부터 쌓인 브랜드 자산

 

허쉬가 문제 삼고 있는 ‘ZERO’ 상표는 원래 1920년 미국 Hollywood Brands사가 출시한 초콜릿 바에서 유래했다. 이 바는 캐러멜과 아몬드 누가에 화이트 퍼지로 코팅된 독특한 흰색 초콜릿 바로, 1930년대에 이름을 현재의 ‘제로(Zero)’로 변경하며 인지도를 높였다.

 

이후 여러 회사를 거쳐 1996년 허쉬가 제로 초콜릿 바 생산권을 인수하며 해당 상표를 소유하게 됐다. 허쉬 측은 과자류(Class 30) 분야에서 ‘ZERO’라는 단어 상표를 다수 등록해 왔고, 수십 년간 독점적으로 사용하며 시장에 강력한 식별력을 구축했다고 강조한다.

 

다시 말해, ‘ZERO’는 허쉬의 허가 없이 제과 분야에서 함부로 사용할 수 없는 고유 브랜드라는 입장이다.

 

 

◆ 상표 관리는 일본 롯데 주도… 세계 17개국서 ‘LOTTE ZERO’ 출원

 

이번 상표 분쟁은 일본 롯데가 대응을 맡고 있다. 일본과 한국 롯데는 법적으로 별개 운영이지만, 해외에서 ‘LOTTE’ 관련 상표를 관리·확보하는 역할은 보통 일본 법인이 담당한다. 물론 한국 롯데도 직접 해외 출원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지난해 롯데웰푸드가 미국에서 ‘ZERO CHOCOPIE’를 출원한 사례가 그 예다.

 

‘LOTTE ZERO’는 한국과 일본 시장에서 ‘제로 슈거’ 제품이 큰 호응을 얻자 이를 해외로 확대하기 위해 기획된 브랜드다. 롯데그룹 차원에서 해외 상표권을 통합 관리하는 일본 롯데가 전면에 나서서 이미 17개국에 출원을 진행했고, 인도·싱가포르·호주 등에서는 정식 등록을 완료한 상태다.

 

 

◆ 코카콜라 ‘Coke Zero’ 사례… “Zero 독점 불가” vs “브랜드 식별력”

 

이번 분쟁의 핵심은 ‘Zero’가 일반 소비 언어로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인지, 아니면 특정 기업이 오랜 시간 독점적으로 사용해 온 식별력 있는 상표인지에 달려 있다. 허쉬 측은 “1930년대부터 자사의 대표 초콜릿 중 하나로 자리 잡았으니, 이미 우리 고유 브랜드”라고 주장한다.

 

비슷한 사례로 코카콜라의 ‘Coke Zero’가 있다. 최초 출원 시 ‘Zero’는 ‘없음’을 의미하는 일반 단어라는 이유로 등록이 거절됐지만, 코카콜라는 수십 년간의 광고와 판매 실적을 증거 삼아 적극 대응했다.

 

이 분쟁은 약 15년이라는 긴 소송 끝에 코카콜라가 등록권을 유지하는 쪽으로 결론이 났다. 그러나 그 조건으로 “Zero라는 표현 자체를 독점하지 않는다”는 디스클레임(disclaimer)을 수용해야 했다. 즉, ‘Zero’라는 단어의 고유 의미를 다른 회사들도 사용할 수 있으며, 코카콜라는 단지 ‘Coke Zero’라는 특정 조합에 한해 상표 보호를 받는 식이다.

 

롯데 측도 “Zero는 여러 식품업체들이 ‘무설탕/제로 슈거’ 등을 표시하는 데 널리 쓰는 일반적 용어”라고 맞서며, 허쉬 상표의 보호 범위를 좁게 해석해 달라고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허쉬화의 분쟁은 현재 진행 중”이라며 “해당 사건은 일본 롯데에서 대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이경근 칼럼] 미국 보호무역주의 파고, 현명한 통상 전략 구사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야
(조세금융신문=이경근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2025년, 세계 경제는 다시 한번 보호무역주의라는 거센 파고를 마주한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우선주의' 기조를 강화하며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명분으로 관세 장벽을 높이 쌓으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면서, 한국 경제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 등 자국법을 근거로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최근 미국은 당초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 25%의 상호 관세율을 제안했으나, 우선 10%의 기본 관세를 유지하되 상호관세 부과는 90일간 유예(2025년 4월 10일 결정)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이 90일이라는 유예 기간 동안 미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 영국, 호주, 인도 등 우선협상 대상국들과 개별적으로 관세를 포함한 포괄적인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국 재무장관은 각국의 방위비 분담금 수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맞춤형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미 중국 제품에 대해서는 145%라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125%의 보복관세로 맞서는 등 미-중 무역 갈등은 격화되는 양상이다
[탐방] 2025년 달라지는 서울세관 조사2국, ‘외환검사 제도 정상화’ 방향을 듣다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서울본부세관 조사2국은 최근 3년간 가상자산을 이용한 불법 외환거래만 5조 4000억원 상당을 적발해 검찰에 송치했다. 조사2국은 이처럼 2023년 자체적으로 구축한 ‘불법 외환유출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해 가상자산을 이용한 불법 외환 송금 및 환치기, 보이스피싱 등 첨단 무역금융범죄를 집중 단속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조사2국은 국정원, 국세청, 금융감독원, 금융정보분석원(FIU)과 이상 외환거래 정보 공유, 합동단속 등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서울세관 조사2국은 불법 외환거래에 대한 단속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관세청의 ‘외환검사 제도 활성화’ 방침에 따라 기업들이 외국환 거래의 적정성 등을 스스로 점검하고 준수할 수 있도록 사전 예방 조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외환검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외환검사와 외환조사 조직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불법 외환범죄 단속과 기업의 자율적 법규 준수도 제고를 지원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지난 3월 서울세관 조사2국 조한진 국장을 만나 올해 외환검사 운영 방향과 최근 늘어나고 있는 가상자산을 통한 자금세탁 등 불법 외환거래 대응 방안을 들어봤다. 서울세관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