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삼성물산]](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50624/art_17496913533856_d69af3.png)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삼성물산이 수직 증축 리모델링에서 가장 까다로운 ‘기초 하중 분산’ 문제를 해결한 자동제어 공법을 개발하며, 국토교통부로부터 건설신기술 인증을 획득했다. 구조물 전체의 기초를 균형 있게 보강하고 시공 신뢰도와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기술로, 리모델링 사업 전반의 기반 기술로 주목된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12일, 기초보강 전문기업 고려이엔시와 공동 개발한 ‘자동제어형 선재하 공법’이 국토교통부 건설신기술 제1023호로 공식 인증됐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자동제어장치를 활용해 말뚝마다 가해지는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전체 보강 말뚝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 핵심이다.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구조물에 전달되는 하중을 정량화된 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어, 시공 효율성과 안전성 모두를 확보할 수 있다.
‘선재하 공법’은 기존 시공된 말뚝 외에 보강용 말뚝을 추가로 시공해 기초를 강화하는 방식이다. 기존 수동 방식은 전체 말뚝에 균일한 하중을 가하기 어려워, 특히 수직 증축 리모델링과 같은 정밀 시공에서 기술적 한계로 지적돼 왔다. 말뚝 간 하중 전달 불균형은 구조물 안정성 확보에 걸림돌로 작용해왔다.
삼성물산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려이엔시와 함께 자동제어 시스템을 공동 개발했고, 지난해 지반공학회 기술 인증에 이어 이번에는 건설신기술 인증을 통해 기술의 독창성과 실용성을 공식 입증받았다.
이 기술은 실제 현장 적용 시 품질 확보는 물론, 작업 효율 향상과 안전성 검토 시간 단축 등으로 수직 증축 리모델링 사업의 진행 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종섭 고려대학교 교수(지반공학회 기술검증 담당)는 “자동제어형 선재하 공법은 말뚝 전반의 품질 신뢰도를 높인 혁신 기술로, 수직 증축 리모델링의 병목을 해결할 핵심 솔루션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박인숙 삼성물산 리모델링팀장(상무)은 “도심 재생 수요가 확대되는 만큼, 품질과 안전, 경제성을 모두 갖춘 기반 기술을 지속 확보해 리모델링 시장에서 기술 혁신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