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식품 · 유통 · 의료

롯데웰푸드, 첨단 장비 갖춘 ‘업그레이드 닥터자일리톨 버스’ 공개

 

(조세금융신문=신경철 기자) 롯데웰푸드는 지난 11일 대한치과의사협회와 사회공헌활동 업무협약을 맺고, 2013년부터 이어온 ‘치아가 건강한 대한민국’ 캠페인을 지속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대한치과의사협회의 창립 100주년을 기념해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기념식에서 진행됐다. 이창엽 롯데웰푸드 대표이사, 박태근 대한치과의사협회장, 그렉 채드윅 세계치과의사연맹(FDI) 회장, 춘 핀 린 아시아태평양치과의사연맹(APDF) 회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이번 업무협약에 맞춰 롯데웰푸드는 최신 치과 진료장비를 갖춘 ‘업그레이드 닥터자일리톨 버스’를 공개했다. 닥터자일리톨 버스는 지난 2009년 도입 이후 15년간 제주도부터 연평도까지 전국 각지를 돌며 노인, 아동, 군인 등 치과 진료 취약계층에게 따뜻한 의료 봉사를 펼쳐왔다. 현재까지 총 16만km를 달려 약 1만 1600여 건의 진료를 진행했으며, 1300여 명의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해 7600여 명에게 무료 진료 혜택을 제공했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업그레이드 닥터자일리톨 버스’는 약 3개월간의 내부 개조를 거쳐 현장에서 보철기공을 제외한 대부분의 치과 진료가 가능한 최신형 유닛 체어 2대를 장착했다. 장애인 진료를 위한 휠체어 전동 리프트와 진료 장비에 필요한 전력 공급용 발전기, 진동 방지와 차량 수평을 유지하는 레벡잭 등 특수 장비도 갖췄다.

 

버스 외관 디자인도 밝고 친근하게 리뉴얼했다. 전면에는 ‘이동치과병원’이라는 문구를 큼직하게 배치했고, 후면에는 건강한 치아를 상징하는 캐릭터를 넣었다. 측면에는 ‘닥터자일리톨 버스가 간다’는 메시지와 함께 자일리톨 껌, 대한치과의사협회 로고를 표시했다.

 

협약식이 열린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는 새로운 닥터자일리톨 버스의 개원식을 비롯해 첫 번째 무료 치과진료 및 구강보건교육도 진행됐다. 롯데웰푸드는 행사기간인 11일부터 13일까지 부스를 운영하며 닥터자일리톨 버스를 소개하고, 부스를 찾은 방문객들을 위한 경품 이벤트도 실시했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닥터자일리톨 버스는 어려운 이웃과 국민의 구강 건강 증진을 위해 쉼 없이 달려왔다”며 “최신 장비로 새롭게 단장한 닥터자일리톨 버스와 함께 앞으로도 도움이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