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기상청 제공

식품 · 유통 · 의료

롯데웰푸드, 드라마 ‘정년이’ 협업 한정판 디저트 16종 출시

스튜디오드래곤과 협업, 드라마 ‘정년이’ IP(지적재산권) 활용 한정판 디저트 선봬
극 중 주인공 ‘정년’이 즐겨먹는 ‘찐빵’ 필두로 16종의 다양한 빵, 건과, 빙과 구성

(조세금융신문=민경종 전문기자)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가 스튜디오드래곤과 손잡고 tvN 드라마 ‘정년이’와 컬래버레이션한 한정판 제품들을 내놨다. 

 

정년이 IP(지적재산권, Intellectual Property)를 활용한 컬래버 한정판 제품 16종을 선보인 것인데, 찐빵 5종, 빵 4종, 건과 6종, 빙과 1종 등으로 구성됐으며 특히 극 중 주인공 ‘정년’이와 동료간의 우정을 상징하는 간식인 ‘찐빵’ 신제품이 돋보인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번 컬래버레이션은 지난 5월 콘텐츠 제작사 ‘스튜디오드래곤’과 맺은 콘텐츠 협력 강화 업무협약의 첫 사례다. 지난 협약에서 롯데웰푸드와 스튜디오드래곤은 작품 IP를 활용한 기획 제품 출시 및 연계 마케팅 활동을 진행하기로 한 바 있다.

 

롯데웰푸드에 따르면 드라마 속에서 찐빵은 주인공 ‘정년’이 즐겁고 행복할 때나 힘들고 지칠 때 즐겨 먹는 간식으로 등장하는 소재다. 이를 활용한 ▲’정년이 찐빵’은 앙금에 통팥이 듬뿍 넣었고 빵 부분에는 통밀을 사용해 옛날식 찐빵의 맛을 극대화했다. 

 

이외에도 ▲’단팥호빵’, ▲’야채호빵’, ▲’옥수수호빵’, ▲’피자호빵’ 등에도 정년이 IP를 적용해 정년이 드라마 팬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혔다.

 

찐빵 외에도 빵, 건과, 빙과 등 다양한 제품에 정년이 IP를 적용해 옛 시절의 향수를 자극하고 브랜드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정년이 한정판 제품에는 극의 배경인 1950년대가 연상되는 복고풍 디자인이 적용됐다. 

 

이와 함께 주인공이 귀한 서양 양과자를 처음 맛볼 수 있었던 ‘파스텔다방’을 소개하는 한정판 엠블럼도 삽입되어 있다. 정년이 한정판 빵은 ▲’빅단팥빵’, ▲’둥근달 딸기크림빵’, ▲’꼬마꿀호떡’, ▲’프리미엄 패스츄리 스위트’ 등 4종이다. 

 

건과는 ▲’제크’, ▲’빠다코코낫’, ▲’마가렛트’, ▲’명가찰떡파이’, ▲’ABC초코’, ▲’스카치캔디’ 등 6종이고, 빙과 1종은 ▲’국화빵’이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수많은 글로벌 콘텐츠 IP를 보유한 스튜디오드래곤과 함께한 첫 결과물”이라며 “앞으로도 활발한 협업을 통해 K-콘텐츠와 K-푸드의 위상을 제고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